[메디게이트뉴스 정다연 기자] 국립중앙의료원 중앙 난임·우울증 상담센터는 저출산과 난임의 사회적 문제가 심각한 가운데 개인의 임신부터 출산까지 과정이 안전하도록 정서적 지원을 하는 정부 정책의 일환으로 지난 6월 첫 발을 뗐다. 중앙 상담센터는 현장의 상황을 반영한 프로그램을 만들고 상담 센터를 전국으로 확대하는 한편, 지속적인 관리로 난임 문제를 해소하는 방향으로 가야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국립중앙의료원은 14일 2018년도 국립중앙의료원 공공보건연구소 제 11차 '중앙 난임·우울증 상담센터' 제 1차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국립중앙의료원 정기현 원장은 "지난 6월 20일 중앙 난임·우울증 상담센터가 처음 문을 열었다. 난임 문제는 의료 현장에서 스트레스와 갈등이 심각하다. 그런 부분을 센터가 앞으로 예방하고 해결책까지 제시할 것이다"고 말했다.
정 원장은 "여성의 건강이 하나의 큰 권리로 자리잡았는데 사회는 아직 관대하지 않다"며 "이런 시기에 중앙 난임·우울증 상담센터가 출발한 것이 의의 있다고 생각한다. 사업을 시행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중앙 센터로서 상담과 프로그램 기획 추진해 현장에 적용
국립중앙의료원 중앙 난임·우울증 상담센터 이소희 부센터장은 중앙 난임·우울증 상담센터가 처음부터 체계적으로 상담 프로그램 및 연구 모델을 확립해 중앙 센터로서 기능에 충실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부센터장은 "중앙 난임·우울증 상담센터는 난임 환자 및 임산부를 대상으로 정서적 상담을 한다. 정신건강 고위험군에 대해서는 의료적 개입까지 병행하는 원스톱서비스를 제공한다"며 "센터는 표준화된 업무 매뉴얼과 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전문 상담 인력 양성, 자료 구축과 평가지표 개발, 홍보 및 인식개선, 유관기관과 연계 체계 구축, 심리상담 프로그램 운영 등의 업무를 한다"고 말했다.
이 부센터장은 "4개월 간 선별한 등록실인원은 총 41명으로 난임환자(27명)와 임산부(11명), 산모(3명) 순으로 많았다"며 "기간이 짧아 유의미하다고 볼 수 없지만 올해는 난임 환자들 많았다. 난임등록실인원 총 27명 중 30대(52%)와 40대(31%)가 대다수였다. 직업은 37%가 주부였는데 그 외에는 직업이 있었다. 이는 난임환자들 가운데 직장인이 많다는 뜻"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임산부는 등록실인원 총 14명 중 20대(50%)와 30대(29%)가 많았다. 난임환자와 연령대가 달랐다. 직업 분포도 난임환자와 다르게 주부와 무직(비결혼 임신)이 71%였다"고 말했다.
이 부센터장은 "어떤 문제로 상담을 왔는지 보면 공통적으로 정서문제와 부부관계, 가족갈등이 나타났다. 난임 환자의 경우 대인관계, 의학상담 스트레스를 받았고 임산부는 성격 문제, 흡연과 알코올등 물질남용, 경제 문제로 상담을 왔다"고 말했다.
이 부센터장은 "추진과제로 권역 난임·우울증상담센터 3개소를 올해 개소할 예정이다. 나아가 소외 지역 없이 전국 17개 시·도로 센터를 확대할 것을 모색할 것이다"며 "장기적으로 인건비 확보가 중요하다. 사람이 하는 일이다 보니 인건비가 예산의 80%를 초과한다. 어떤 인력이 가장 적절한지 지속적으로 검토 모니터링할 예정이다"고 강조했다.
이 부센터장은 "지난 4개월간 상담을 해보니 실질적으로 상담 도움이 필요한 취약계층은 상담센터를 찾아오기 어려워 했다. 방문상담이 필요하고 이에 따른 예산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 부 센터장은 "24시간 핫라인도 구축해야한다. 산후우울증은 심한 경우 아이와 같이 뛰어내리는 사건이 발생하는데 이들을 긴급하게 도울 곳이 없다. 자살예방센터로 연락하라고 미리 안내하지만 임산부 대상으로 이들이 적절한 도움을 주기는 어렵다"고 강조했다.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심리사회적 지지로 난임 문제 해소해야
차의과대학 강남차병원 산부인과 김진영 교수는 난임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상담이 난임 시술 전, 시술 중, 그 이후까지 전 과정에서 케어하는 방향으로 가야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해마다 불임 환자가 늘어 최근엔 20만명에 육박하고 있다. 난임시술은 1년에 8만건에 이른다. 문제는 난임시술자의 연령도 증가하고 있다는 사실이다"며 "난임 시술은 나이에 따라 성공률이 달라지기 때문에 환자들의 스트레스가 심하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난임 환자가 시술을 위해 열흘간 매일 자기 배에 주사를 맞고 병원 계속 다니는 일이 쉽지 않다"며 "앞서 나온 이야기지만 난임 환자들 중에 상당수가 직장인이다. 직장 일도 힘든데 눈치보며 병원까지 다니고 시술이 실패하면 또 다시 병원을 다녀아 하는 과정이 난임환자에게는 엄청난 스트레스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체외수정 성공은 3~4회 누적될 때까지 성공 비율이 오른다. 하지만 시술 과정에서 심리적 불안과 스트레스로 포기하는 사람들이 많다. 이들을 정서적으로 지원하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며 "저출산과 난임 문제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된 시점에 난임·우울증센터가 필요한 시점에 설립됐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2015년 유럽불임학회가 제시한 '난임 환자의 정신사회적 지지에 대한 가이드'를 살펴보면 난임 환자들이 정신사회적 지지를 굉장히 중요하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유럽불임학회 ESHRE 가이드라인(2015)'에 따르면, 난임환자들은 의료진의 정서적 공감, 난임에 대한 이해, 부부가 함께 치료 과정에 참여하는 것, 환자 스스로 치료 결정에 참여하는 것, 신뢰성 있는 전문가로부터 정신사회적 상담을 받는 것 등을 선호한다.
김 교수는 "난임 환자들이 시술을 중단했을 때 잘 지내면 좋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가 있다. 이들은 치료 실패 2년후까지 일반적으로 결혼생활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5년까지 자녀가 없으면 음주와 흡연 의존도 늘고 여전히 자녀 가지고 싶은 마음을 가지고 있었다"며 "심리사회적 지지가 중요하다. 난임 치료 전·중·후를 아우르는 장기적 케어를 지속적으로 해야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댓글보기(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