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입력시간 19.05.28 15:07최종 업데이트 19.05.28 15:07

제보

‘바이오헬스 혁신전략’ 발표와 함께 관심 커지는 ‘중개연구’

연구자들, “중개연구 친화적 환경 조성하고 인력 양성해야”

복지부, "중개연구 활성화 필요...예산 확대 등 정부 지원 강화"

사진: 28일 국회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 바른미래당 박선숙 의원·더불어민주당 기동민 의원 주최로 '중개연구 활성화를
위한 토론회'가 열렸다.
[메디게이트뉴스 윤영채 기자] 최근 정부의 ‘바이오 헬스 혁신전략’ 발표와 함께 중개연구 분야 활성화에도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현재 국내 중개연구 관련 세부사업이 미흡하다며 관련 법제 개선, 인력 양성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는 것이다.
 
28일 바른미래당 박선숙 의원·더불어민주당 기동민 의원 주최로 열린 ‘중개연구 활성화를 위한 토론회’에서는 중개연구인프라 조성, 인력 양성, 정부 지원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오고갔다.
 
전문가들은 중개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맞춤형 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인력 양성, 환경 조성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보건복지부도 중개연구 활성화가 필요하다는 데 공감하고 예산 확대 등의 정부 지원을 고심하겠다고 밝혔다.
 
연구자들 “중개연구 친화적 환경 조성·인력 양성 시급해”

이광호 한국화학연구원 차세대의약연구센터 박사는 국내 기초과학자의 독창적인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신규약물표적을 체계적으로 발굴하기 위해서는 ‘신약발굴 중개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광호 박사는 “지금까지의 국내 신약개발은 기존에 알려진 표적에 대한 모방연구 또는 패스트팔로어 전략에 집중됐다. 하지만 이러한 전략에 의한 신약개발은 경쟁이 매우 심해서 신약개발에 성공하더라도 약물의 상업적 가치가 낮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 박사는 “기초연구의 효율적 산업화를 위해서는 기반, 시설, 전문성, 정보력 등의 요건이 완전히 구축된 신약발굴 전문중개연구기관이 필요하다”라며 “신약발굴 중개연구는 학·연·산 간의 실질적인 협동연계 연구로서 국내 신약게발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중개연구 활성화에 가장 중요한 것이 인력 양성이라며 맞춤형 교육,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해 확대 적용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정재호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위장관외과 교수는 “좋은 중개연구자가 있어야 하고 이들은 가장 효율적이며 목표지향적 조직을 구성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정 교수는 “하버드의대 교육프로그램을 보면 1년을 실험실에 가서 보낼 수 있도록 돼 있다. 바이오산업 시장이 요구하는 인력을 양성하겠다는 의지다”라며 “진료뿐만 아니라 고급인재들이 사회 가치 창출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시장수요에 맞게 교육, 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선진 플랫바이오 회장은 “아직 중개연구는 연구내용, 영역, 방법에 대해 명확한 정의가 내려지지 않은 면이 있다”라며 “중개연구 활성화를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차세대 연구인력을 양성해낼 수 있는 지도인력 확보다”라고 말했다.

김 회장은 “이를 위해 전문인력을 정의하는 객관적이고 공정한 기준, 국가사업이나 공동연구과제에 참여할 때 공평한 기회부여, 완료된 과제들에 대한 공정하고 객관적인 평가 등에 대한 과학계의 공감대를 이끌어내야 한다”고 덧붙였다.

복지부, “임상연구·산업화로 이어질 수 있게 중개연구 지원 강화”
 
패널 토의에 참여한 정은영 보건복지부 보건의료기술개발과 과장은 중개연구가 실제로 임상연구, 산업화로 갈 수 있도록 예산 확대 등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정은영 과장은 “중개연구는 기술이전, 임상으로 갈 수 있도록 파이프라인을 공급하는 중요한 부분이다”라며 “의료기술, 의약품에서 아직까지 패스트팔로어를 벗어나지는 못했지만, 상당수준에 도달했고 획기적 신약 개발을 위한 목전에 와 있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정 과장은 “국내 우수한 과학자들이 좋은 논문과 특허를 내고 있는데 산업화로 이어지지 않고 있다"라며 "현장에서 허리 역할을 하는 중개연구가 중요하다”라고 밝혔다.

양질의 논문이지만 임상현장과의 괴리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정 과장은 “굉장히 우수한 논문이지만 산업현장, 임상에서 적용하기 어려운 내용일 수 있다. 임상에서 필요한 중개연구가 돼야 체감이 가능하다”라고 말했다.
 
정 과장은 "예산을 확대하고, 전문가를 좀 더 포함해 전문성을 높이면서 산업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평가체계를 개선할 생각이다"라며 “현장에서 원하는 중개연구가 이뤄지고, 실제 임상연구, 산업화로 이어져 가시적 성과가 나오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바이오헬스 # 중개연구

윤영채 기자 (ycyoon@medigatenews.com)
댓글보기(0)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

이 게시글의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