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입력시간 18.12.13 08:16최종 업데이트 20.06.22 09:52

제보

“면역항암제 신중한 접근 필요...사후평가제도 도입 시 역할분담 중요”

대한항암요법연구회 강진형 회장, “책임과 의무를 다할 수 있는 의사가 면역항암제 사용해야”

사진: 대한항암요법연구회 강진형 회장
[메디게이트뉴스 윤영채 기자] 지난해 통계청이 발표한 ‘2017년 사망원인 통계’에 따르면 한국인의 사망원인 1위는 여전히 ‘암’이다. 이에 따라 ‘항암치료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도 매우 높다.

특히 제약사들이 최근 ‘면역항암제’ 개발에 앞 다퉈 뛰어들면서 면역항암제 효과에 대한 기대도 커지고 있다. 현재 ‘면역항암제’로 알려진 ‘면역관문억제제’는 암세포가 만드는 PD-L1이라는 물질과 T세포의 수용체 PD-1의 결합을 차단하는 원리를 기반으로 작용한다.

면역항암제는 우리 신체의 면역체계를 이용하기 때문에 기존 항암치료제에 비해 독성과 내성 문제 등의 부작용이 적다고 알려졌다.

여기에 지난 2017년 8월 키트루다, 옵디보 등에 건강보험 급여가 적용되면서 고가 항암제 접근성에 대한 환자들의 기대감도 고조됐다. 환자들은 ‘말기 암 환자의 마지막 희망, 면역항암제 급여화와 적응증 확대’를 요청하는 국민청원을 진행하기도 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면역항암제’의 부작용을 우려하며 신중한 사용을 강조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또 고가 신약 등 의약품 급여 등재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사후관리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필요성도 제기됐다.

본지는 최근 대한항암요법연구회 강진형 회장(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종양내과)과의 인터뷰를 통해 면역항암제 사용 현황, 사후평가제 도입 필요성 등에 대해 조명해봤다.

“면역항암제 신중한 사용 필요...환자와 충분한 대화 있어야”

폐암치료 권위자로 꼽히는 강진형 회장은 암 치료 패러다임을 전환한 면역항암제의 신중한 사용을 강조했다. 강 회장은 “(면역항암제에 대해) 우리가 적절하게 사용하고 있는 것인지 고민을 해야 한다”라며 “나아가서 어떤 환자에게 가장 효과적이고 어떤 경우에 심각한 자가면역성질환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는지 살펴야한다”고 말했다.

강 회장은 “책임과 의무를 다할 수 있는 의사가 사용해야 한다"라며 "100% 예측할 수 있는 마커가 없기 때문에 불편하고 답답한 것은 사실이지만 현재 갖고 있는 정보 안에서 치료할 사람, 치료하지 않을 사람을 구분하기 위해 애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면역항암제가 기존 항암치료제에 비해 부작용 발생 빈도가 상대적으로 낮지만 장기적으로 사용할 경우 자가면역질환이 발생하는 등 우려도 있다.

강 회장은 “(면역항암제의 경우) 자가면역질환과 유사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표적치료제, 세포독성항암제에 비해 발생빈도는 낮지만 한번 생기면 심각하다”고 말했다.

그는 이같은 자가면역질환이 발생할 경우 신체에 있는 다른 장기들을 공격하기 때문에 다학제 진료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강 회장은 “온 몸에 있는 여러 장기를 공격해서 나타나기 때문에 여러 진료과가 같이 볼 수 밖에 없다”라며 “적절한 치료에 빨리 들어가기 위해서는 다학제 진료팀이 있는 곳에서 가야 한다”고 말했다.

현재 면역항암제를 사용할 때 가장 적합한 기준이 PD-L1 발현율이다. 강 회장은 “PD-L1 발현율이 질환에 따라 기준이 다른 경우도 있다”라며 “폐암에서는 TPS라고 해서 종양에서만 PD-L1을 보는데 어떤 암종에서는 주변 면역세포 발현율까지본다. 각 질환마다 PD-L1 발현에 대한 판독법, 발현율 자체가 달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강 회장은 "현재 PD-L1 발현율 이상의 좋은 바이오마커도 없지만 PD-L1 발현율만 갖고 환자에 대한 치료군을 선별해내는 것은 불완전하다. 또 다른 예측표지자가 개발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사후평가제도 도입 시 중복투자 안돼...역할분담 중요”

최근 신약 등 의약품 급여 등재 후 합리적인 사후관리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의약품의 급여 등재 이후에도 임상적 유효성, 비용 효과성 등을 지속적으로 관리해야 한다는 것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과 대한항암요법연구회는 지난 11월 7일 ‘의약품 등재 후 평가 및 관리방안 공청회’를 열고 의료계, 제약회사,정부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듣는 자리를 마련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도 최근 '면역관문억제제 사후평가 연구용역'을 공고하기도 했다.

‘의약품 등재 후 평가 및 관리방안 공청회’ 패널 토의에 참가한 전문가들은 의약품 사후관리 시스템이 필요하지만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수용성을 높이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냈다. 

강 회장은 “(신약 등 의약품 급여 등재 후) 사후평가에 대해서 중복투자가 있어서는 안 된다. 이와 관련해 역할분담과 조율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강 회장은 “또 (사후평가) 결과를 보험급여가격에 연동할 건지에 대해서는 정해진 것이 없다. 앞으로 지켜봐야 한다”라며 “기반 데이터를 갖고 사후평가 항목으로 갔을 때 약가에 어떻게 (사후평가) 결과를 반영할지 제약사 수용여부가 관건이다”라고 언급했다.

이와 함께 강 회장은 환자들을 위해 정확한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며 나아가서 공평보다는 공정의 가치를 우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 회장은 "(부정확한 정보를) 잘 걸러서 사실만을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라며 "동시에 의료 부문에서 환자를 위해 공평보다는 공정의 가치가 우선돼야 한다"고 말했다.

#면역항암제 # 대한항암요법연구회

윤영채 기자 (ycyoon@medigatenews.com)
댓글보기(0)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

이 게시글의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