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 신장암 새 치료법 개발 본격화
LG화학은 5일 회사의 미국 항암사업을 담당하는 아베오(AVEO)가 현지 바이오텍 하이버-셀(HiberCell)과 임상 1상 단계 신약물질 HC-5404의 글로벌 독점 개발 및 옵션 행사 권리에 대한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에 따라 LG화학은 다가올 임상 1b상을 직접 진행하며, 2상 단계에서 해당 물질의 글로벌 독점 실시권을 확보할 수 있는 옵션계약 체결 여부를 결정한다. LG화학은 하이버-셀에 비공개 계약금을 지급하며, 향후 옵션 실행 시 개발 및 상업화 마일스톤, 판매 로열티를 단계별 지급할 계획이다. 하이버-셀은 암의 재발 및 전이를 예방할 수 있는 새로운 작용 방식의 항암제를 다수 개발 중인 회사로, 주요 신약물질인 HC-5404는 세계 최초로 임상 단계에 진입한 PERK (protein kinase R (PKR)-like endoplasmic reticulum kinase) 저해제다. 이 신약은 암세포에 영양분과 산소를 공급하는 경로를 차단하는 혈관 신생 억제 2025.11.06
SK바이오팜, 3분기 매출 1917억·영업익 701억…미국 엑스코프리 처방 증가세
[메디게이트뉴스 이지원 기자] SK바이오팜은 5일 올해 3분기 매출 1917억원, 영업이익 701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40.4%, 262.4%씩 늘어난 수치다. 호실적 배경에는 뇌전증 혁신 신약 세노바메이트(미국 제품명 엑스코프리)의 미국 시장 내 가파른 성장세가 있다. 세노바메이트의 미국 매출은 전분기 대비 11.7%, 전년 동기 대비 51.9% 성장한 1722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3분기 누적 매출은 4595억원으로 지난해 연간 매출을 뛰어넘었다. SK바이오팜 측은 "전 분기 대비 기타 매출이 감소하고 판관비가 증가됐지만, 영업이익은 증가했다"며 "이익률이 높은 미국 엑스코프리 매출 증대에 따라 영업 레버리지 효과가 확대된 결과"라고 설명했다. SK바이오팜에 따르면 올해 엑스코프리의 처방 수 증가 폭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크다. 이는 신규 처방 환자 수(NBRx) 콘테스트, 소비자 직접 광고(DTC), 처방 차수를 앞당기는 'Line of Ther 2025.11.06
동아ST-메타비아, 비만치료제 'DA-1726' 글로벌 임상 1상 및 전임상 데이터 포스터 발표
동아에스티와 동아에스티 관계사 메타비아(MetaVia)는 지난 4일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에서 개막한 미국비만학회(ObesityWeek 2025)에서 비만치료제로 개발 중인 ‘DA-1726’ 글로벌 임상 1상 및 신규 전임상 연구 결과를 포스터 발표했다고 밝혔다. DA-1726은 Oxyntomodulin analogue(옥신토모듈린 유사체) 계열의 비만치료제로 개발 중인 신약 후보물질이다. GLP-1 수용체와 Glucagon 수용체에 동시에 작용해 식욕억제와 인슐린 분비 촉진 및 말초에서 기초대사량을 증가시켜 궁극적으로 체중 감소와 혈당 조절을 유도한다. 임상 1상은 DA-1726의 단일 및 다중 용량에서 안전성, 내약성, 약동학 및 약력학을 확인하기 위해 비만 성인 9명을 대상으로 무작위 배정, 이중 눈가림, 위약 대조 방식으로 진행됐다. 용량 적정 없이 DA-1726 32mg을 4주간 주 1회 피하 투여했다. 연구 결과 DA-1726 투여군은 투약 26일 만에 최대 6.3%(6. 2025.11.06
SK케미칼 3분기 매출 6099억·영업익 151억
[메디게이트뉴스 이지원 기자] SK케미칼은 5일 공시를 통해 연결 재무제표 기준 3분기 매출액 6099억원, 영업이익 151억원의 실적을 거뒀다고 밝혔다. 매출은 전년 대비 43.1% 상승했고,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및 전분기 대비 흑자 전환했다. 이는 SK케미칼 주력 사업의 안정화와 자회사 SK바이오사이언스의 실적 개선에 따른 결과다. 별도 기준으로는 매출 3715억원, 영업이익 299억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매출 11.9%, 영업이익 1.3% 증가했다. 파마(Pharma) 사업부에서는 기넥신, 조인스 등 주요 제품 판매가 늘었고, 그린케미칼 사업부는 코폴리에스터 등 스페셜티 제품을 중심으로 안정적인 수익 구조를 강화하며 실적 성장을 견인했다. SK케미칼 관계자는 "글로벌 경기 둔화에도 불구하고 자회사 실적 개선과 고부가가치 제품 판매 확대, 운영 효율화로 실적 개선이 이뤄졌다"며 "향후에도 주력 사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순환 재활용을 비롯한 중장기 성장 기반을 확고히 할 계 2025.11.06
정부, 첨단의료기기 R&D에 7년간 9408억원 투자
[메디게이트뉴스 이지원 기자] 보건복지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부,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026년부터 2032년까지 7년간 총 9408억 원(국고 8383억원, 민자 1025억원)을 투입하는 '범부처 첨단 의료기기 연구개발사업(2기)'을 추진한다고 5일 밝혔다. 범부처 첨단 의료기기 연구개발사업(2기)은 세계 최초 또는 최고 수준의 게임체인져급 의료기기 6건 개발, 필수의료기기 13건의 국산화 등의 성과달성을목표로 추진하는 범부처 협력사업으로, 기초·원천연구부터 제품화, 임상, 인허가까지 의료기기 연구개발의 전주기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특히, 인공지능(AI)과 로봇 등 첨단기술을 활용한 의료기기 등 미래 유망분야에 대한 전략적 육성에 중점을 둬, 글로벌 의료기기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높이고, 의료기기 산업을 국가 신성장 동력으로 만들 계획이다. 이 사업은 2020년부터 추진된 '범부처 전주기 의료기기 연구개발사업(1기)'의 성과를 바탕으로 2025년 8월 국가연구개발사업 예비타당 2025.11.06
앱솔로지, '소변 마약검사 키트' 조달청 혁신제품 지정
체외진단 기업 앱솔로지는 소변 몇 방울만으로 6종의 마약 성분을 10분 이내에 분석하는 현장용 진단키트를 개발해, 조달청 ‘혁신제품’으로 지정받았다고 4일 밝혔다. 앱솔로지의 ‘소변 마약진단 키트 (UDT Drug Test)’는 필로폰, 코카인, 대마, 아편, 엑스터시, 케타민 등 국가 필수검사 항목 6종을 빠르고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는 체외진단 의료기기다. 검사 시간은 10분 이내이며, 성능은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이나 검진센터 등에서 사용하는 LC-MS (액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 수준에 근접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조달청의 혁신제품 제도는 단순한 기술력을 넘어, 공공조달 시장에서 실제 사용 가능성과 파급 효과가 검증된 제품에 부여된다. 이는 해당 기술이 공공성이 높고, 시장에서 실사용을 거쳐 검증받을 필요가 있는 우수 기술로 평가받았다는 의미다. 혁신제품으로 지정되면 국가기관과 지자체가 수의계약으로 구매할 수 있으며, 조달청 예산으로 시범구매 사업에도 참여할 수 있다. 특히 2025.11.05
셀트리온, SITC 2025서 다중항체 신약 CT-P72 전임상 결과 발표
셀트리온은 5일~9일(현지시간)까지 미국 메릴랜드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규모의 면역항암 학술행사인 ‘SITC 2025(미국면역항암학회)’에서 다중항체 신약 'CT-P72/ABP-102'의 전임상 결과를 발표한다고 밝혔다. CT-P72/ABP-102는 셀트리온이 미국 에이비프로(Abpro)와 공동 개발 중인 다중항체 면역항암제다. 세포 성장 등에 관여하는 ‘HER2(인간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2) 단백질’을 발현하는 암세포와 면역세포인 T세포(T-cell)를 연결해 암세포를 제거하는 ‘T세포 인게이저(T-cell engager, TCE)’ 방식이다. CT-P72/ABP-102의 전임상 연구에서는 HER2가 많이 발현된 세포주와 적게 발현된 세포주를 동시에 이식한 마우스 모델(Dual xenograft)을 통해 HER2 고발현 종양 특이적인 높은 항종양 효과를 확인했다. 더불어 영장류를 이용한 독성 시험 결과에서도 고용량인 80mg/kg까지 특별한 부작용이 관찰되지 않는 등 전반적으로 2025.11.05
대웅제약, '마이크로니들·바이오시밀러' 글로벌 협력 확대…CPHI 2025서 '신사업' 본격화
대웅제약은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제약·바이오 전시회 ‘2025 CPHI Worldwide’에 참가해 혁신 제형 플랫폼과 바이오시밀러 기술을 앞세워 글로벌 파트너링 및 시장 확장에 나섰다고 4일 밝혔다. 이번 전시회에서 대웅제약은 펙수클루, 엔블로 등 주력 신약은 물론, GLP-1 마이크로니들, 바이오시밀러 등 차세대 기술을 앞세워 글로벌 계약을 추진했다. 특히 지난해 CPHI 2024 밀라노의 성과를 기반으로 한층 강화된 글로벌 파트너십 구축에 집중했다. 이번 전시에서 핵심적으로 소개되는 기술 중 하나는 마이크로니들 패치 기반의 약물전달 플랫폼이다. 해당 기술은 피하 주사제를 대체할 수 있는 패치 제형으로 통증 최소화, 자가 투여 등의 장점으로 환자 순응도를 높일 수 있다. 또 최근 생체이용률이 크게 개선되어 글로벌 파트너들로부터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이 기술은 현재 세마글루타이드(GLP-1 유사체) 기반 비만 치료제부터 성장호르몬, 보툴리눔 톡신 등으로 확장 2025.11.05
3분기 제약·바이오 '역대 최대 분기 실적' 행진…고마진 제품·사업 중심 성장
국내 주요 제약·바이오 기업이 2025년 3분기 성장세를 이어가며 역대 최대 분기 실적을 쏟아냈다.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셀트리온을 비롯해 GC녹십자, 보령, 동아에스티가 역대 최대 분기 실적을 올렸고, 한미약품, 한독 등은 수익성 회복세를 보였다. '역대 최대 분기' 실적 달성 기업 줄줄이 등장 5일 메디게이트뉴스가 국내 주요 제약·바이오 기업 15개사의 3분기 잠정실적을 분석한 결과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셀트리온이 3분기에도 업계 선두 자리를 지켰다. 두 회사 모두 역대 최대 분기 매출을 달성했으며, 각각 1조6602억원, 1조290억원으로 집계됐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1~4공장의 풀가동을 통한 매출 기여 증대와 바이오시밀러 제품 판매 확대, 우호적 환율 효과 등에 따른 결과로 분석된다. 이뿐 아니라 수주 성장세 역시 영향을 미쳤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올해 11월 4일 공시기준 누적 수주 금액 5조5193억원을 기록하며, 10개월 만에 전년도 연간 수주 금액(5조4035억원)을 넘어섰다 2025.11.05
삼성바이오로직스, 연 수주액 5조원 돌파…10개월 만에 전년도 수주 금액 넘어
[메디게이트뉴스 이지원 기자]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올해 공시기준 누적 수주 금액 5조5193억원을 기록하며, 10개월 만에 전년도 연간 수주 금액(5조4035억원)을 넘어섰다. 이는 회사 창립 이후 최대 규모의 연간 수주 실적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4일 유럽 소재 제약사와 약 2759억원(2억15만달러) 규모의 위탁생산(CMO) 증액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이번 계약으로 올해 공시기준 체결한 신규·증액 계약은 총 8건으로 늘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올해 1월 역대 최대 규모인 2조원대 계약을 시작으로, 9월 미국 소재 제약사와 1조8000억원 규모의 계약을 추가로 체결하는 등 글로벌 주요 고객사로부터 대규모 수주를 연이어 확보하고 있다. 현재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글로벌 상위 제약사 20곳 중 17곳을 고객사로 확보하고 있으며, 창사 이래 누적 수주액은 200억불을 돌파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증가하는 바이오의약품 수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생산능력을 확대하고 있다. 5공장은 2025.11.04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