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게이트뉴스 윤영채 기자] 포괄수가 책정에 필요한 비용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환자별 원가 분석 방안’을 적용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10일 의료계에 따르면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은 최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7개 질병군 포괄수가 개발 및 조정방안 연구’를 통해 이 같은 의견을 전달했다.
'환자별 원가 분석'은 기존 행위 중심으로 이뤄지던 분석법의 문제점을 개선한 형태다. 수집방법을 단순화하고 원가의 정확성을 높이는 것이 핵심이다.
그간 우리나라에서는 지불보상의 단위가 되는 '행위'에 무게를 두고 원가 분석이 진행돼왔다. 하지만 충북대 산학협력단은 행위 원가를 환자별로 집계해 환자별 원가를 추정할 수 있지만, 동일한 행위에 대해서는 그 비용이 달라 정확성이 떨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충북대 산학협력단은 “행위 원가를 추정하기 위해 복잡한 시스템을 갖춰야 하기 때문에 도입 비용이 높고 병원의 업무가 가중될 수 있다”며 “필요한 자료가 없거나 협조가 되지 않을 경우 다른 병원의 값이나 가정을 이용해 원가를 계산하기 때문에 추정한 원가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다”고 했다.
개선방안으로는 환자별 원가 분석 방안이 제시됐다. 충북대 산학협력단은 “복잡한 원가분석시스템을 갖추지 않은 병원도 환자별 원가 분석이 가능하도록 수집 자료를 최소화하고 분석방법을 단순화할 필요가 있다”며 “질병군별로 표준원가모델을 구축해 연도별 원가 변화를 최소화하는 장치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환자별 원가 분석’ 방안은 환자별로 파악 가능한 인건비, 약제재료비는 환자별로 바로 집계하는 형태다. 다만, 환자별로 파악이 어려운 관리비나 재료비는 부서별 체류시간 등을 이용해 계산한다.
충북대 산학협력단은 “인건비는 환자 진료에 참여하는 인력수와 시간을 이용한다”며 “전산에서 쉽게 확인이 가능한 처방성 약제와 재료는 환자별로 집계하고 사용량을 집계하기 어려운 비처방성 약제나 재료는 전체 사용량을 시간이나 부서의 환자수로 나눠 사용량을 추정한다”고 했다.
이후 대표성 있는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환자별 비용자료가 수집되면 DRG별로 표준원가 모델을 구축하게 된다.
충북대 산학협력단은 이렇게 구축된 표준원가 모델을 바탕으로 인건비나 약제 , 치료재료 구입비용, 감가상각·관리비 변화 등을 이용한 조정률 산출이 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한 환자별 비용조사와 전문가 검토를 통해 표준 모델을 조정하는 방식도 적용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다만, 환자별로 비용 분석이 어려운 경우에 대해서는 “검사실 원가나 상대가치 변화 등을 이용해 조정률을 산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보기(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