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40~60대 여성 상당수는 폐경 때 나타나는 안면홍조, 야간발한 등의 증상을 질환이라고 인식하면서도, 10명 중 7명은 산부인과 치료를 받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부분의 여성들은 병원을 방문하지 않고 운동과 식이요법만으로 폐경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폐경학회(회장 이병석)는 국내 여성들의 폐경 증상 및 호르몬 치료에 대한 인식 변화를 추적하기 위해 2010년 이후 5년 만에 전국 45세부터 65세까지 여성 23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폐경 증상을 개선하기 위해 여성들이 가장 많이 선택한 치료 방법은 식이요법과 운동(36.5%)이었으며, 호르몬 치료(19.7%), 건강기능식품(11.4%)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응답자의 65% 이상이 폐경 증상은 치료가 필요한 질환이라고 생각하고, 70%가 폐경 증상 치료를 위해 산부인과에 가볼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그러나 실제 폐경 증상에 대한 상담 혹은 치료를 위해 산부인과를 방문한 여성은 30%에 불과해, 폐경 치료의 필요성에 대한 인지가 실제 행동에까지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다.
산부인과를 방문하지 않는 이유로는 운동 등 생활습관을 먼저 개선하겠다는 응답이 38.2%로 가장 높았다.
이는 평소 폐경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 방법이 무엇인지 묻는 질문에 42.8%가 식이요법 및 운동 등 생활습관 개선이라고 답한 것과 일맥상통했다.
하지만 실제 식이요법 및 운동을 한 여성들 중 폐경 증상 개선에 효과적이었다고 응답한 비율은 59.8%이었던 반면, 병원 내원 및 상담 후 호르몬 치료제를 처방 받아 개선 효과를 봤다고 응답한 비율은 76.0%에 달했다.
즉, 폐경 증상 개선 효과에 대한 만족도는 식이요법 및 운동을 한 여성군보다 호르몬요법군이 16% 더 높았다.
폐경 여성들이 호르몬 치료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조사한 결과 29.9%만이 호르몬 치료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병원에 내원해 호르몬 치료제를 처방 받는 것이 폐경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비율도 29.2%로 비교적 낮았다.
실제 폐경 증상 개선을 위해 병원에 내원해 호르몬 치료제를 처방 받은 비율 역시 19.7%에 불과했다.
2010년 10월 폐경 여성 57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서도 전체 응답자의 20.6%만이 의사와 상담 후 호르몬치료제를 처방 받았다고 답해, 5년 사이 호르몬치료제 처방 비율에는 큰 변화가 없고 인식 역시 여전히 부정적이었다.
호르몬 치료에 부정적인 이유로는 질 출혈, 체중 증가, 유방 압통과 같은 부작용에 대한 우려와 암 발생에 대한 두려움이 전체의 77%(2010년), 88%(2015년)를 차지해 5년 사이 호르몬 치료제를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원인에도 큰 변화가 없었다.
이병석 회장은 "호르몬 치료에 대해 폐경 여성들이 인식하는 위험도는 실제에 비해 과대평가돼 있다"면서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호르몬 치료제 외에도 최근 안전성을 높인 호르몬 치료제가 새롭게 출시돼 증상 치료의 옵션이 한층 넓어진 만큼 병원을 방문해 적극적인 호르몬 치료를 받아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댓글보기(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