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게이트뉴스 이지원 기자] 지역 국립대병원의 전공의 지원율을 높이기 위해 지역 근무 전공의에 대한 전폭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조국혁신당 강경숙 의원은 23일 진행된 교육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전공의 충원 문제를 짚었다.
그는 "부산대와 경상국립대 전공의 충원 현황을 살펴본 결과 지원자 수가 0명인 과가 있다. 경상국립대병원은 올해 상반기 대다수 채용에서 0명을 기록했다. 전공의가 지원 자체를 안 한다. 다른 대학의 상황 역시 크게 다르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중 외과, 소아청소년과, 심장, 혈관, 흉부외과 등 필수과목을 더 이상 찾지 않는다. 사실상 필수의료가 붕괴된 것이다. 부산대 역시 상황은 비슷하다"며, 전공의 유치 실패 원인이 무엇인지 질의했다.
이에 부산대병원 정성운 원장은 "젊은 의사들이 워라벨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 같다. 필수의료의 경우 생명이 눈앞에서 왔다갔다 하는, 응급 환자가 많다"며 "젊은 의사들이 지원하기 위해서는 수당을 더 주거나 근무 조건을 개선해야 한다. 정책적으로 보완이 되면 더 모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경상대병원 안성기 원장은 "대동소이하다"며 "필수의료 기피 현상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지만 의정 갈등 이후 더 심화했다. 피부·미용은 사법 리스크가 비교적 적어 더더욱 필수의료를 할 이유가 사라졌다. 또 워라벨을 중요하게 생각하는데, 지역의 경우 인프라 구축이 부족해 수도권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지역에 근무하는 전공의에 대한 전폭적인 재정 지원과 교육 등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강 의원은 교수 채용 문제도 지적했다. "교수 채용이 잘되지 않을 뿐 아니라 빠져나가고 있다. 경상국립대병원의 경우 상반기에 104명을 모집했는데, 12명이 왔고, 이들을 채용했다. 하반기에는 22명 중 2명에 그쳤다. 부산대병원 역시 비슷하다. 게다가 올해만 경상국립대병원은 20명, 부산대병원은 25명의 교수가 사직했다"며, 어떤 자구적 노력을 하는지 물었다.
이에 정 원장은 "전공의가 없어 당직 부담 등이 높아지면서 일부 교수진이 떠난 것으로 보인다. 9월부터 전공의가 돌아와 여건이 나아졌지만, 이전보다 교수직에 대한 매력도가 떨어졌다"며 "병원으로서는 교수의 당직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위중한 환자가 왔을 때 이들만 전문적으로 보는 팀을 교수 자원을 받아서 만들었다. 이를 통해 잘 숙직하고 당직할 수 있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안 원장은 "수당을 올리긴 했지만, 교수진의 요구 정도에 미치지 못한다"며 "병원이 적자 경영을 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에 강 의원은 전공의 공백이 적자 경영에 영향을 미쳤는지 질의했다. 그는 "대규모 적자 원인이 전공의 공백과 직접적인 상관이 있다고 보는지 궁금하다. 또 병원 스스로 해결이 가능한 문제인지 혹은 정부 지원이 불가피한 것인지, 누적 손실액에 대한 해법을 말해달라"고 했다.
이에 정 원장은 "전공의 비율이 많았던 과에서는 병목 현상이 생겼다. 마취과의 경우 교수진이 최선을 다해 마취했지만, 절대적인 수가 모자라 수술을 하려고 해도 환자가 대기해야 했다. 이에 의료 수입은 오르지 않았고, 입원도 못 시키는 문제가 발생했다. 전공의 복귀 이후 수입에 호전이 보이고 있으나 그간의 적자 폭이 커 이를 메꾸는 데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고 답했다.
이어 "이 때문에 병원의 시설과 장비 재투자가 어려운 상황"이라며 "정부의 많은 지원을 부탁드린다"고 부연했다.
안 원장은 "정부의 재정적 지원 없이는 국립대병원을 운영하기 어렵다. 전공의 이탈로 진료량이 약 30% 감소했다. 경상국립대병원만 연간 약 530억원의 손실을 봤다"며 "이는 단기간에 회복하기 어렵다. 정부의 긴급 수혈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