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동해안은 해양헬스케어 최적지...거버넌스·거점단지 조성 등 산업화 추진 방안 제안”
강원연구원, “‘국가균형발전특별법’ 등 제도 활용해 정부 지원 이끌어낼 필요도”
[메디게이트뉴스 윤영채 기자] 강원도 동해안이 해양헬스케어의 최적지라며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거버넌스 구축, 거점단지 조성 등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강원도가 출연한 종합정책연구기관인 강원연구원은 최근 발간된 ‘정책메모 - 해양헬스케어 최적지, 강해도 동해안’을 통해 이 같이 밝혔다.
해양헬스케어는 해양자원을 활용한 해양치유로 치료, 치유의 개념을 포함한다. 산업적으로는 해양치유가 헬스케어로 확대되고 해양관광, 해양바이오 등과 연계되면서 해양치유(해양헬스케어) 관광산업으로 그 범위가 확장되고 있다.
강원연구원은 강원도 동해안이 해양헬스케어 산업 육성의 최적지라며 다양한 산업화 추진 방안을 제시했다. 또한, ‘국가균형발전특별법’ 등의 제도를 활용해 정부의 지원을 이끌어낼 필요가 있다고 했다.
관광 트렌드 변화와 해양헬스케어 산업 확대
강원연구원은 “강원도 동해안의 경우 해수욕장 피서객 수는 감소하나 수치유시설이 있는 시설이용 관광객은 증가 추세에 있다”며 “강원도 동해안은 건강지향 관광이 이미 트렌드화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삶의 질 향상, 건강을 위한 소비지향의 관광 트렌드에 따라 스파, 탈라소테라피 등을 포함한 웰니스 관광 급성장하고 있다”며 “전 세계적으로 4940억 달러 이상의 시장 규모가 형성됐다”고 말했다.
강원연구원은 고령사회 의료비 지출 증가와 질병 예방을 위한 관점에서 해양헬스케어 산업을 분석했다. 강원연구원은 “고령인구를 포함한 국민의 의료비 지출을 줄이기 위해서는 사후적 치료에서 사전 예방 중심의 생활건강체제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해양헬스케어는 관광을 넘어 국민건강 증진을 위한 건강복지 개념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현재 정부는 ‘제2차 해양관광진흥기본계획’에서 해양헬스케어 시범단지 4개소 조성 계획을 수립하고 정책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또한, 해양치유를 위한 기본법 ‘해양치유자원의 관리 및 활용한 관한 법률(가칭 해양치유법)’ 발의된 상황이다.
강원연구원은 “또, 해양치유자원 발굴·산업 육성을 위해 선정된 4개 지자체를 중심으로 해양치유단지 조성을 위한 활발한 활동이 전개되고 있다”고 말했다.
“강원도, 해양헬스케어 최적지...해양자원 풍부하고 청정”
강원연구원은 강원도 동해안이 해양자원의 청정성과 다양성, 해양레저,대학, 연구기관 등의 인프라를 갖추고 있다며 헬스케어 산업 육성의 최적지라고 했다.
강원연구원은 “강원도 동해안은 해수, 해풍, 해송림, 해변, 바다모래, 소금 등 해양자원이 풍부하고 산업이 상대적으로 발달하지 않아 청정성을 유지하고 있다”며 “해조류를 비롯한 수산자원, 산림자원, 임산자원 등은 다양하고 풍부하다”고 말했다.
강원연구원은 “대학, 연구기관, 종합병원, 대학병원 등이 있어 인력양성, 연구개발, 분석·검증, 건강진단·치료(치유) 등의 인프라는 구축돼 있다. 서핑을 비롯한 해양레저 인프라도 확충되고 있어 해양헬스케어 추진의 적지로 인식되고 있다”고 언급했다.
특히 강원연구원은 변화하는 관광 패턴에 대응하고 부족한 의료인프라를 보완하기 위해 건강지향, 생활건강 인프라로서 해양헬스케어 도입이 시급하다고 했다.
강원연구원은 “강원도 동해안은 여름철 해수욕 관광 1번지였으나 최근 관광객이 지속 감소하는 등 관광트렌드의 변화가 뚜렷해지고 있다”며 “해양헬스케어는 해수·해양자원을 직간접적으로 활용하기 때문에 산림 치유에 비해 건강증진 효과가 높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강원도의 치료가능 사망률은 충북, 경북 다음으로 높다. 강원도 중에서도 동해안의 일부 지역은 매우 높은 상황”이라며 “해양헬스케어 산업화는 관광자원화뿐만 아니라 지역주민의 건강복지를 위한 목적으로도 추진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해양헬스케어 산업화 추진 방안 제안..."정부 지원 이끌어내야"
강원연구원은 지자체 차원의 해양헬스케어 산업화 마스터플랜 수립, 거버넌스 구축, 거점단지 조성 등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또한, ‘국가균형발전특별법’ 등의 제도적 기반을 활용해 정부지원을 도출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강원연구원은 “정부는 해양치유자원 발굴·산업 육성을 위한 협력 지자체를 대상으로 해양치유시범단지 조성을 추진하고 향후 시범사업 성과에 따라 확대할 예정이다”라며
“강원도는 국가지원 시범사업 대상에는 포함되지 못했지만 ‘국가균형발전 특별법’ 등의 제도적 기반을 활용해 정부 지원 도출이 필요하다”고 했다.
강원연구원은 “해양헬스케어 산업화 추진을 위해 거버넌스 구축, 지역 해양자원을 활용한 제품화, 산업화 추진 방안 마련 등 자체적인 추진도 논의해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그중에서 강원연구원은 해양헬스케어 산업화를 지원하기 위한 ‘해양헬스케어센터(가칭)’ 조직신설을 제안했다.
강원연구원은 “거점단지는 진단과 치유·치료가 이뤄지는 해양치유센터를 중심으로 민간의 숙박시설, 레저시설, 쇼핑센터, 문화시설 등과 연계할 수 있다”며 “지역의 대학은 의료, 레포츠, 관광, 제조 등 관련 분야 인력양성 기능을 구축할 필요가 있고 기존 의료관광을 위한 지역협력 네트워크 활용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강원연구원은 초기에는 치유센터와 레저, 휴양의 웰니스 중심으로 추진해 투자 비용을 절감하고 방문객의 수요에 따라 외부 의료시설과 연계해가는 방안을 제시했다.
강원연구원은 “세계적으로 해양헬스케어의 사업화 형태는 방문객의 건강 증진·관광을 목적으로 한 호텔형(웰니스 중심), 의료연계형(호텔과 의료기관 연계), 의료호텔형(호텔 내에 의료시설 설치) 등과 지역주민의 건강증진을 주목적 으로 하는 주민복지형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며 “의료 호텔형은 민간 주도가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이밖에 강원연구원은 △글로벌 관광의 핵심 콘텐츠화 추진 △지역인증자원과 연계한 해양헬스케어 육성 △노인휴양·지역주민 건강 증진 등 치유의 메카로 조성 △어촌해양치유마을 조성을 통한 어촌 활성화 지원 등을 제안했다.
댓글보기(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