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광수 의원(민주평화당)은 9일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중증 정신질환자의 정신보건기관 등록관리율 현황’ 자료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자료에 따르면 2016년 기준 보건당국이 추정한 지역사회 중증 정신질환자 43만4015명 중 정신건강복지센터를 비롯한 정신보건기관에 등록된 중증 정신질환자는 8만2776명으로 등록관리율은 19%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보건기관 유형별로는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에 등록·관리되고 있는 중증 정신질환자가 6만2098명으로 전체 75%로 가장 많았다. 이어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9158명(11%), 정신재활시설 6674명(8%), 기본형 정신건강증진사업 3480명(4.2%), 낮병원 1366명(1.6%) 순이었다.
현재 정부는 지난해 시행된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정신보건기관을 통해 정신질환자의 재활과 사회적응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정신의료기관에서의 퇴원 등의 사유로 지역사회에 나온 중증 정신질환자를 지속적으로 치료·관리할 수 있는 현실적인 제도적 장치는 미흡한 실정이다.
현행법에서는 지속적인 치료와 관리가 필요한 중증 정신질환자의 경우 정신의료기관의 장이 환자의 인적사항, 진단명, 치료경과·퇴원 등의 사실을 관할 정신건강복지센터 또는 보건소에 통보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본인의 동의가 전제돼야만 가능해 결국 환자가 동의하지 않는다면 의료기관으로부터 환자 정보조차 받을 수 없는 구조적인 문제를 안고 있다.
김광수 의원은 “정부는 본인의 동의가 없으면 의료기관으로부터 환자 정보조차 받을 수 없는 구조적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라며 “지역사회 정신질환자에 대한 보건복지서비스 연계를 강화하는 등의 개선책 마련에 적극 나서야 한다”라고 말했다.
댓글보기(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