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의약품의 데이터 독점기한을 줄이는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TP)보다 힐러리의 약가인하 논쟁의 파급력이 훨씬 클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미국의 공적 의료보험인 메디케이드, 메디케어 부문에서의 행정명령을 통한 약가제한이 가능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유진투자증권 한병화 연구원은 "TPP가 단기간에 바이오업체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하지만, 힐러리의 약가인하 논쟁은 파급력이 크다. 최근 3개월간 나스닥 바이오텍 지수는 힐러리의 약가 논쟁에 따라 15% 조정됐다"고 밝혔다.
지난 6일 타결된 TTP는 미국, 일본을 비롯해 12개국이 참여하는 다자간 자유무역협정(FTA)으로, TPP 협상 결과 바이오의약품의 복제약 출시를 제한하는 데이터 독점기한을 줄였다.
미국 기준으로 기존 12년에서 5~8년으로 낮아져 바이오약품 오리지널 업체에게는 부정적인 영향이 예상된다.
다만, TPP 협상 결과에 대해 다수당인 공화당뿐 아니라 민주당의 차기 대선주자인 힐러리 클린턴, 버나드 샌더스 등이 반대하고 있어 현 상태로 의회표결 통과하는 것은 매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특히 공화당 의원들의 대부분이 데이터 독점기한 축소를 반대하고 있는 상황이라 재협상이 요구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한병화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대선을 앞둔 상황이기 때문에 노조를 자극할 수 있는 TPP 의회 의결은 2017년 이후로 미뤄질 것"이라며 "하지만 힐러리 클린턴의 약가인하 논쟁의 파급력은 월등히 클 것"이라고 예측했다.
힐러리는 지난달 30일 처방약 비용 월 250달러 한도에 대한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한 연구원은 "민주당이 재집권 하더라도 의회의 다수를 차지하는 공화당이 반대하고 있어 직접적으로 약가인하를 명령하는 정책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나, 공적의료보험인 메디케이드, 메디케어 부문에서는 행정명령을 통한 약가제한 등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바이오시밀러 처방의 인센티브 확대와 First-in-Class 바이오시밀러 개발에 대한 정부지원 확대 등이 예상된다.
한병화 연구원은 "미국발 약가인하 논쟁은 궁극적으로 바이오시밀러 시장 확대를 통해 해결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KDB대우증권 김현태 연구원은 "힐러리의 약가 인하 계획에는 제네릭 및 바이오시밀러 장려에 대한 내용이 포함돼 있어 미국에서 고가의 약물을 판매 중인 제약사에게는 위협이 될 것이나, 제네릭 및 바이오시밀러 업체들에게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보기(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