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러스유사체 기반 백신, DNA·RNA 백신 등도 개발 중...사스·메르스도 백신 없어 도전 상태
[메디게이트뉴스 임솔 기자]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개발을 위한 플랫폼 가운데 하나로 바이러스 유사체를 기반으로 한 백신 후보물질 제작에 성공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에 제작된 백신 후보물질은 국립보건연구원 내부과제의 하나로 개발됐다. 바이러스 유사체 백신 후보물질의 형태는 인플루엔자바이러스 구조 단백질에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스파이크 항원을 탑재하고 있다. 바이러스유사체를 기반으로 한 백신 가운데 상용화된 사례는 인유두종 바이러스 백신이 있다.
바이러스유사체(Virus Like Particle, VLP)는 유전물질이 없이 구조단백질로만 구성된 바이러스 입자로 인체 내에서 바이러스 복제가 일어나지 않고 면역반응만 유도하는 백신 형태를 말한다.
권준욱 국립보건연구원장(중앙방역대책본부 부본부장)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코로나라는 의미는 옛날 라틴어 어원에서 왕관의 의미가 있다. 코로나19 바이러스의 돌기, 스파이크는 코로나19 바이러스 자체가 당단백질을 사용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권 원장은 “돌기 밑에 핵산에 해당하는 몸체는 다른 바이러스의 구조단백질을 심음으로써 백신 후보물질을 통해 백신연구를 진행한다. 이러한 바이러스 유사체를 제공한 백신후보물질”이라고 설명했다.
권 원장은 “현재 객관적인 현실을 보면 코로나19와 관련해서 전 세계에서 DNA 백신, RNA 백신, 유사체 백신 등 이렇게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현재까지 이렇게 바이러스 개발에 아직은 우리 인류가 성공했던 적은 없고, 이제 도전이다”라고 말했다.
권 원장은 “메르스도 그렇고 사스도 그렇고 아직은 백신이 상용화되거나 실용화된 적은 없다. 따라서 상당한 시간이 걸릴 수 있고 심지어 세계적 유행을 선언하면서 또는 그 직전에 세계보건기구(WHO) 사무총장이 백신 개발에 18개월 정도로로 예상했다. 18개월조차도 어떤 전문가들은 상당히 낙관적인 판단이라는 이야기를 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권 원장은 “백신을 개발하는 것은 앞으로도 상당히 험난할 수 있고 먼 길이다. 그래도 하나하나 차분히 연구하고 있고,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이 바이러스 유사체 기반 백신 개발을 어떤 후보물질을 개발했다”고 말했다.
댓글보기(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