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C녹십자, 언어 유희 활용한 소염진통제 '탁센' 디지털 광고 온에어
[메디게이트뉴스 이지원 기자] GC녹십자가 소염진통제 브랜드 '탁센'의 신규 디지털 광고를 진행한다고 21일 밝혔다. 탁센 신규 디지털 광고는 총 2편으로 언어 유희와 밈을 활용한 점이 특징이다. '1위편'은 연질캡슐 판매 1위(아이큐비아 2019~2023년 판매액 M01A 기준)를 강조하기 위해 '두통, 생리통, 근육통 판매 1위 오너라'라는 카피를 활용해 판매 실적을 직관적으로 보여줬다. '두통편'은 '편두통, 강한 두통, 반복성 두통, 두통탁'의 언어 유희를 사용했다. 기존의 '빠르게 탁, 강하게 센, 탁센' 키메세지는 계속 유지해 탁센의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이어가고 있다. GC녹십자는 소염진통제로 탁센 라인업을 구축하고 있다. 2007년 나프록센이 주성분인 '탁센연질캡슐' 출시 이후 이부프로펜·몸의 부기 완화에 도움을 주는 파마브롬, 산화마그네슘이 함유된 '탁센 레이디'를 출시했으며, 이부프로펜의 함량을 높인 '탁센400', 덱시부프로펜 300mg의 '탁센덱시', 아세트아미노 2025.05.23
휴온스엔, 여성건강 전문 브랜드 '마이시톨' 인수…경쟁력 강화
휴온스엔은 최근 에이아이더뉴트리진(현 인터로이드)의 여성 특화 브랜드 ‘마이시톨’을 인수했다고 21일 밝혔다. 마이시톨은 세대별 맞춤형 제품을 통해 폭넓은 연령층의 여성 소비자들에게 높은 만족도를 얻으며 여성 건강 전문 브랜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노시톨 기반 여성 영양제 '마이시톨'을 중심으로, 호르몬 밸런스 케어 등 여성 건강에 초점을 둔 다양한 포트폴리오를 전개하고 있다. 요로 건강 제품 '요로크랜', 어린이 비타민 구미 '아이타민 꾸미', '고함량 비타민D 4000IU 츄어블' 등의 제품군도 보유했다. 이번 인수를 통해 휴온스엔은 기존 다양한 건강기능식품 제품군에 여성 맞춤형 솔루션을 더해, ‘토탈 라이프케어 브랜드’로의 도약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휴온스엔은 마이시톨 인수를 기념해 오는 22일~6월30일 마이시톨 공식몰과 스마트스토어에서 '휴온스엔Ⅹ마이시톨 첫 만남 선물' 프로모션을 진행한다. 행사 기간 제품을 구매하는 모든 고객에게 철분 영양제 ‘마이론씨 츄어블’ 1박스를 2025.05.23
BIO USA 성공적인 파트너링 전략은? 짧고 명확한 피치
[메디게이트뉴스 이지원 기자] "피치(pitch)의 목적은 장황한 설명이 아니라 청중의 관심을 유발하는 것이다. 핵심을 쉽고 명확하게 전달하는 것이 중요하다." BIO USA 2025 개최가 한 달 앞으로 다가오면서 글로벌 무대에서 성공적인 비즈니스 파트너링을 위한 실질적 전략에 관심이 모인다. 이에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미국지사는 22일 미국 현지 전략 커뮤니케이션 전문가와 함께 미국 진출 지원 웨비나를 개최했다. 이날 슬로위 맥매너스 커뮤니케이션(Slowey McManus Communications) 제프리 크라스너(Jeffrey Krasner) 수석 부사장은 "피치의 목적은 청중의 흥미를 유발하는 것"이라며, 글로벌 무대에서 주목받기 위한 실질적인 전략을 공유했다. 크라스너 부사장은 많은 바이오 기업이 우수한 기술력과 임상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지만 기억에 남도록 전달하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그는 미팅이 시작되면 기업과 기술을 간결하게 소개하고, 청중의 관심을 이끌어 질문과 흥 2025.05.23
종근당, 노바티스서 마일스톤 '69억원' 수령…기술이전 후보물질 CDK-510 2상 진입
[메디게이트뉴스 이지원 기자] 종근당이 노바티스에 기술이전한 신약 후보물질 'CDK-510'이 임상 2상에 진입함에 따라 첫 마일스톤을 수령한다. 종근당은 22일 공시를 통해 노바티스에 기술수출 한 CKD-510의 단계별 마일스톤 달성에 따른 기술료 500만달러(약 69억원)를 수령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는 노바티스가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첫 번째 임상시험계획(IND)을 제출한 것에 따른 기술료다. 종근당은 2023년 11월 노바티스와 CKD-510의 연구와 임상개발, 상업화 권리에 대한 기술수출 계약을 체결했다. 계약 지역은 한국을 제외한 전세계며, 계약 총액은 13억500만달러(약 1조7302억원)이다. CKD-510은 종근당이 자체개발한 신약 후보물질로, 선택성이 높은 비히드록삼산(NHA) 플랫폼 기술이 적용된 저분자 화합물질 히스톤탈아세틸화효소6(HDAC6) 억제제다. 전임상 연구에서 심혈관 질환 등 여러 HDAC6 관련 질환에서 약효가 확인됐으며, 유럽과 미국에서 진행 2025.05.23
2025년 1분기 제약·바이오 기업 54.4% 매출 성장…10곳 중 6곳은 '흑자'
[메디게이트뉴스 이지원 기자] 올해 1분기 국내 제약·바이오기업의 절반 이상이 매출 성장세를 이어갔다. 영업이익 흑자를 기록한 기업은 60%를 넘었지만, 28.4%는 적자 전환하거나 여전히 적자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메디게이트뉴스가 사업보고서를 공시한 국내 제약·바이오기업의 2025년 1분기 실적을 분석한 결과 125개사의 평균 매출은 개별 기준 628억원으로 전년 576억원 대비 약 9.2% 증가했다. 평균 영업이익은 45억원에서 72억원으로 58.6% 늘었다. 125개사 중 매출액이 성장한 기업은 68개사에 달하며, 영업이익 증가 기업은 57개사로 집계됐다. 이처럼 실적 개선세가 이어졌지만, 적자 전환 기업은 12개사, 적자 지속 기업은 36개사에 달해 이익 구조의 양극화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평균 매출 628억원 이상 달성한 기업은? 삼성바이오·셀트리온·유한양행 등 25개사 125개사의 2025년 1분기 평균 매출액은 628억원이다. 전체 기업 중 평균 매출액 이상의 매출액을 2025.05.22
일동제약, 상처보호·오염제거 하이드로겔 '메디터치 운드 솔루션' 주요 병원 입성
[메디게이트뉴스 이지원 기자] 일동제약은 창상 피복·오염 제거용 하이드로겔(hydrogel) 드레싱 신제품 '메디터치 운드 솔루션'이 국내 주요 종합병원에 입성했다고 21일 밝혔다. 메디터치 운드 솔루션은 상처와 상처 주변 부위의 오염을 분리·제거하고, 상처 면에 대한 물리적인 보호 역할과 함께 습윤 환경을 조성해 주는 겔 타입의 국소 창상 피복 재료로, 거품형과 분사형 2가지 방식으로 나뉜다. 창상 부위를 생리 식염수로 세척하는 과정 없이 겔 타입의 내용물을 뿌리거나 바름으로써 오염 제거와 상처 보호를 위한 피복을 한 번에 해결해 신속하고 효율적인 처치가 가능하다는 게 특징이다. 메디터치 운드 솔루션에는 살균·소독제 성분으로 쓰이는 '차아염소산나트륨'과 상처 보호·관리를 위한 '베타인', '알로에베라', '히알루론산' 등이 사용됐다. 이는 미국 EWG(Environmental Working Group)가 '그린 등급'으로 분류한 원료다. 일동제약 측은 차아염소산나트륨의 수소이온농도 2025.05.21
국가바이오위원회, 기술혁신 가속화 위한 AI신약개발·방사성의약품 등 R&D 중점분야 제시
[메디게이트뉴스 이지원 기자] 제2차 국가바이오위원회 회의에서 국내 바이오 산업의 낮은 경쟁력과 높은 해외의존도 문제가 지적됐다. 이에 국가바이오위원회는 AI신약개발, 방사성의약품 등 10대 바이오 R&D 중점분야를 선정하고 전략적 R&D 추진방향 마련한다. 국가바이오위원회는 20일 서울스퀘어 16층 국가바이오위원회 회의실에서 제2차 국가바이오위원회 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는 1월 발표한 대한민국 바이오 대전환 전략 추진의 일환으로, 국가바이오위원회가 미래 성장 동력 창출을 위한 바이오 혁신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개최됐다. 정부는 1월 대한민국 바이오을 이끄는 구심점으로 국가바이오위원회를 출범하고, 세계적인 바이오 강국 도약을 위한 국가전략으로 '대한민국 바이오 대전환 전략'을 발표했다. 이후 위원회는 ▲바이오과학·의료 분과위 ▲바이오자원·혁신 분과위 ▲바이오제조·전환 분과위 등 산하 3개 분과위원회를 구성·운영해 분야별 전문성을 강화했다. 또한 '바이오 기업협의회' 개최로 현장 2025.05.21
SK바이오팜, 미국서 뇌전증 치료제 '엑스코프리' TV 광고 캠페인 전개
[메디게이트뉴스 이지원 기자] SK바이오팜의 미국 자회사인 SK라이프사이언스(SK Life Science)가 19일(현지시각)부터 미국 전역에서 TV 광고 형식의 소비자 직접(DTC, Direct-to-consumer) 광고 캠페인을 본격 개시했다고 20일 밝혔다. '발작 감소를 위한 길(Road to Seizure ReductionTM)'이라는 타이틀을 단 이번 광고 영상은 뇌전증을 앓고 있는 한 청년과 그의 아버지가 함께 떠나는 로드 트립을 통해, 신약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고 세노바메이트를 새롭게 복용 시도하는 과정을 상징적으로 그려낸다. 궁극적으로는 20년 이상 오랜 기간 뇌전증을 겪은 환자에게도 발작 감소의 가능성과 희망이 있음을 전달한다. 이번 캠페인은 세노바메이트(미국 제품명: 엑스코프리/XCOPRI)의 인지도 제고와 신규 환자 처방 확대를 위한 전략적 마케팅 활동이다. 뇌전증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높이고, 환자가 신약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고, 의료진과 치료 옵션에 관 2025.05.21
시지바이오, 첨단재생의료 R&D·임상·상용화 위한 MOU 체결
[메디게이트뉴스 이지원 기자] 바이오 재생의료 전문기업 시지바이오가 서울예스병원, 서울예스바이오와 첨단재생의료 및 헬스케어 사업 협력을 위한 3자 간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시지바이오와 척추·관절 치료에 특화된 서울예스병원, 서울예스병원의 자회사이자 첨단재생의료 연구개발을 담당하는 서울예스바이오가 첨단재생의료 전 주기에 걸친 유기적 협력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이다. 시지바이오는 연구개발에 필요한 제도적·행정적 지원과 제품화, 글로벌 진출 전략을 총괄하며, 기획·운영 조직인 MSO(Management Service Organization)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서울예스병원은 환자군 확보, 임상 자문, 치료기술의 현장 검증 등 실질적인 의료 현장에서의 임상 수행을 담당하고, 서울예스바이오는 치료제·의료기기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전임상, 임상까지 연구개발을 담당한다. 세 기관은 협약을 기반으로 첨단재생의료 분야의 공동 연구와 기술 개 2025.05.21
삼진제약 '2025 블라썸 심포지엄' 개최…식욕부진 치료 정보 교류
[메디게이트뉴스 이지원 기자] 삼진제약이 10일 JW메리어트 동대문에서 '2025 삼진 블라썸 심포지엄(Samjin BLOSSOM Symposium)'을 개최했다고 19일 밝혔다. 소아청소년과 전문의를 대상으로 한 심포지엄에서는 임상 현장에서 마주하는 다양한 식욕부진 사례와 그로 인한 성장 문제에 대한 논의가 진행됐으며, 실제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치료 방안도 제시됐다. 심포지엄 좌장은 가천의대 류일 교수와 울산의대 박기영 교수가 맡았으며, 인천성모병원 소아청소년과 김유이 교수, 키움소아청소년과의원 허경 원장이 연자로 참여했다. 김 교수는 "소아 식욕부진은 감염, 내분비 질환, 신경계 이상 등 복합적 원인으로 인해 발생하며, 성장뿐만 아니라 다양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트레스탄'을 병용한 임상 사례와 효과를 소개했다. 그는 "트레스탄은 식욕 중추에 작용해 식사량을 증가시키며, DL-카르니틴, L-리신, 시아노코발라민 등 보조 성분이 면역력 증진과 성장 2025.05.20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