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9.0815:11

신임 질병관리청장에 정은경 본부장·보건복지부 제2차관에 강도태 기획조정실장

문재인 대통령 "질본은 감염병 총괄기구...복지부 보건 분야 차관 신설로 공공보건의료 역량 강화" 문재인 대통령은 8일 질병관리본부에서 '청'으로 승격된 질병관리청의 초대 청장으로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을 내정했다. 또한 신설된 보건복지부 제2차관에 강도태 보건복지부 기획조정실장을 임명했다.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이 같은 인선 결과를 발표했다. 정 신임 청장은 서울의대 출신으로 질병관리본부 질병예방센터장, 긴급상황센터장 등을 두루 거쳤으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서 방역 최전선을 맡아왔다. 강도태 신임 보건복지부 제2차관은 고려대 무역학과와 행시 35회 출신으로, 보건복지부 복지행정지원관, 보건의료정책관, 보건의료정책실장 등 을 역임했다. 청와대는 "보건복지부 제2차관은 보건의료 분야의 전문성 강화와 국민 및 의료계와의 원활한 소통을 통해 보건의료 관련 현안을 슬기롭게 해결해 나가는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화상국무회의에서 "질병관리본부를 질병관리청으로 승격하고, 보건복지부에 보건 분야 차관을 신설해 복수차관

2020.09.0809:20

김성주 의원 "공공의대 설립 정책 철회 아냐...법안을 원점 재논의해서 수정·합의하면 된다"

"'철회=원점 재논의'는 의협회장 생각, 수년간 논의해온 정책 철회 불가...국시 거부는 학생들 설득 소홀히 한 의료계 책임"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성주 의원(더불어민주당, 전주병)이 공공의대 설립 정책 자체를 철회할 수는 없으며, 공공의대 법안을 원점에서 재논의하면 된다고 밝혔다. 지난해 6월 30일 국립공공의대 설립 법안을 발의한 김성주 의원은 8일 오전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이 같이 밝혔다. 지난 4일 대한의사협회-민주당, 보건복지부간 합의문에는 공공의대 설립과 의대정원 증원 등 정책 '철회'라는 단어가 들어가지 않는 대신 '코로나 안정 때까지 중단'과 '원점 재논의'가 들어가고 의협 최대집 회장이 서명했다. 의대생과 전공의들은 정책 철회를 요구하면서 여전히 강경한 파업을 이어가고 있는 상황이다. 김 의원은 "'철회'라는 요구에 대해 의협 내부에서도 전공의단체와 많은 토론이 있었던 것으로 알고 있다. 의협 최대집 회장이 (합의문에 서명한 이후) '철회'와 '원점 재논의'는 같은 뜻이다라고 이야기했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어떤 정책이 짧은 시간에 성사되지 않는다. 공공의대 설립은 10

2020.09.0808:36

시민사회단체의 공공의료 큰그림 "민주당과 국민연금 공공투자로 공공보건의료공단 설립"

인의협 정형준 처장 "공공의료 10→20% 늘리고 체계적 관리 필요...공단 설립 논의 못하고 부정적 여론만 키워" [메디게이트뉴스 서민지 기자] 시민사회단체가 기획재정부와 보건복지부에 진정성 있는 공공의료 확충을 충분히 논의하고 공공의료를 체계적으로 확대, 관리하는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의대정원은 기존 국공립의대를 통해 확대하는 대신 공공의료의 총체적 계획과 인력 재배치를 수행할 단일 공공보건의료공단을 설립해야 한다는 것이다.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 정형준 사무처장(무상의료운동본부 정책위원장·보건의료단체연합 정책실장·재활의학과 전문의)은 최근 메디게이트뉴스와의 인터뷰를 통해 정부의 여러 공공의료 관련 정책이 차질을 빚고 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문재인 정부 초기 여러 시민단체와 김연명 청와대 사회수석비서관까지 적극적으로 추진해온 공공보건의료공단 설립이 정부에 막혀 무산 위기에 놓여 있으며, '시민사회 추천 공공의대생 선발'이라는 확인되지 않은 카드뉴스를 정부가 직접 만들어 공공의료에 대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고 있다는 것이다. 공공보건의료공단, 국민연금 공공투자 협약에 따른 공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