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4차 회의 예정…기입대자 수련 연속성 보장, 지방∙바이탈과 저조한 지원율 등 다뤄질 듯
수련협의체 4차 회의가 21일 서울역 T타워에서 열린다. 사진은 지난달 25일 열린 1차 회의 모습.
[메디게이트뉴스 박민식 기자] 병원별 전공의 하반기 모집이 속속 마감되고 있는 가운데, 수련협의체 4차 회의가 21일 열린다.
보건복지부는 21일 오후 서울역 T타워에서 수련협의체 4차 회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는 전공의 하반기 모집 마감을 앞두고 마지막으로 열리는 회의로, 다음 회의는 2주 뒤다.
의료계 측은 이번 회의에서 기입대 사직 전공의들에 대한 수련 연속성 보장 문제를 테이블 위에 올릴 것으로 예상했다.
앞선 세 차례의 회의를 통해 정부와 의료계는 사직 전공의의 기존 병원∙과목 복귀 시 사후 정원 보장, 복귀 전공의 전문의 취득 시까지 입영 연기 등에 합의했다. 하지만 기입대 전공의 문제를 놓고선 평행선을 달렸다.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는 기입대 전공의도 이번 하반기 모집에서 지원할 수 있도록 하자고 주장해왔다. 실제 복귀는 제대 후가 되더라도 사전에 정원을 보장해주자는 취지다. 대전협 외에 수련협의체에 참여하고 있는 대한의학회, 대한수련병원협의회 등도 기입대 전공의 수련 연속성 보장이 필요하다고 한목소리를 내고 있다.
대한공중보건의사협의회(대공협)에 따르면 올해 입대한 의무사관후보생의 42%는 소위 ‘필수과’ 전공의다. 이에 대공협은 지난 12일 입장문을 통해 “필수의료를 포함한 사직 전공의들이 다시 돌아와 환자와 술기에 전념할 수 있게 정부가 대승적 결단을 내려야 한다”고 촉구하기도 했다.
이같은 의료계의 주장에 복지부 역시 당장은 어렵다면서도 전향적 입장을 내비치고 있다.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지난 18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군복무자들의 이번 하반기 지원은 어렵다”면서도 “복귀 시 사후정원을 인정하는 방안을 검토할 예정이다. 특히 필수의료 분야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대전협 정정일 대변인은 “정 장관이 기입대자 수련 연속성 보장을 검토하겠다고 한 만큼 수련협의체에서 구체적 방안에 대해 논의할 필요가 있다. 지방과 바이탈과의 낮은 지원율 문제도 다뤄질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수련환경 개선 논의도 본격화될 전망이다. 김국일 복지부 보건의료정책관은 지난 3차 회의 직후 “4차 회의부터는 근무 시간, 교육 등 수련환경 개선과 관련한 논의가 시작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한편, 이번 회의에는 이형훈 복지부 제2차관도 참석할 예정이다. 수련협의체 정식 위원이 아닌 이 차관은 지난 1차 회의에만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