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게티이미지뱅크 [메디게이트뉴스 이지원 기자] "앞으로의 의료는 의료 자체로 존재하기 어렵다"는 주장이 나왔다.
지난 달 28일 한국헬스케어디자인학회 2017년 추계학술대회에서 급성기 병원의 변화에 대해 발표한 연세대 보건대학원 이상규 교수는 "미래에는 교통·의료·소방·행정 등 도시가 구성돼 돌아가기 위한 요소들이 ICT로 통합해 운영될 것"이라며 스마트시티의 일부로서 의료 환경의 변화에 대해 언급했다.
이 교수는 "개인은 앞으로 유전체(genome) 정보뿐 아니라 단백체(proteom), 발형체(phenome), 후성유전학(epigenome), 유도만능줄기세포(iPS Cells), 원격의료(telehealthc) 정보 등을 포함한 수없이 많은 빅데이터의 클라우드에 둘러쌓이게 될 것"이라고 소개하기도 했다.
오 교수는 이러한 사례로 "미국 호텔 서비스 체인의 노인케어센터의 경우 1, 2층에 공용공간과 치매센터를 별도로 두고, 그 위 3개층을 요양시설로 사용하며 나머지 위층을 독립주거시설로 꾸몄다"고 말하며 "한 건물로된 형태에서 복합화된 공간을 구성해 공간과 운영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공간계획이 시도되고 있다"고 소개했다.
그는 이에 대해 노인의료비의 급속한 증가로 비용을 줄이기 위한 사전예방차원의 간호 필요성이 증가함에 따른 것으로 풀이하며, 세대교류형 시설 혹은 사회 교류 프로그램 등을 통해 지역사회와 융화되는 고령자 서비스 공간의 계획이 중요해졌음을 강조했다.
댓글보기(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