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입력시간 23.03.17 07:14최종 업데이트 23.03.17 10:26

제보

스탠퍼드대 쿠시다 교수 "실험실에서 하는 수면 연구, 5~10년 안에 집에서도 할 수 있을 것"

[세계 수면의 날 특별기획] 병원에서 수면 무호흡증 진단 받고 집에서 소비자용 수면 추적기로 모니터링할 것 예상

사진: 미국 스탠포드대학교 수면의학과 클리트 쿠시다 교수.
'세계 수면의 날' 특별기획 

세계수면학회(World Association of Sleep Medicine, WASM)는 수면과 관련된 의료·교육·사회적인 문제를 환기시키고, 수면장애를 예방·치료함으로써 수면질환과 관련된 사회적인 부담을 낮추기 위해 매년 낮과 밤이 똑같아지는 춘분 직전 금요일을 '세계 수면의 날' (World Sleep Day)로 정하고 있다. 올해 세계 수면의 날은 3월 17일이며, '수면은 건강에 필수적이다(Sleep is Essential for Health)'를 슬로건으로 내세워 세계 각지에서 관련 행사가 마련되고 있다. 메디게이트뉴스는 세계 수면의 날에 발표된 수면건강과 수면산업의 주요 내용을 모아서 다뤄본다.  

①경제 불황에 불안·우울로 잠 설치는 사람↑…한국인 85% 수면의 질 저하 증상 경험
②수면장애가 산업계에도 큰 영향...디지털 치료기기 1호 '솜즈', 불면증 치료제로 포문
③스탠퍼드대 쿠시다 교수 "실험실에서 하는 수면 연구, 5~10년 안에 집에서도 할 수 있을 것"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수면 추적기와 같은 장치의 정확도가 점차 증가해 레벨 1~3 장치를 대체, 5~10년 뒤면 실험실에서 하는 수면 연구를 집에서도 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미국 스탠포드대 수면의학과 클리트 쿠시다(Clete A. Kushida) 교수가 16일 JW메리어트 동대문스퀘어에서 열린 에이슬립 주최 슬립테크 라이프 2023(Sleep Tech Life 2023)에서 '수면 의학의 미래(Digital Transformation)'와 '수면다원 검사의 과거, 현재와 미래'에 대해 발표했다.

첫 번째 강연에서 쿠시다 교수는 ▲소비자용 수면 측정기의 진화(웨어리블, 니어러블, 에어러블) ▲수면 장애의 진단 및 치료 기회 ▲수면의학 환자 관리의 현재와 미래에 대해 소개했다.

쿠시다 교수는 "소비자용 수면 추적기와 같은 장치는 환자가 장치를 사용하는 동안 여러 밤에 걸쳐 연구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유용하며, 수면 무호흡증이 얼마나 나쁜지 실제로 추정할 수 있다. 하룻 밤만 샘플링하면 그 날이 가벼운 경우일 수도, 심각한 경우일 수도, 전혀 사실이 아닐수도 있기 때문이다. 수면 무호흡증을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여러 번 검사하는 것이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에는 다양한 유형의 표현형이 있는데 이를 실제로 예측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은 아직 없다. 따라서 수면 추적기 및 기타 장치를 사용해 다양한 유형의 위험 요인을 가진 사람을 더 정확하게 찾아내고 타겟팅 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쿠시다 교수는 "앞으로는 환자 방문 외에도 원격 의료 방문이 점점 더 많아지고, 더 정교한 설문지를 작성해 어떤 유형의 장애가 있는지 파악해 방문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다양한 수면 장애에 대한 바이오마커를 연구해 유전자 검사로 어떤 유형의 수면 장애가 있는지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환자들이 소비자용 추적기 또는 웨어러블 기기를 사용해 실제로 다른 수면 장애가 있는지 추적할 수 있고, 이 정보를 사용해 그 시점에서 결정을 내릴 수 있을 것이다"고 강조했다.

또한 "앞으로 더 나은 관리를 위해 바이오마커와 다양한 세포 표현형을 사용해 더 많은 정밀의학을 사용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면서 "환자 대부분이 레벨 2 또는 레벨 3 장치로 수면 무호흡증 진단을 받고 집에서 클라우드 컴퓨팅을 통해 소비자용 수면 추적기로 지속해서 모니터링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두 번째 강연에서는 현재 수면 연구는 어떻게 이뤄지고 있고, 그 한계는 무엇이며, 앞으로의 전망은 무엇인지 발표했다.

실험실 환경에서 수행되는 레벨 1 수면 연구는 정확도는 높지만 검사를 기다리고 결과를 검토하는데 노동력과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쿠시다 교수는 "대기자 명단을 줄이고 검사 결과를 검토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줄이기 위해 자동 채점 기능을 도입하기 시작했다. 현재 전 세계에 출시된 많은 수면 장치 또는 수면 채점 장치에는 수면 단계 및 수면 관련 이벤트에 대해 점수를 매길 수 있는 자동 채점 기능이 있다"면서 "문제는 여기에 사용되는 알고리즘이 전적으로 신뢰할 수준이 아니기 때문에 여전히 기술자와 주치의가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고 했다.

쿠시다 교수는 "지난 10여년 동안 레벨 2 장치로 발전해왔는데, 레벨 2 장치는 실험실에서 할 수 있는 것을 가정에서도 할 수 있게 하는 연구다. 휴대성이 조금 더 뛰어나지만 여전히 환자에게 전극을 부착하는 것이 매우 쉬운 단계는 아니며, 환자가 집에서 하려면 기술적으로 약 5~10% 이상 실패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따라서 차선책으로 수면 무호흡증과 같은 수면 호흡 장애를 진단하기 위해 여러 기기가 나와 있다. 이러한 기기는 주로 수면 관련 호흡 장애를 진단하기 위한 것이지만 실험실 수면 연구와 비교했을 때 신뢰성과 타당성의 정도는 모두 다르다"고 설명했다.

그는 "수면 추적기와 같은 유형의 장치는 유효성과 정확도, 정교함이 증가함에 따라 레벨 3 장치를 완전히 대체하고 경우에 따라 레벨 1 및 레벨 2 장치를 대체할 것이라 믿는다. 그러나 실제로 목표는 이러한 새로운 장치가 나올 때 초소형 무선 피부 전극처럼 전신 시스템을 기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라며 "레벨 3 장치는 주로 수면, 호흡 장애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주기적 운동 장애나 기면증과 같은 다른 장애는 포착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피부에 합성적으로 부착해 근육의 개별적인 움직임을 포착하는 장치도 있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쿠시다 교수는 "수면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해 더 작고 눈에 잘 띄지 않는 센서와 통합하는 더 나은 기술, 소리 측정에 도움될 수 있는 기술, 모션에도 통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 등 네 가지 가이드를 충족할 수 있다면 궁극적으로 현재 실험실에서 수행하는 모든 기록을 약 5~10년 안에 집에서 할 수 있을 것이다"고 전망했다.

박도영 기자 (dypark@medigatenews.com)더 건강한 사회를 위한 기사를 쓰겠습니다
댓글보기(0)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

이 게시글의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