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입력시간 25.11.14 07:28최종 업데이트 25.11.14 07:28

제보

을지의대 유승민 학장 "지방 미니 사립의대, 정원 확대 필수"

교수 인력난 심각…80~100명 수준 적정 정원 확보해 학생-전공의-교수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 구축해야

을지의대 유승민 학장은 지방 미니 사립의대들의 경우 교수 구인난이 심각하다며 입학정원의 증원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메디게이트뉴스 박민식 기자] 지방 소재 소규모 의대들의 교수 구인난 해결을 위해 의대정원을 확대해야 한다는 제안이 나왔다.
 
을지의대 유승민 학장은 13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 국제관에서 열린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 정책 포럼에서 “지방 사립의대들은 절실한 상황이다. 국립대는 정부가 재정 지원 약속이라도 해주지만, 사립대는 스스로 살길을 찾아야 하는 실정”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유 학장은 “우리 대학의 경우 병원이 4개가 있고 각 병원마다 과를 운영해야 하는데 전공의가 많지 않다 보니 교수들의 업무 부담이 크다”며 “지난해 의정 갈등으로 당직을 서는 일도 잦아지면서 교수 이탈이 가속화하고 있다. 비교적 교수가 많은 학교인데도 불구하고 임상과에 따라선 다음 번에 강의를 부탁할 교수가 있을지 걱정되는 상황”이라고 했다.
 
이어 “보통 학생 시절부터 출신 대학병원에 남고 싶어 하는 이들이 있고 이들이 전공의를 거쳐 교수가 되는 경우들이 있지만, 소규모 사립대의 경우 다수의 인원이 졸업 후 수도권 등으로 빠져나가기 때문에 이런 구조가 불가능하다”며 “지난해 의정 사태의 원인이 합리적 논의가 없었던 상황에서 이뤄진 입학정원 증원 때문이었는데, 지방 미니 사립대 입장에서 최소한의 적정 정원은 필수”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공개적으로 (증원) 얘기를 꺼내면 비난을 받거나 자기 이익만 챙긴다고 할 수 있지만 현실이 그렇다”며 “전공의가 부족해지고 업무가 과중해진 교수가 이탈하는 악순환의 고리를 단기간 내에 끊어내지 않으면 회복이 불가능할 것”이라고 했다.
 
유 학장은 자료집에서 구체적으로 최소 80~100명 정도의 입학정원을 확보해 학생-전공의-교수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구축해야 한다고 했다. 이 외에도 주거 및 자녀 교육 지원, 초기 연구비, 정착 지원금 등의 유인책과 함께 수도권∙국립대 교수의 순환 파견제, 지방 의대 간 공동강의 시스템 구축 등을 제안했다.
 
유 학장은 “사립, 국립 할 것 없이 학생이 들어와서 전공의와 교수로 지역에 남는 선순환을 만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며 “그게 안 되면 10년, 20년 뒤에 지역 의료를 논하는 건 의미가 없을 것”이라고 했다.

박민식 기자 (mspark@medigatenews.com)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

이 게시글의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