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맵핑' 기술 접목한 MRI 영상, 심장질환 예후 예측
서울대병원, 대동맥판막 협착증 '심근T1' 지표 개발
[메디게이트뉴스 황재희 기자]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이승표, 이희선(강남센터) 교수 연구팀이 대동맥판막협착증 환자의 예후를 자기공명영상(MRI) 검사로 예측하는 지표를 개발했다. 연구팀은 지난 2011년부터 2015년까지 환자 127명의 MRI정보로 추적 관찰한 내용을 27일 공개했다. 대동맥판막협착증은 좌심실과 대동맥 사이 문 역할을 하는 대동맥판막이 좁아져 심장이 피를 잘 내보내지 못하는 질환이다. 좁은 판막 틈으로 피를 보내기 위해 심장은 더 강하게 수축하고, 시간이 흐를수록 심장근육은 섬유화로 비대해진다. 이로 인해 호흡곤란, 흉통, 실신 등 나타나고 급사의 위험도 있다. 먼저 연구팀은 지난 2011년부터 2015년 사이 서울대병원에 내원한 대동맥판막협착증 환자 127명의 심장 MRI정보에 ‘T1맵핑’을 적용했다. 이후 '심근T1값'을 측정하고, 평균 2년 6개월 동안 추적 관찰했다. MRI는 강한 자기장을 이용해 인체에서 되돌아오는 자기파를 측정한 다음 영상을 얻는 장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