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상돌기 특이적 골지체, 퇴행성 뇌질환에 핵심
치매 등 초기 신경병증 치료제 개발에 성큼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이 독성 단백질에 의해 공통적으로 발병하는 치매, 파킨슨병, 루게릭병 등 다양한 퇴행성 뇌질환 중 하나인 ‘폴리글루타민’의 초기 신경병리 기전을 규명하고 이를 회복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했다. DGIST 뇌·인지과학전공 이성배 교수 연구팀과 뉴바이올로지전공 황대희 교수 연구팀은 뇌신경세포에서 수상돌기 특이적 골지체가 퇴행성 뇌질환에 미치는 초기 신경병리 기전을 규명했다고 17일 밝혔다. 현재 고령인구 증가에 따라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 10명 중 1명은 치매거나, 예전에는 알 수 없었던 난치성 퇴행성 뇌질환을 겪는 환자 수가 늘어나고 있지만 퇴행성 뇌질환에 대한 치료제 개발은 미흡한 상황이다. 따라서 DGIST는 이번 연구가 퇴행성 뇌질환 초기 신경병증 치료제 개발을 한층 더 앞당길 수 있다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먼저 연구팀은 뇌신경세포에서 세포소기관 가운데 하나인 골지체 중 수상돌기 특이적 골지체가 퇴행성 뇌질환의 초기 신경병증에서 핵심적인 역할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