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공조의 필요성까지 제기되는 '항생제 내성' 극복을 위해서는 국내부터 항생제 사용과 관리에 대한 통합 지침과 공조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질병관리본부 조은희 감염병관리과장은 29일 질병관리본부와 주한영국대사관 및 아시아태평양감염재단이 공동개최한 '제1회 한국-영국 항생제 내성 워크숍(서울코리아나호텔)'에서 이 같이 밝혔다.
조 과장은 "정부 부처간에도 항생제 사용 관련 공조가 잘 되어 있지 않으며, 심사평가원의 지침과 학회 등 전문가의 지침이 다르다. 통합하는 지침도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항생제 사용량을 내성과 어떻게 연결할지에 대한 체계적인 계획이 없다"면서 "이에 실험실 감시체계를 어떻게 표준화할 것인지 세부적인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고 말했다.
항생제 내성은 전 세계 공중보건을 위협하는 요소로 인식된다. 세계보건기구(WHO)의 글로벌 항생제 내성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대장균, 폐렴간균, MRSA 등에 사용되는 3세대 세팔로스포린 계열 항생제의 내성은 이미 높다.
아시아 지역은 문제가 더 심각해, 세계에서 가장 높은 항생제 내성률을 보인다. 중국, 한국, 일본, 인도네시아 등의 지역이 MRSA 관련 절반이 넘는 항생제 내성을 기록하는 상황이다.
항생제 내성이 문제가 되는 이유는 질병 이환율을 비롯해 입원기간, 사망률을 높이기 때문이며 영국 정부는 2014년 12월 "이대로라면 2050년 한 해 동안 전 세계 1000만명이 수퍼박테리아 감염으로 사망하고 연간 100조 달러의 비용이 들어갈 것"이라고 경고한 바 있다.
특히 여행·관광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항생제 내성 세균 감염이 많아지고, 항생제를 사용한 식용동물의 수출입이 활발한 상황에서 영국은 국가 공조에 대한 공감을 얻고자 이번 워크숍을 제안했다.
패널들은 보건분야와 농축수산식품분야 및 자연환경을 포괄한 'One Health' 기반의 공조 전략을 세워야 한다는 데 모두 동조했다.
하지만 그에 앞서 항생제 사용에 대한 인식 제고와 함께 통합 지침, 부처 및 민간기관과의 코웍(Co-work)이 필요하다는 게 조 과장의 지적이다.
조 과장은 "항생제 내성 해결은 단일 부서만 추진하는 게 아니라 복지부 안에서도 여러 부서가 합심해야 하고, 부처 간, 민간기관과도 협력해야 한다. 그 다음이 국제적 공조"라고 강조했다.
그는 "급성 감염이 아닌 만큼 한순간에 좋아질 것이라고 기대하지 말고, 인내심을 갖고 차근차근 밟아야 한다"면서 "인식 제고가 가장 시급하다"고 말했다.
영국 보건부 존 왓슨 박사 역시 "영국은 항생제 내성 5개년 계획을 세우고 범정부적인 활동을 벌였지만, 여전히 의료기관의 항생제 사용률은 증가한다"면서 "영국 역시 정확한 방향을 세웠다고 말하기 어렵다. 먼저 우리의 인식과 행동이 바뀌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인식 제고의 출발점을 의과대학으로 꼽았다. 항생제 내성에 대한 정보 및 교육이 교과과정 혹은 수련과정에 포함돼야 한다는 것이다.
조은희 과장도 "감염내과 의사들이 알면서도 의료체계 때문에 적절한 항생제를 못쓰는 경우가 있다"면서 "항생제를 적재적소에만 사용케 하는 홍보가 필요하며, 특히 의대 학생에 대한 교육이 중요하다"고 피력했다.
댓글보기(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