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입력시간 25.07.24 07:25최종 업데이트 25.07.24 12:00

제보

교육부 '의대생 복귀 방안' 브리핑 취소 이유는…"5월 졸업안, 특혜시비·반대 여론 적지 않아"

KAMC 설문결과 찬성 53%·반대 47% 단 6%p 차이…교육 부담 큰 대학 위주로 반대 많아 추가 논의 필요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메디게이트뉴스 하경대 기자] 교육부가 24일로 예정된 '의대생 복귀 및 교육 운영 방안' 관련 브리핑을 공지 6시간여 만에 취소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교육부는 23일 저녁 늦게 "복귀 학생들의 졸업시기와 관련해 정부와 대학간에 더 논의가 필요해 내일 발표가 취소됐다"고 공지했다. 

더 구체적인 설명은 없었으나 이번 브리핑 연기는 의과대학 본과 3, 4학년 졸업 일정과 관련이 있다는 추측이 유력하다. 교육부가 이와 관련해 고심을 거듭하고 있다는 것이다. 

의대 학장들은 졸업 일정 중에서도 특히 본과 3학년 졸업 방안을 두고 그동안 이견이 많았다. 대학마다 실습 시간 주수가 달라 2027년 2월에 졸업할 수 있는 곳이 있는가 하면, 같은 해 8월 졸업이 불가피한 의대도 존재하기 때문이다. 

학교 별로 졸업 시기가 상이해 질 경우 이후 인턴과 레지던트 선발에도 차질이 발생한다. 

이런 이유로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는 23일 본과 3, 4학년 졸업 일정에 대한 학장 대상 투표를 실시했다. 결국 투표에 따라 2월과 8월의 절충안으로 일괄적인 '5월 졸업' 안이 채택됐다. 

KAMC는 해당 안을 '의대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의총협)'를 통해 전달했고 의총협도 이를 교육부에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결국 교육부는 의대생 전원 복귀를 코 앞에 두고 '5월 졸업' 안을 수용하거나 학교 별로 졸업 일정을 자율에 맡기는 방안을 결정해야 할 기로에 놓이게 됐지만 이를 두고 고민이 깊다는 후문이다. 

교육부가 의대 학장들 요구대로 본과 3, 4학년 졸업을 5월로 일괄 변경할 경우 사실상 특례를 적용하는 것이라 '학사 유연화는 없다'는 기존 주장과 배치돼 특혜 시비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의대 학장들 사이에서 불고 있는 반대 여론도 무시할 수 없다. 5월 졸업 안에 대한 학장 대상 투표 결과는 찬성 53%, 반대 47%로 단 6%p 차이였다. 특히 교육 부담이 큰 대학들 위주로 반대 의견이 컸던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일부 의대들은 일괄적인 졸업 일정에 맞춰 교육을 진행할 수 있을지 의문을 제기하고 있는 상황이다. 일례로 일부 지방 의대의 경우 교수 정원 부족으로 교육 커리큘럼 조율에 차질을 호소하고 있다. 

이런 점을 고려해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는 22일 "복귀하는 의대생을 충실하게 교육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은 (대학이) 자율적으로 결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 의대 교수는 "전문의중심병원을 한다고 전공의 정원이 많은 수도권 대형병원 위주로 채용이 늘다 보니 지방 필수과 교수들 중심으로 수도권으로 많이 빠져 나간 상태다. 일부 대학은 교수 정원의 30~40% 밖에 남지 않은 곳도 있다"고 말했다. 

하경대 기자 (kdha@medigatenews.com)
댓글보기(0)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

이 게시글의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