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코엑스에선 대한영상의학회 학술대회(KCR2015)가 개막했다.
10일부터 사흘간 진행되는 본 행사에 앞서 열린 Pre-congress에선 '대한영상의학회 70년사 발간'을 기념하는 심포지엄과 '대한영상의학회의 미래: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라는 주제의 패널토의가 진행됐다.
약 한 시간 동안 진행된 패널토의에서는 대학교수, 개원의, 전임의, 공보의가 참여해 영상의학과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
포문을 연 한준구 교수(서울대병원)는 "영상의학과는 자체적인 수요도 문제지만, 외부요소가 크게 영향받는 과이기 때문에 항상 이런 점을 염두에 두고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 교수는 "우리 과가 가장 철렁했던 것은 정부 사이드 의료 정책이고, 그것의 영향이 컸다고 생각한다"라며 "이전에 CT가 의료보험 적용이 되고, 판독료가 통합수가로 적용됐던 것이 우리 과에 큰 영향을 줬다"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정부는 정책과 관련해 국민 입장에서 항상 얘기한다"라고 말하고 "어떻게 하면 우리에게 필요한 정책을 국민에게 이득이 되는지 (정부에게) 설득시키고 명분을 갖는 게 중요하다"라고 주장했다.
바통을 이어받은 최문형 전임의(서울성모병원)는 "팍스(PACS) 시스템이 도입되면서 영상의학의 판독 시간이 단축되었다"고 예를 들며, 장비나 기술 또는 환경이 영상의학과에 큰 변화를 줄 것이라고 전망했다.
최 전임의는 "타과에서는 (팍스 시스템 덕분에) 영상의학에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영상의학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며 영상의학에 대한 이해도가 더 높아졌다"라고 설명하고, "그런 점에서 영상의학과 의사가 어떤 방향으로 가야 하는지 고민해 볼 수 있다"라는 의견을 개진했다.
교육에 대한 점검의 필요성도 제기됐다.
서종현 공보의(남원의료원)는 "현재 영상의학과 교육은 높은 수준이라고 생각한다"라며 "하지만 현실을 감안할 때 적절한 교육이 적절하게 실행되는지 검토가 필요한 시점이다"라는 의견을 피력했다.
서 공보의는 이어 "예를 들어 봉직의를 할 때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건강검진에 대한 교육이 잘 이뤄지고 있는지, 현재 대학병원에서 이뤄지는 진료나 최신 영상 기법이 지나치게 세분화한 것은 아닌지, 전환교육이나 보충교육이 적절하게 이뤄지고 있는지에 대해 생각해봐야 한다"라며 "새로운 영상의학과가 요구하는 교육이 되고 있는 지, 현시점에서 점검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김승철 개원의는 뒤를 이어 "개원을 하고 나니 제일 문제가 되는 게 히스토리 테이킹과 약 처방 문제 등의 영상의학과 외적인 문제다"라고 소감을 밝히고, "가령 복부로 치면 간에 악성 종양이냐 양성 종양이냐 낭종이냐가 종병에선 중요하지만, 개원가에선 병변이 있는지 없는지 존재 확인 자체가 가장 중요하다"라고 소개했다.
김 개원의는 "현재 대한영상의학회가 르네상스를 맞고 있다. 하지만 이것이 지속하진 않기 때문에 대비를 해야 한다"라며 경계를 당부하고, "돈에 대한 욕심을 줄이면 존경받을 수 있다"라는 의견도 덧붙였다..
"타과 의사들이 영상 장비를 찾는 것은 어쩔 수 없는 흐름이고 막을 수도 없다"
이어진 토론에서는 다소 예민한 주제인 타과 전문의의 영역 침범에 대한 주장이 오갔다.
최 전임의는 "타과 의사들이 영상 장비를 찾는 것은 어쩔 수 없는 흐름이고 막을 수도 없다"라고 주장하고 "영상의학과 의사들은 전문적인 지식으로 타과 사람들의 질을 관리하고 열어주되, 더 양질의 서비스를 할 수 있도록 전문적인 관리를 해야 한다"라고 역할의 의미를 부여했다.
한 교수는 "이미지 퀄리티나 장비의 안전성에 대해서 영상의학과가 전문성을 가지고 동료 의사들의 신뢰와 정부의 신뢰를 얻는 게 중요하다"라고 강조했고, 김 개원의는 '메디치가' 흥망의 예를 들어 "겸양하면서 전면에 나서지 않고, 주위 과들과 조화를 이루는 것"이 중요하다며 "오만에 빠지면 금방 몰락할 수 있다"라고 경고했다.
댓글보기(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