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게이트뉴스 조운 기자] 응급환자의 전원 및 이송이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 가운데 진료정보교류(Health Information Exchange)가 환자안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사례가 발표됐다.
성균관의대 데이터융합미래의학교실 양광모 교수는 26일 서울아산병원 연구원 지하 대강당에서 열린 대한환자안전학회 제16차 정기학술대회에서 진료정보교류를 활용한 전원 시 환자안전에 대해 발표했다.
진료정보교류란, 진료의 연속성을 보장하기 위해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한 환자에 대해 본인의 진료기록을 원하는 의료기관에 전자적으로 안전하게 송수신해 의사가 환자 진료에 참조할 수 있도록 교류하는 서비스다.
양광모 교수는 "진료 이력을 참조해 신속하고 빠른 진료 대응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고, 중복 진료와 처방의 최소화로 의료비 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의료기관도 진료 인력을 참조해 진료 연속성을 강화할 수 있고, 연속성 있는 정보 제공을 통해 의료서비스의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양 교수는 실제 진료정보교류를 활용한 분당서울대병원의 사례를 소개했다.
그는 "경기도의료원을 방문한 뇌졸중 환자가 뇌동맥혈전제거술을 위해 분당서울병원으로 전원될 때 미리 진료정보교류 시스템을 이용해 MRI 등 영상자료, 혈액검사를 전송해 치료 계획을 미리 수립할 수 있었다"며 "환자 도착 즉시 수술을 시행했고, 치료 후 인근 재활의료기관으로 전원돼 골든타임 내 치료를 가능케 했다"고 설명했다.
양 교수는 "진료정보교류 시스템은 의료기관 간 협진 및 중복 처방도 감소시켰다. 삼성서울병원 혈액종양내과를 다니던 환자가 지방 대학병원 응급실에 내원해 치료를 받았는데, 어떤 치료를 받고 있는 지 환자도 제대로 설명하기 어려울 때가 있다. 이때 삼성서울병원 진료협력센터, 파트너즈센터에 연락하면 즉시 진료정보교류를 통해 약물 및 영상자료를 전송해 적절한 진료가 가능하다"고 전했다.
그는 "이처럼 진료정보교류는 신속, 정확하고 중복 없는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진료정보의 휴대와 전달이 용이하다는 장점도 있지만, 문헌 고찰에서 확고한 증거는 아직 부족한 단계"라며 "이에 따른 연구 수립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진료정보교류도 현실에 적용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유사 사업인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진료의뢰회송사업'과 중복 문제다.
양 교수는 "진료정보교류는 복지부 주관으로 디지털을 통해 환자 정보를 의료기관에 통째로 전달하는 기술인데, 진료의뢰회송사업은 환자를 2차에서 3차로, 3차에서 1차로 의뢰하고 회송할 때 수가를 주는 사업"이라며 "진료정보교류는 별도 수가는 없어서, 심평원 수가 사업과의 연동이 되기는 하지만 가끔 빠질 때가 있다"고 애로사항을 전했다.
이에 의료현장에서 보다 쉽고 빠르게 진료정보교류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댓글보기(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