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입력시간 15.04.15 06:35최종 업데이트 16.04.16 09:02

제보

의사의 사회적 역할

단원고 스쿨닥터 김은지 선생님 인터뷰(2)

"이 일이 성공적이었으면 좋겠습니다"

1편에 이어...


 

"세월호 교사들에겐 여러 가지 트라우마가 있는데요.
말하자면... 끝도 없죠."




메디게이트뉴스: 단원교 교사들 입장에선 심경이 복잡할 것 같습니다. 죄책감, 미안함... 복잡할 것 같은데요. 좀 어떠신가요?

-선생님들은 사실 더 안 좋죠. 굉장히 안 좋죠.

선생님들에게 여러 가지 트라우마가 있어요.

첫 번째는 세월호 사고 자체로 인한 트라우마,

두 번째는 교감 선생님이 자살하신 것에 대한 트라우마,

세 번째는 동료 교사들이 죽은 거잖아요? 그것에 대한 트라우마,

그리고 자기가 가르치던 학생들이 죽은 것에 대한 트라우마,

그 후에 유가족들의 항의를 겪고,

교육부나 교육청은 자기들을 보호해주지 않고,

그리고 시신을 확인하면서도 트라우가 있었고… 말하자면 끝이 없어요.

상황 자체는 이렇게 어려운데, 선생님들은 항상 이렇게 얘기를 하세요

"왜 이러세요? 우리는 어른이잖아요? 우리가 알아서 (관리를) 할게요."

 

 

메디게이트뉴스: 단원고 교사분들이 지금 선생님과 직장 동료신거잖아요? 교류는 많이 하시나요? 어떻게 지내세요?

-자주 같이 어울려 지낸다고 보기는 어려워요.

왜냐면 저는 사실 지금 경북대 소속인데, 파견형태로 단원고에 나왔고요.

'마음건강센터'는 학교에 편입하지 않고, 외곽에서 자율적으로 돌아가는 편이에요. 말하자면 부속 유치원이랄까?

그래서 관찰하고 서포트하는 정도?


메디게이트뉴스: 아, 그렇군요.

-일부러 덜하는 것도 있어요.

치료자 입장이니까. 의사가 환자랑 아주 친하면 그 나름대로 문제가 되잖아요? 그래서 적당하게 거리를 유지하는 편입니다.



메디게이트뉴스: 제 주위분들을 보면, 어른으로서 미안한 마음과 과다한 뉴스로 인한 피로감이 교차해서 세월호 사건에 관해 복잡한 감정이 든다는 사람들이 있거든요?

지금 대중을 지배하는 그런 '집단적인 마음'이 있다고 보는데요. 정신과 의사로서 대중들에게 조언해줄 만한 것이 있을까요??


-혹시 그런 분이 있다면, 죄책감을 느끼지는 않아도 될 것 같아요.

세월호 사건은 굉장히 크고 끔찍한 사고였잖아요? 그런 얘기를 계속하면 누구나 마음 한편에 피로감이나 피하고 싶은 생각이 들 것 같아요. 그것은 어떻게 보면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하지만 우리는 아이가 아닌 어른이고, 사회 구성원이니깐, 

이 사고를 너무 끔찍하고 잘못된 일로만 기억하지 말고,

우리 사회에서 이차저차 해서 좋은 방향으로 갔고, 그후에 "우리가 이렇게 달라졌다"라는...

우리가 "그것(세월호 사건)을 통해 성장을 하려면 어떻게 할까?" 고민하는 게 더 건설적이라고 생각합니다.

 



메디게이트뉴스: 현재 세월호 사건과 관련하여 정신과 의사들이 하고 있는 일들이 궁금합니다.

-작년 4월 17일 자원봉사 공지를 하고, 300명이 넘는 소아정신과 의사 중 250명이 여기에 한번은 왔다 가셨어요.

처음에는 자원봉사를 주로 하셨었죠. 학교가 정말 혼란스러울 때였거든요.

여러 단체 부스들이 잔뜩 들어와 있고, 신라면을 나눠 주고, 유가족들(그때 당시에는 실종자 가족)이 있고, 아이들이 삼삼오오 모여있고…

그 상황에서 일단 학교 순찰을 먼저 시작했습니다.

'아이들이 어디에 있을까?', '어디서 뭐하고 있을까?', '혹시 창문은 열려 있나?', '어두컴컴한 교실에 애들이 혼자 있지 않을까?'

혹시 모르니깐 화장실 문도 열어보고, 그런 일부터 시작해서 나중에는 여기에 이런 공간(마음건강센터)이 생기고, 심리상담 원하는 아이에게 제공하고, 8월까지 그랬어요.

개원의 선생님들이 오후에 병원 문을 닫고 와서 그렇게 하셨습니다.



메디게이트뉴스: 개원의 분에게는 오후 진료까지 포기하고 오는 게 쉽진 않은 일이잖아요?

-예. 정말 힘든 일인데, 많이들 해주셨어요.

그리고 다른 쪽에선 '재난정신건강위원회'라고 하는 게 있는데요, 거기에서 선생님들이 자료집을 만들고 중장기 계획을 세워요.

또 유가족들 조별 모임에 참여하거나 다양한 백업을 하는 걸로 알고 있고요.


 



 

"의사는 그냥 '저기'에 있는 사람인거죠.

다만 전문성이 있고 좀 객관적이고 조언을 할 수 있고


항상 홀딩한다고 하쟎아요? 어떤 맥락과 상관없이 항상 상대를 감싸주는 사람.."




메디게이트뉴스: 예전에 세계 각국 의대생에게 의대 선택 이유에 대해서 설문했던 적이 있는데요, 유독 우리나라 학생들이 '경제적인 이유'를  압도적으로 응답해 충격을 줬던 적이 있습니다. 선생님은 '의사의 사회적 역할'에 관해 고민해 보신 적이 있나요?

-정신과가 워낙 사이코소셜(Psycho-social, 심리사회적인)하잖아요?

제가 원래 이전에 인문학(심리학)을 전공해서, 관심이 많은 편이었어요.

다른 과도 그럴 거라 생각은 하는데요, 환자가 어떤 사람인지 '찬찬히' 봐주지 않으면 모든 치료가 잘 되기 어렵잖습니까?

그런 것처럼, 이 사람이 처해있는 환경도 우리가 봐야 되고, 소통과 교감이 늘어야죠.


예전에는 동네 의사가 동네 이장 역할을 많이 했었거든요.

환자를 보는 것에 국한하지 않고, 모든 일에 있어서 '의사'인 거죠.

기술적인 부분을 한정해 분화하는 것보다, 이제 다시 전임적으로 가는 것이 좋지 않을까?

그래야 의사라는 직업이 '돈 많이 벌기 위해 하는 것?', '생계를 위해 하는 것?'이라는 생각이 좀 변하지 않을까요?


(스스로 대답할 '짬밥'이 되지 않는다며 여러 번의 거부 끝에 나온 어려운 대답이였다.)

 

"Hippocrates refusing the gifts of Artaxerxes"


메디게이트뉴스: 선생님이 평소 생각하셨거나 혹은 이 일을 통해 느끼시는, 의사라는 직업이 사회를 잘 돌아가게 하는데, 기여하는 건 무엇일까요?

-의사는 그냥 '저기'에 있는 사람인 거죠.

다만, 전문성이 있고 좀 객관적으로 조언할 수 있는 사람 말입니다.

항상 '홀딩'한다고 하잖아요. 어떤 맥락과 상관없이 항상 상대를 감싸주는 사람.

의사의 몫은 항상 몸과 마음을 낫게 하고, 사람을 편안하게 해주는 것 외에 다른 게 없는 거잖아요.

그런 포지션에서 항상 옆에 있어 주는 존재.


그래서 (단원고) 선생님들이 어려운 일이 생기거나, 정말 갈 데가 없을 때, 

동료 교사와 말할 수 없고, 교감 선생님과도 말할 수 없을 때,

그래도 의사에게 올라와 푸념하고 위안받고 내려가는,

"그런 것을 사회 전체적으로 확대해도 가능하지 않을까?"라고 생각합니다.

안식처지만 믿을만하고 권위 있는, 의사라는 것은 그런 역할이 보장된 직업인 거잖아요?



 

"부정적인 피드백이나 일들로 인해 아이들이 정서적인 어려움을 겪으면,

쌓은 모래성이 파도 한 번에 없어지는 것 같은 무력감이 들죠."


 


메디게이트뉴스: 사람들은 항상 그럴듯한 큰 계획은 세우지만, 막상 실천에 들어가면 작은 부분에 파묻혀 원래 가려던 큰 틀의 방향과는 틀어지는... 그런 괴리감을 겪게 되고 고민을 하게 되는 것 같은데요. 선생님은 그런 괴리감을 어떻게 조정하시나요?

-처음 여기 지원해서 올 때 저희(정신과) 선생님들하고 한 얘기가 있어요.

"난 아무 것도 생각하지 않고, 아이들만 생각할 거다."

"한 명이라도 도움이 된다면 내가 여기에 있을 거고, 내가 해가 된다면 여기 있지 않을 거다."

"그거 말고 다른 것은 생각하지 않겠다."

단지 그거였거든요. 

여전히 그것을 많이 생각합니다.



메디게이트뉴스: 학교에 근무하면서 가장 힘든 건 무엇인가요?

-제일 힘든 것은 인터뷰(웃음)... 농담이고요.

세월호 사고 후에 이 지역의 심리적인 집단 트라우마가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오히려 심해졌어요.

그런 긴장감에서 나오는 여러 갈등이 저에겐 더욱 아이들을 옳게 하도록 노력하게 만드는데요.

부정적인 피드백, 일들로 인해 아이들이 정서적인 어려움을 겪으면,

쌓은 모래성이 파도 한 번에 없어지는 것 같은 무력감이 듭니다.

현실적인 어려움이고요.



메디게이트뉴스: 이 일이 끝나신 후에 선생님의 진로에 대해서는 생각해 보신 적이 있나요??

-전혀 생각을 안 했어요.

일단 이 일에만 집중할 생각이에요.

 

 


메디게이트뉴스: 선생님 개인적으로 요즘 가장 큰 화두는 무엇인가요?

-지금은 일단 4월 16일이에요. 4월을 잘 넘기는 것이고요.

앞으로 지금처럼 열심히 살아야 할 때가 많지는 않을 거라는 생각으로 오는 인터뷰 막지 않고…(웃음) 아이들에게 긍정적인 얘기만 할 수 있다면 말입니다.


1주기가 되면 아이들이 힘들 수도 있다고 생각하는데요.

애도 반응을 좀 더 진전시키고, 마음의 트라우마도 좀 덜게 하고,

그런 시간이 될 수 있길 기대하는 거죠.


 

 


 

메디게이트뉴스: 마지막 질문입니다. 선생님에게 '단원고'가 어떤 의미가 될까요?
 

-말할 수 없을 만큼 큰 의미겠죠?

지금은 제가 최대한 감정적으로 거리를 유지하려고 노력하지만,

굉장히 큰 의미죠.

제가 지금 7살, 4살짜리 두 아들을 약간은 소홀히 하고 집중하는 일이라면 감정적으로 굉장히 투자하는 일이에요.


제가 예전에 페북에 올린 글이 있는데요.

"(지금 이 일이) 내가 소아정신과 의사로서 할일 중에 가장 순수하고 열정적이고 성공적인 일이 되었으면 좋겠다"라고 적혀있습니다.

이 일이 성공적이었으면 좋겠습니다.

 



이렇게 인터뷰는 끝났다.

주인 없는 교실엔 꽃이 채워져 있고, 등교길 문구 하나하나가 머리를 맴돌았다.


 

 

 

#세월호 #스쿨닥터 #김은지 #단원고 #메디게이트뉴스 #ptsd

김두환 기자 (dhkim@medigatenews.com)
댓글보기(0)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

이 게시글의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