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올 2월 오린 해치 상원 재무위원장이 주미 한국대사에게 서한을 통해 '보험 약가결정 과정 투명성 제고'를 포함한 한미 FTA 미이행의 문제점을 제기한 적 있다.
하물며 보호무역주의 강화를 선언한 트럼프가 자국 내 다국적 제약사의 이익을 대변하기 위해 한미 FTA에서 혁신 신약의 가격 보상을 요구해 올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보건산업진흥원 황순욱 제약산업지원단장은 "전문의약품 가격을 시장에 맡겨야 한다는 논리를 통해 한국에서 출시하는 자국 신약에 대한 보험약가 인상을 요구할 것"이라며 "공화당의 주요 후원사 중 하나가 다국적 제약사인 만큼 신약의 적정 약가를 보장하려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더 나아가 보건의료단체연합 우석균 위원장은 "자동차 산업 등 다른 분야와 약가를 패키지로 묶어 재협상을 제시할 것"이라며 "한국이 어디까지 받아들이고 안 받아들일지 대비하지 않으면 국내 제약의 손실을 바탕으로 미국 제약사의 진출을 돕는 꼴"이라고 지적했다.
패널들은 적절한 대응 방안을 내놓지는 못했다.
다만, 국내 정책도 다국적 제약사와 공생할 방안을 강화하고, 국내 제약사들의 R&D 능력을 제고할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황 단장은 "다국적 제약사와의 공동 연구개발‧해외진출 등 상생 협력을 통해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고, 이들의 혁신형 제약기업 인증 요건을 완화하는 등 국내사와 공생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아주약대 이범진 교수는 "정치적 불확실성은 제약바이오의 지속가능한 경제 성장 모델로 대체해야 한다"면서 "GMP 심사 상호 인정을 구체화해 해외 수출품에 대한 현장실사 면제 등 글로벌 진출을 지원하기 위한 실제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피력했다.
댓글보기(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