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입력시간 20.12.20 13:03최종 업데이트 20.12.20 21:10

제보

코로나19 사태로 백신 자급화 문제 부각..."국가적 기반·보상 부족"

제약바이오협회, 위드 코로나와 제약바이오산업 기반 강화 정책보고서 발간

최근 코로나19 대유행으로 빠른 진단과 격리라는 'K-방역'이 자리잡았지만, 정작 백신을 확보하지 못해 유행 종식이 늦어지면서 의료붕괴 사태가 우려되고 있는 상황이다. 

백신 자급화는 민간의 노력과 역량만으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집중 투자와 연구개발에 대한 합리적 보상 등 국가 지원과 산업적 기반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위드 코로나와 제약바이오산업 기반 강화'를 주제로 한 제21호 정책보고서(KPBMA Brief)를 20일 발간했다.

강진한 가톨릭의대 백신바이오연구소장은 ‘백신주권 확립의 길’이라는 글에서 "선진국은 자국민을 위한 3차 방위산업 개념과 미래 바이오산업으로 백신 회사를 적극 지원하고 있다"면서 "백신 산업화는 민간 위주가 아닌 국가정책과 지원이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 소장은 백신 자급화의 가장 큰 걸림돌을 성급하고 지속성이 없으며 기업의 논리를 벗어난 정책과 지원이라고 지적했다. 

강 소장은 "정책적 지원 측면에서 정확한 평가없이 지원하거나 개발 후 세계화 지원 정책이 너무 행정에 치우치는 경향이 있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이를 개선하기 위해선 일차적으로 개발 기업, 정부 유관기관과 전문가들이 원활히 교류해야 한다"며 "민관협력이 있어야 경제 및 시간적 누수를 방지하고 실효성 있는 백신 개발이 이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특히 "백신개발이 가능한 기반이 있는 곳을 중점적으로 지원하고, 불필요한 중복 투자를 피하는 한편 시장에서 제 값을 받도록 해야 자급화에 근접할 수 있다"고 밝혔다.

산업계에 대해선 백신 자급화를 위해 백신 개발 능력이 있는 인력과 백신 인프라 설계 역량, 임상 체계 구축, 마케팅 전략과 사업기반 등 기반 구축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강선주 국립외교원 교수는 '바이오안보와 자국우선주의의 도래'를 통해 코로나19 팬데믹으로 강화된 글로벌 자국우선주의 기조를 조명하며, 제약바이오산업에 기반한 바이오안보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강 교수는 "코로나19 팬데믹은 의약과 특정 의료장비에서 자급자족을 달성할 필요성을 높였다"면서 "국민 보호에 필수적인 의약품 조달을 경쟁국에 의존하는 것은 안보 위협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어 "코로나19 팬데믹은 바이오안보의 중요성을 급격히 상승시켰다"면서 "국가들을 자국우선주의와 경쟁으로 유도하는 국제정치의 불확실성은 단시간에 정리될 사안이 아니므로 한국의 바이오안보와 바이오산업도 대응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박하영 서울대 교수는 ‘제약바이오산업 혁신 효율성 국가 비교 연구’에서 “한국 제약바이오산업은 ‘연구 및 개발 효율성’과 ‘전반적 효율성’ 모두 크게 개선됐지만 ‘개발 효율성’이 절대적으로 낮아 신약을 도출하는데 어려움이 있다”고 분석했다. 

제약바이오산업이 미래 성장동력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개방형 혁신 활성화와 관련 인재확보를 통한 개발역량 확충, 이를 통한 개발 효율성 향상이 시급하다고 덧붙였다.

이 밖에 이번 정책보고서는 ▲원료의약품 자급률 제고 ▲글로벌 진출 현황과 과제 ▲보험의약품 정책환경 변화와 산업계 대응방안 ▲코로나19와 제약바이오산업에 대한 국민 인식 변화 ▲항체의약품의 바이오베터 기술 소개 및 개발 동향 ▲마이크로니들의 시장 및 기업 동향 ▲입법 동향 등을 수록했다.

서민지 기자 (mjseo@medigatenews.com)
댓글보기(0)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

이 게시글의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