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입력시간 17.12.15 05:00최종 업데이트 17.12.15 10:22

제보

미국 유전자 회사에 스카우트되다

[딴짓 22] 카운실(Counsyl) 강현석 MD

학자의 꿈에서 출발해 기업에서 일하기까지

[메디게이트뉴스 이지원 기자] 유전자 분석 서비스 시장의 중심에서 뛰고 있는 한국 의사가 있다. 그는 창업한지 올해 10주년을 맞는 미국 실리콘밸리에 위치한 유전자 검사기업 ‘카운실(Counsyl)’에서 임상검사실 메디컬 디렉터(MD)로 있다.
 
메디게이트뉴스는 그가 지난 10월 한국바이오협회가 주최한 ‘2017 코리아 바이오 플러스’ 참석차 내한했다는 소식을 듣고 그를 찾아갔다. 미국에서도 손꼽히는 유전자검사기업인 ‘카운실(Counsyl)’에서 근무하는 그는 강현석 박사다.
 
그는 한국어도 유창하긴 하지만 영어가 훨씬 익숙한 듯한 분위기를 풍긴다. 학자의 길을 가기 위해 서울의대를 졸업하고 박사과정을 밟으러 떠난 유학 길이었는데, 지금은 한창 주목 받는 유전자 검사 시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그에게 좀 더 자세한 이야기를 들어봤다.
 
사진: 미국 유전자 검사 기업 '카운실(Counsyl)'의 강현석 메디컬디렉터(MD) ©메디게이트뉴스
 
엔지니어(engineers), 생물학자(biologists)와 함께 일하는 곳
 
카운실(Counsyl)은 여성의료에 중점을 두고 자녀 출산을 앞두고 있는 여성과 가족들을 대상으로 하는 보인자 검사를 비롯해 유전성 암 질환, 비침습적 산전 기형아 검사(NIPT)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2009년 10월 업계에서 가장 먼저 보인자 검사를 도입했다. 부부 모두 유전질환을 가진 경우 자녀가 유전질환을 가질 확률이 4분에 1에 달하게 되는데, 부부의 열성 유전질환 보인자 여부를 스크리닝해서 그 결과를 제공한다. 해당 결과에 따라 유전질환 자녀를 출산할 위험이 예상되는 부부는 인공수정으로 정상 배아를 골라 건강한 자녀를 출산하는 등의 대비를 하게 된다.
 
카운실은 보인자 검사에서 수백 개 질환에 대한 검사를 시행한 것을 계기로 사업을 확장하게 됐다. 보인자 검사를 포함해 카운실이 제공하는 유전자 검사를 받은 환자 수가 현재까지 85만 명에 달한다.
 
그러나 카운실은 개인에게 직접 서비스하는 형태가 아닌, 병원에서 임상 목적으로 사용하는 검사에 대해 의사들의 의뢰(order)에 따라 환자에게 검사 결과를 제공하는 형태다. 그래서 직접적인 경재상대로는 테라노스와 세마4(Sema4)가 해당된다.
 
‘인생의 중요한 시기에 DNA 검사 스크리닝을 제공하는 것’을 미션으로 하는 카운실은, 제품에 있어서도 환자가 결과를 가지고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카운실도 실리콘밸리의 다른 회사들처럼 소프트웨어하고 엔지니어링 쪽을 강조한다. 어떤 일을 하더라도 그 일을 하는 엔지니어(engineer) 및 생물학자(biologist)와 함께 일해야 한다. 그래서 이들과 무리 없이 의사소통을 하는 게 이곳에서 근무하는 중요한 요건 중 하나다.
 
 
유전자 검사 기업의 MD로 일하기까지
 
카운실에서 메디컬 디렉터(MD)이자 연구책임자(raboratory director)로서 검사 전반에 대한 책임을 지는 역할을 맡고 있다.
 
어떤 검사를 하는지에 대한 규제를 하는 건 아니고, 표준작업지침(SOP: Standard Operating Process)이 있고 이를 따르는지, 검사를 재확인(validation)하는지, SOP를 따르지 않을 때 어떻게 하는지 등에 대해 감독하고 전반적인 책임을 진다.
 
병원 진단검사의학과에서 하는 역할과 근본적으로 다르지는 않다. 다만, 병원에서는 주로 작업(operation)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반면, 이곳에서는 새로운 제품을 개발하는 역할이 주어진다. 또한, 기업이다 보니 회사의 이익이나 미션에 관련해 당장 필요한 거라면 예산을 조정해서라도 최대한 빨리 진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처음 미국에 갈 때는 박사학위를 위해 떠났다. 발생학적인 연구에 관심이 많아서 먼저 워싱턴대 제프리 골든 연구실에서 일하던 중, 피츠버그의대 진단검사의학과 전공의에 지원했다. 장내 미생물 연구를 하며 분자유전 병리학을 세부 전공했다.
 
그 후 버팔로 암센터에서 3년간 근무했는데, 프로그래밍에 관심이 생겨 결국 스탠포드대의 ‘바이오의료정보학(bio medical informatics)’ 과정을 공부하게 됐다. 그 당시 학교에서 열렸던 카운실의 기업 설명회에 참석해 당시 CTO의 발표를 듣다 ‘카운실이 모은 유전자정보의 활용은 엔지니어링(engineering)의 문제’라고 언급하면서 카운실과의 연결고리가 생겼다.
 
나의 코멘트가 유전자 정보로 환자에게 필요한 검사를 적시에 이용 가능하도록 하는 카운실의 기업 미션과 일치해 눈에 띄게 됐고, 결국 그로부터 2주 후에 채용 계약을 하게 됐다.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유전질환 스크리닝 시장

유전체 분석시장은 진단과 스크리닝으로 나뉠 수 있다. 이 중 스크리닝 시장, 특히 출산관련(reproductive) 시장이 훨씬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비침습적 산전기형아검사(NIPT)가 기존의 검사에 비해 정확성이 높아 빨리 성장하고 있고, 암 유전질환 분야도 암 진단 후 유전성 질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진단 분야에서 이제는 스크리닝 시장으로 옮겨가고 있는 상황이다. 
 
카운실(Counsyl)은 부부의 열성 유전질환 보인자 여부를 스크리닝해서 그 결과를 제공하는 등 스크리닝 목적의 유전체 분석 서비스에 중점을 두고 있어 이러한 시장 상황을 잘 반영하고 있다. 카운실(Counsyl)은 한국에서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현재 국내 관련 기업과 논의를 진행 중이다. 다만, 현재 논의 중인 서비스는 국내 기술이전이 아닌 샘플을 채취해 본사로 보내는 구조로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카운실 외에도 유전자 검사 서비스와 관련해 자주 언급되는 회사로는 컬러지노믹스, 23앤드미, 헬릭스(helix) 등이 있다. 컬러지노믹스는 우성 질환, 유전성 암질환, 가족성 고지혈증 검사 등을 런칭하며 수익성 보다는 유전자 검사에 대한 인지도 혹은 접근성을 높이는데 주력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23앤드미, 헬릭스(helix)는 임상검사가 아닌 개인을 대상으로 하는 유전자 정보 제공 서비스다. 이들 회사는 이용자를 대상으로 수집한 설문결과를 통해 새로운 연관성을 찾아내고 제약회사와 연계해 신약개발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등 사업 분야는 다르지만 전반적으로 인지도를 향상시킨다는 측면에서는 시장 성장에 도움이 되고 있다. 

한편, 지금 유전체 분석 시장은 관련 기업 간 인수합병이 많이 일어나고 있다. 유전체 검사의 특징인 규모의 경제(economic scale)를 넘어설 수가 없기 때문에 작은 회사들은 도태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작은 회사들은 새로운 기술을 만들어내서 큰 회사에 인수되는 경우가 종종 일어난다. 그래서 중견회사인 카운실은 계속해서 자동화 전략 등을 통해 효율성을 올리고 있는 상황이다. 

 
후배들에게 한 마디

메디컬 디렉터(MD) 혹은 실험실 책임자(Loboratory director)는 최근에 들어 상당히 인기가 높아진 것 같다. 유전체 분석 서비스와 관련해 여러 회사가 신설되고, 그런 회사에서 임상적인 견해나 감독을 필요하는 경우가 늘었기 때문이다. 

본인은 운좋게 본인이 생각하는 방향과 스킬셋이 회사에서 요구하는 부분과 잘 맞아서 만족하며 다니고 있지만, 현재 이 분야가 인기 있다고 섣불리 뛰어드는 것은 권하지 않는다. 지금은 인기가 높지만 이 분야는 5년, 10년 전에는 매우 드물고 전망이 없다고 생각됐던 분야다. 향후 5년 후, 10년 후도 시장 판도가 어떻게 바뀔지 모른다. 

자기하고 잘 맞는 회사를 찾을 수 있다면 좋은 경력을 쌓을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지만, 단순히 회사에서 실험실 책임자를 하기 위한 것이 결정 요인이 되어서는 안된다. 먼저, 자기가 평생 하고 싶은 게 무엇인지를 생각하고 거기서 알맞은 기회를 찾는 게 중요하다. 만약, 자기가 가장 좋아하는 일이고 산업 쪽으로 갈 기회가 있다고 생각한다면 고려해 볼 만하다.

반면, 실험실 책임자의 역할을 넘어 최고 의학 책임자(CMO)의 경우는, 오히려 산업체 보다 의학적으로 명성을 쌓은 이가 채용되는 경우가 더 많다. 분야마다 다르긴 하지만, 아카데믹 경험을 많이 쌓은 후에 산업 쪽으로 갈 수 있는 기회도 많이 있기 때문에 무조건 산업체만을 고집할 필요는 없다. 

그럼에도 기업체에서 일하는데 관심이 있다면, 산업 분야 네트워크를 많이 개발하고 경영이나 회계 분야에 대해 더 공부하는 것이 준비하는데 도움이 될 수도 있다. 하지만, 커리어는 결국 개인적인 선택이라 어느 하나가 맞고 틀린 게 없다. 5년 후, 10년 후를 생각하고 가장 원하는 단계로 가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생각해보길 바란다. 

#딴짓 # 딴짓하는 의사들 # 유전자 검사 # 카운실 # Counsyl # 강현석 # 메디컬 디렉터 # MD #

메디게이트뉴스 (news@medigatenews.com)
댓글보기(0)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

이 게시글의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