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나의원 사건으로 감염 위험성이 촉발된 C형 간염의 국가건강검진 도입이 급물살을 타고 있다.
20일 보건복지부 및 질병관리본부(이하 질본)에 따르면, 복지부는 유병률이 높은 지역을 선정해 내년 1월 '국가건강검진 시범사업'을 시작, 상반기까지 진행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 질본 감염관리과가 고유병지역을 대상으로 '생애전환기 건강검진(만40세와 만66세에 무료 검진)'에 C형 간염을 포함시켜 시범 실시하는 방안을 복지부에 제안, 결제만 남아있다.
질본이 선정한 시범사업 지역은 2013년 연구용역 결과를 토대로 4개 시도(부산, 경남, 전남, 제주)와 14개 시군구다.
질본 관계자는 "내년 상반기 동안 진행하는 시범사업 결과와 질본의 연구용역(검진의 비용효과성 등) 결과를 하반기 중 분석한 후, 국가건강검진위원회에 도입 안건을 상정할 것"이라며 "위원회에서 의결된다면 2018년 국가검진을 본격 실시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C형간염의 국내 유병률은 1% 안팎으로 낮지만, 감염 경로가 다양한 만큼 실제 감염자 수는 훨씬 많을 것으로 보고 간학회가 지속적으로 국가검진 도입을 요구해 왔다.
연세의대 소화기내과 김도영 교수는 20일 대한간학회 주최 '제17회 간의 날 행사'에서 "간암 원인의 15% 이상이 C형 간염인데도, 75% 이상의 환자는 감염 사실을 모르고 있다"면서 "경구 약제+예방 캠페인+스크리닝이 동반돼야 2030년 C형간염 환자의 제로(Zero)화가 이뤄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국가검진 도입에 비용이 너무 많이 들면 힘들겠지만, 연구 결과 우리나라는 어떤 유자자형이든 ICER(점증적 비용-효과비) 값이 6천~8천달러 정도였다"면서 "비용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있으니, 무료검진을 꼭 도입해야 한다"고 피력했다.
고려의대 소화기내과 김지훈 교수는 "C형간염 관련 정치적 이슈 때문인지 정부가 속도를 내고 있다"면서 "내년 초 연구용역 결과가 나오면 도입 추진 속도가 더 빨라질 것"이라고 기대했다.
한편, 간학회가 20~59세 성인 남녀 2천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시행한 결과 '검진 경험이 있다'고 답한 사람은 12.2%(245명)로 2013년(10%)과 비교해 큰 개선이 없었다.
감염자마저도 치료에 대한 인지도가 낮았다.
본인이 C형간염 감염자라고 응답한 2%(31명) 중 치료 받지 않은 응답자는 35%(11명)에 달했다.
치료 받지 않은 이유로는 '심각성을 몰라서'라는 답변이 63%(7명), '별다른 이유가 없다'는 답변이 36%(4명)로 질환의 위험에 대한 인지 부족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댓글보기(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