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입력시간 21.06.17 05:48최종 업데이트 21.06.17 05:48

제보

"코로나19 이후 5년 안 또다른 신종감염병 팬데믹올 것…mRNA 끝까지 자체 개발해야"

플랫폼 중 가장 빠른 개발·생산 가능, 한미약품 등 제약업계 "부동산 부동자금 1%만 투자해도 올해 안 나올 수 있다"

[메디게이트뉴스 서민지 기자]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서 '글로벌 백신 허브' 이슈가 급부상하면서 우리나라도 경쟁력을 갖춘 허브를 구축해야 한다는 데 중지를 모았다. 학계와 제약업계, 연구소로 구성된 컨소시엄을 통해 충분히 mRNA 백신을 자체 개발할 기술력은 있지만 이를 실제 생산하려면 반드시 전폭적인 재정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한미사이언스 임종윤 대표·한국제약바이오협회 엄승인 정책본부장·국가신약개발사업단 묵현상 단장 등은 16일 바이오헬스 산업의 글로벌 가치사슬 변화와 대응방안을 주제로 한 제9회 헬스케어 미래포럼에서 이 같이 밝히면서, 사용처를 찾지 못하는 국방·부동산 관련 예산 1%라도 바이오에 투입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사진 = 건국대 홍기종 교수 제9회 헬스케어 미래포럼 영상 갈무리.

백신 개발 수요로 글로벌 백신 허브로 도약...원천기술 개발에 투자해야 

이날 발제를 맡은 건국대 홍기종 교수는 "백신 개발의 미래 수요는 우수한 안전성과 유효성, 접종 용이성 등이며,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신속, 대량생산 플랫폼의 중요성이 급부상했다"면서 "글로벌 백신 허브까지 꿈꾼다면 국제적 신뢰도와 표준화까지 필요하다"고 말했다.

홍 교수는 "국내 제약업계의 기술력은 상대적으로 잘 정비돼 있고 인력 훈련도 잘 돼 있다. 그러나 글로벌 백신 허브로 가기에는 소재와 재료의 수입 의존도가 너무 높고 미래기술과 첨단기술이 부재한 상황"이라며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려면 생산력과 전문인력, 개발인프라, 소부장 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우선 많은 제약기업들이 가지고 있는 전국의 생산시설들을 체계화할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글로벌백신기획센터(가칭)를 통해 중심 축을 확보하고 권역별로 민간협의체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현재 백신 생산에 필요한 대부분을 수입하고 있어 배양액, 핵산효소, 포장재, 전산장비, 공정관리시스템 등 일부 원료나 부품만 공급이 안 돼도 셧다운될 수 있음을 지적하면서, 중견·중소기업 육성을 통한 국산화 필요성을 언급했다.

이와 함께 개발과정의 고도화와 전주기화, 백신 전문인력 양성 등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IVI, CEPI 등 연결고리로 글로벌 백신 기업과 연구소를 유치하고 협업해야 한다고 했다. 글로벌 기업과의 합작형태로 기술이전 네트워크를 넓혀나가자는 의미다.

홍 교수는 "비용과 시간이 걸리더라도 mRNA 백신 등 첨단 원천기술 개발을 끝까지 완주해야 한다"면서 "동시에 포스트코로나에 따른 지속가능한 대안들도 만들어둬야 한다"고 했다.
 
사진 = 한국화이자 오동욱 대표 제9회 헬스케어 미래포럼 영상 갈무리.

한국화이자 오동욱 대표(한국글로벌의약산업협회장)은 "통상 10년이 걸리는 백신 개발이 1년만에 성공한 것은 지속적인 혁신 투자의 산물"이라며 "수십년간 과감한 투자와 과학적 인프라를 통해 코로나19 백신이 빠르게 나올 수 있었으며, 이와 함께 바이오엔텍이라는 기업에 과감하게 투자하는 오픈이노베이션 전략이 통해 빅히트를 치게 됐다"고 말했다.

오 대표는 "국내에도 코로나19 백신을 자체 제조, 공급하려면 정부의 과감한 투자와 지원, 그리고 유연한 정책이 필요하다"면서 "특히 기업들이 혁신에 투자할 수 있도록 약가시스템을 개편해야 한다. 그래야만 우리나라 제약산업이 글로벌 수준으로 발돋움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제약은 방위산업·백신은 군수물자…국내 부동산 부동자금 1400조 언급하며 바이오 투자 필요성 강조

사실상 국내 기업들의 기술역량으로만 따지면 올해 안 mRNA 백신을 자체 개발, 생산할 수 있는 만큼, 정부의 조건 없는 투자와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이어졌다.

국가신약개발사업단 묵현상 단장은 "현재 우리나라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 중 5개가 임상을 진행 중이며, 곧 임상 3상에 들어갈 예정"이라며 "정부가 신속한 임상을 지원하기 위해 비교임상을 인정해줬고 올해 680억원을 지원한다고 했다"고 말했다.

묵 단장은 "그러나 비교임상을 해도 임상3상에 최소 900억원이 필요하다. 정부가 선택과 집중을 통해 될성부른 곳에 75%를 지원하겠다고 했으나 올해 예산으로는 1곳도 겨우 지원할 수 있다"면서 "퍼블릭 파트너십 기금 도입이 필요하다. 정부에서는 30% 정도를 지원해 마중물 역할을 하고 나머지는 민간 투자회사들이 투자해 추후 이익이 나면 이익을 내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민간과 정부가 힘을 합치는 방식으로 투자 방식을 변화하는 동시에 현재 국내 부동산 부동자금 1400조원 중 일부만이라도 바이오쪽으로 흐르게 해서 기금을 보다 활성화하는 방안도 제안했다. 

한미사이언스 임종윤 대표(한국바이오협회 이사장)도 "국내 기업들이 오해사는 것 중 하나가 '기술이 부족해서 코로나19 백신을 못 만든다'인데, 사실상 우리가 화이자, 모더나의 지재권을 일시적으로 구입해 쓰거나 미국이 공유한다면 올해 안으로 5000~1억 도즈까지 생산 가능하다"면서 "전세계 국방이 사용하는 예산이 2200조다. 국내 부동산 부동자금 1400조원이라고 하면, 사실 1%만 써도 빠르게 자체 백신을 제조할 수 있다"고 밝혔다.

임 대표는 "정부가 제약바이오업계를 방산업체 정도의 무게를 가지고 봐줘야 한다. 먼 미래를 볼 게 아니라 당장 올해 안에 무엇을 할 수 있는지 부터 보고, 이를 조건 없이 밀어줘야 한다"면서 "그래야만 10개 정도 생길 글로벌 백신 허브 중 우리나라가 가장 빠르고 크게, 경쟁력 있게 갈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엄승인 본부장 역시 이에 동의하면서 "코로나19 바이러스 변이가 계속 나타나고, 이르면 5년안에 신종감염병 팬데믹이 다시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대비하기 위해서 mRNA 플랫폼 확보는 필수"라며 "특허를 가진 회사, 연구소, 학계, 대량 생산이 가능한 회사, 글로벌 파트너십 경험있는 회사 등이 힘을 모으면 1년 안에 mRNA 백신 플랫폼을 구축, 자체 개발이 가능한만큼, 아낌없는 정부의 재정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엄 본부장은 "R&D와 달리 제조 분야에 대한 정부 지원이 이뤄지지 않고 있는데, 글로벌 백신 허브화 전략의 일환으로 고부가 CMO, 원천기술 확보 등을 위해 큰 지원을 건의드린다"고 거듭 주장했다.

서민지 기자 (mjseo@medigatenews.com)
댓글보기(0)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

이 게시글의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