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국감] 김윤 의원 "외상센터 수 과도해 환자 적은 센터는 사망률 높아"…정은경 "내년 2곳부터 거점센터로"
정경원 아주대병원 권역외상센터장, 더불어민주당 김윤 의원. 사진=국회방송 중계영상 갈무리
[메디게이트뉴스 박민식 기자] 중증외상 의료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선 전국에 17개 달하는 외상센터 중 6개가량을 집중 육성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윤 의원(더불어민주당)은 15일 보건복지부 국정감사에서 “외상센터에 따라 사망률의 차이가 큰데 근본적인 이유는 구조적 문제 때문”이라며 외상센터에 대한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김 의원은 “많은 환자를 보는 센터는 사망률이 낮고, 환자 수가 적은 센터는 사망률이 높다”며 “중증외상처럼 질병 난이도가 높은 경우엔 의료진의 숙련도, 상시근무할 수 있는 의료진 확보, 병원의 환자 진료체계 구축∙유지 등의 요인이 작용하기 때문에 일정 수 이상의 환자가 확보돼야 질을 유지하고 사망률을 낮출 수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그런데 현재 국내 외상센터는 17개 시도에 하나씩 설치돼 있다. 실제 중증외상 환자 수에 비해 너무 많은 센터가 있다”며 “환자가 분산되니 인력 유지도 제대로 안 되고 숙련도가 떨어지며 사망률 격차가 벌어진다. 환자가 적은 센터는 사망률이 높아질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이어 “그런데 외상센터를 처음 도입할 때 제안된 연구에선 전국에 규모있는 6개 외상센터를 만들면 전국을 다 커버할 수 있다고 했다”며 “지금이라도 선택과 집중을 통해 거점센터 6개를 집중 육성해야 한다”고 했다.
아주대 권역외상센터 정경원 센터장도 이 같은 김 의원의 의견에 동의했다. 정 센터장은 “처음 계획과 다르게 어떤 이유에서인지 17개로 나뉘어서 소규모 외상센터가 배치됐다”며 “초기부터 이 문제를 계속 지적해 왔는데 변화가 없었다”고 했다.
이어 “17개 센터에 한정된 자원이 분산되면서 전체적으로 외상체계가 하향 평준화하는 결과가 초리됐다”며 “이미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빠른 재편이 필요하다. 평가를 통해서 다시 외상센터를 배치하고, 동시에 닥터헬기 이송시스템도 개편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복지부 정은경 장관은 “외상센터 개편 계획을 갖고 있다. 내년에 2곳 정도는 레벨1 수준의 거점 외상센터로 집중 육성할 계획이고 예산도 반영돼 있다”며 “단계적으로 확대하겠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