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입력시간 24.05.20 10:37최종 업데이트 24.05.20 11:53

제보

"20일이 마지노선" 정부 최후 통첩에도…꿈쩍 않는 전공의들

전문의 시험 응시 위해선 20일까지 복귀해야…정부 복귀 기한 유연화 가능성도 시사했지만 대세에 영향 無

지난 2월 20일 대한의사협회 회관에서 열린 대한전공의협의회 임시대의원총회 모습.

[메디게이트뉴스 박민식 기자] 사직 전공의들의 복귀 마지노선이 다가왔지만 대다수의 전공의들은 여전히 병원으로 돌아올 의사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정부∙의료계에 따르면 3개월 전인 지난 2월 19일부터 병원을 떠난 3∙4년차 전공의들은 오늘(20일)까지 병원에 돌아와야 내년도 전문의 시험을 치를 수 있다.
 
전문의 수련 및 자격 인증 등에 관한 규정에 따르면 수련 연도 내 수련 공백이 3개월을 초과할 경우 전문의 자격 취득 시기가 1년 미뤄지기 때문이다.
 
전공의 개인 입장에서는 20일까지 복귀하지 않을 경우, 전문의 자격 취득 시기가 1년 미뤄지기 때문에 이후에는 사실상 복귀할 유인이 사라지는 셈이다.
 
이와 관련, 생활고 등의 문제로 일부 전공의들의 복귀 조짐이 있지만, 애초에 사태 장기화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있던 대다수의 전공의들은 크게 동요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수도권 대학병원 사직 전공의 A 씨는 “전공의들 내부 분위기엔 변화가 없다”며 “굳이 변화라고 하면 20일을 넘기면 정말 돌아갈 이유가 없어진다는 것”이라고 했다.

또 다른 전공의 B씨도 “전공의들 사이에선 (마지노선 등에 대한) 언급조차 없다. 무관심한 분위기”라며 “이미 법원에서 기각 결정이 나온 데다, 지금 돌아가봤자 일만 더 많이 하고 소송 위험까지 있다. 정부가 전공의들이 복귀할 수 없도록 여건을 만들어 놓은 셈”이라고 했다.
 
이 같은 분위기를 감지한 듯 정부는 전공의 복귀 시한을 유연하게 운영할 가능성까지 내비치며 전공의들의 복귀를 호소하고 있다.
 
장상윤 대통령실 사회수석은 전날(19일) 브리핑에서 전공의들에게 “전공의는 내년도 전문의 자격 취득을 위해 5월 20일까지 복귀해야 한다”며 “휴가, 휴직, 병가 등 부득이한 사유가 있는 경우 수련 병원에 소명하고 사유가 인정되면 일부 조정될 여지는 있다. 간절히 기다리는 환자 곁으로 돌아와 남은 수련을 마쳐달라”고 촉구했다.
 
하지만 정부가 의대증원 및 필수의료 패키지 원점 재검토 등이 포함된 전공의협의회 차원의 요구안을 수용하지 않을 경우, 전격 복귀는 기대하기 어렵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전공의 C씨는 “정부가 마지노선이라고 한 게 벌써 몇 번째인지 모르겠다”며 정부의 회유에 전공의들은 크게 개의치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한성존 아산병원 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는 18일 서울아산병원 교육연구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복귀) 기한을 갖고 싸우는 게 아니다. 나중에 동료나 후배들이 어떤 과를 선택할 때 망설이지 않는 사회를 만들고 싶다”며 “지속적으로 강조해온 7대 요구안이 충족돼야 변화가 생길 수 있다”고 강조했다.

박민식 기자 (mspark@medigatenews.com)
댓글보기(0)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

이 게시글의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