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닛-래디오보틱스, EMEA 지역 전략적 유통 파트너십 체결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은 덴마크에 본사를 둔 근골격계(Musculoskeletal, MSK) AI 진단 전문 기업 ‘래디오보틱스(Radiobotics)’와 유럽, 중동·아프리카(Europe, Middle East and Africa, 이하 EMEA) 지역에서의 전략적 유통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2일 밝혔다. 래디오보틱스는 근골격계 엑스레이 영상 분석에 특화된 AI 솔루션을 개발 및 판매하는 기업으로, 전 세계적인 고령화 추세와 스포츠·재활 의학에 대한 수요 증대로 유럽 내에서 주목도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주력 제품인 골절 및 외상 감지 솔루션 RBfracture™는 지난 2022년 유럽 CE 인증을 받았으며 이후 다양한 유럽 의료기관에서 도입되는 등 입지를 넓혀가고 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AI 기반 의료 영상 분야에서 제품을 서로 교차 판매함으로써 현지에서의 입지를 더욱 강화할 예정이다. 구체적으로 루닛은 폐질환 진단을 위한 흉부 엑스레이 영상분석 솔루션 ‘루닛 2024.05.03
동아쏘시오홀딩스, 올해 1분기 매출액 전년 대비 19.3% 증가한 3049억원 달성
동아쏘시오홀딩스가 연결 기준 2024년 1분기 매출액은 주요 사업회사들의 외형 성장으로 전년 동분기 대비 19.3% 증가한 3,049억원을 달성했다고 2일 밝혔다. 영업이익은 수석 공장 이전과 동천수 신공장 가동에 따른 일시적 원가율 상승으로 5.7% 감소한 155억원 기록했다. 헬스케어 전문회사 동아제약은 ▲박카스 사업부문 ▲일반의약품 사업부문 ▲생활건강 사업부문 등 전 부문 외형 성장으로 매출액과 영업이익 모두 증가했다. 물류 전문회사 용마로지스는 신규 화주 유치, 원가율 개선으로 매출액 및 영업이익 증가했다. 바이오의약품 전문회사 에스티젠바이오는 일본 상업화 제품인 네스프 바이오시밀러와 하반기 글로벌 발매 예정인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의 매출이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흑자전환했다. 동아쏘시오홀딩스는 지난 3월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3개년 주주환원 정책을 발표했다. 2024년부터 2026년 사업연도 동아쏘시오홀딩스 별도재무제표 영업현금흐름에서 CAPEX를 뺀 잉여현금흐름 기준으로 5 2024.05.03
동아ST 2024년 1분기 매출 전년 동기 대비 3.7% 증가한 1401억
동아에스티는 2024년 1분기 실적을 발표하고 ETC 부문과 해외사업 부문이 성장하며 매출이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R&D 비용 증가로 감소했다고 2일 밝혔다. 1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3.7% 증가한 1401억 원(2023년 1분기 1,351억 원),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89.0% 감소한 7억 원(2023년 1분기 67억 원)을 기록했다. ETC(전문의약품) 부문은 처방의약품 일부 품목 매출이 감소했지만 그로트로핀 성장으로 전년 동기 대비 0.6% 증가했으며 해외사업 부문은 캔박카스(캄보디아) 매출이 증가하며 전년 동기 대비 16.6%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R&D 비용이 증가하며 전년 동기 대비 89.0% 감소했다. R&D 부문에서는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 DMB-3115는 지난 2023년 6월 유럽 EMA 품목허가 신청을 완료했으며 같은해 10월 미국 FDA 품목허가 신청을 완료했다. 미국 자회사 뉴로보 파마슈티컬스를 통해 MASH(대사이상 지방간염) 및 2형 당뇨 치 2024.05.03
뷰노 일본파트너 M3 AI, 캐논메디칼과 현지 공동 영업 MOU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뷰노의 일본 파트너 M3 AI가 일본 캐논 메디칼시스템즈와 의료 AI 사업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현지 공동 영업에 나선다고 30일 밝혔다. 이에 따라 뷰노는 일본 최고 수준의 영업망을 확보하고, AI 기반 흉부 CT 판독 보조 솔루션 뷰노메드 흉부 CT AI의 사업 성과를 늘릴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M3 AI는 뷰노메드 흉부 CT AI의 일본 시장 내 판권을 보유하고 있는 의료 AI 영업 및 마케팅 전문 기업이다. 일본 최대 의료 정보 플랫폼 기업이자 소니(SONY)의 관계사인 M3와 일본의 대형 PACS(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 업체인 PSP가 설립한 합작법인이다. 이번 일본 캐논 메디칼시스템즈와의 업무협약 체결에 따라 M3 AI는 일본 전체 PACS 활용 병원 중 30%가 넘는 병원과 접점을 확보하게 됐다. 양사는 일본 내 의료 AI 영업망을 공유하고, 뷰노메드 흉부 CT AI 등 CT 및 MRI 기반 AI 의료기기 공동 판매에 2024.05.02
한국 미래의료 혁신연구회, 첫 정책제안으로 의사과학자 양성 방안 추진
첫 정기 세미나를 성공적으로 개최한 한국 미래의료 혁신연구회가 정부에 제안할 첫번째 정책으로 의사과학자 양성 방안을 추진중이라고 30일 밝혔다. 한국 미래의료 혁신연구회는 혁신적인 의료 개혁을 위한 실질적인 정책 대안들을 지속적으로 제시하기 위해 지난 3월 초 발족했다. 첫번째 정책 제안으로 한국 미래의료 혁신연구회의 인력분과에서 국내 의사과학자 양성을 위한 방안에 대한 정책 제안을 논의하고 있다. 의사과학자 양성에 대한 정책 제안은 서울대 의과학과 학과장이자 의사과학자 사업단장을 맡고 있는 한국 미래의료 혁신연구회 인력분과의 김종일 운영위원이 주도하고 있다. 임상의와 별도로 아예 정원 모집부터 별도의 카테고리로 선별하여 임상실습 외 생명공학, 신약개발, 인공지능 등 의사과학자로서 필요한 커리큘럼을 추가 배분하는게 핵심이다. 6년 학위 수료 직후에는 의사자격증 시험 응시를 제한하지만, 의사과학자로서 취업 및 활동이 가능한 특수한 인력양성 시스템을 마련하는 방식이다. 한국 미래의료 혁 2024.05.02
BD코리아, 'COPHEX 2024'서 약물 전달 시스템 통합 솔루션 선보여
다국적 의료기기 및 장비 제조 기업 BD의 한국법인인 BD코리아(Becton, Dickinson and Company, 벡톤디킨슨코리아)’가 지난 23일부터 4일간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제19회 국제제약·바이오·화장품기술전시회(이하 COPHEX 2024)에 참가해 약물 전달 시스템 통합 솔루션을 공개했다고 밝혔다. BD는 의약품 개발의 전 주기(Lifecycle)에 걸쳐 혁신적인 기술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글로벌 기업으로, 특히 70여 년 역사의 프리필드 시린지(Pre-filled syringe, 사전 충전형 주사기) 분야는 환자와 의료진의 안전과 의료 연구에 대한 기술을 선도하고 있다. BD코리아는 이번 COPHEX 2024에서 ▲히알루론산 (Hyaluronic Acid, 이하 HA) ▲바이오의약품(Biologcis) ▲백신(Vaccines) ▲기술지원 서비스(Service) 등 총 4개 구역으로 세분화해 전시 부스를 마련했으며, 프리필드 시린지(PFS) 중심의 바이오 신제품과 서 2024.05.02
대웅재단, AI BIGDATA 글로벌 장학생 선발…AI 우수 인재 육성
대웅재단은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분야의 글로벌 인재 육성을 위한 2024 AI 빅데이터 글로벌 장학생을 선발했다고 30일 밝혔다. 지난 2021년 선발을 시작한 ‘대웅재단 AI 빅데이터 글로벌 장학생’은 인공지능과 빅데이터가 사회 전반에 가져올 변화와 혁신을 이끌 글로벌 우수 인재를 발굴하고 지속 가능한 경쟁 우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대웅재단의 대표 인재 양성 장학 프로그램이다. 누적지원자는 1325명으로 이 중 95명 학생을 선발했고 이들은 총 94개의 프로젝트에 참여해왔다. 치열한 경쟁을 뚫고 선발된 장학생은 학기 중 장학 지원금을 받으며 3개월간 기업의 실제 데이터를 활용한 프로젝트 참여 기회를 얻는다. 또한 프로젝트를 참여하며 쌓은 결과물은 학생 본인의 연구로 활용해 고도화 할 수 있다. 최근에는 생성형 인공지능(GenAI)을 기반으로 혁신적인 AI 기술과 산업의 결합을 통해 구현할 수 있는 전문적인 프로젝트를 제공했다. 실제 사진처럼 생생한 고품질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2024.05.02
의대 교수들 "윤 대통령 의료정책보다 문 케어가 더 진정성있어"한 목소리
[메디게이트뉴스 이지원 기자] 정부의 일방적인 의료개혁 추진에 의대교수들이 한 자리에 모여 정부의 의료개혁 추진 방향을 비판했다. 이날 교수들은 정부가 추진하는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에는 알맹이가 없다며 선거용 수단으로 활용했으면 철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문재인 정부때 추진된 문재인 케어가 더 진정성 있는 정책이라고 언급하며 윤석열 정부가 진정으로 의료개혁에 대한 의지가 있는지 의심스럽다고 지적했다. 서울의대와 서울대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는 30일 '대한민국 의료가 나아가야 할 길'을 주제로 긴급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날 현장에는 사직을 앞둔 교수부터 사직한 전공의, 휴학한 의대생, 신현영 의원, 안철수 의원까지 참석했다. 정부 '의대정원 동결' 등 잘못된 선동 아닌 정확한 사실 국민에 알려야 우선 단국의대 박형욱 교수는 정부가 의대정원 동결 등 잘못된 선동으로 국민을 현혹하지 말라고 경고하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의 민간·공공 의료수가와 우리나라 건보수가 2024.05.02
JW이종호재단, 자폐 스펙트럼 한부열 작가 어버이날 개인전 개최
JW이종호재단이 오는 5월8일 어버이날을 맞이해 천재 작가 한부열(39세) 씨의 개인전 ‘Let’s Go with HBY 2024(부제 : 가족의 손길로 빚은 예술, 한부열 작가의 마음속 이야기)’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한부열씨는 3살 때부터 자폐 스펙트럼을 앓아왔던 작가로, 자신이 경험해왔던 세상을 오직 30cm 자와 펜으로 그려내는 천재 예술인이다. 한 작가는 발달장애인 최초로 한국미술협회 정회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인 최초로 관객들과 실시간 소통하는 ‘라이브 드로잉’을 선보이는 등 정식 작가로서 예술적 능력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이번 개인전은 가족의 도움 속에 작품활동을 이어왔던 한부열 작가의 여러 작품이 전시될 예정이며, 부대행사로 관객과 상호소통하며 그림을 완성하는 ‘라이브 드로잉’을 선보이는 등 다채롭게 꾸며질 예정이다. JW이종호재단이 주최하는 이번 한 작가의 개인전은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촌동 소재 ‘노들 갤러리’에서 어버이날인 5월 8일 2024.05.01
한독, 창업주 故 제석 김신권 회장 10주기 추모식 가져
한독이 30일 한독퓨처콤플렉스에서 창업주 고(故) 제석(濟石) 김신권 회장의 서거 10주기를 맞아 추모식을 진행했다. 10주기 추모식은 한독 김영진 회장과 유가족을 비롯해 임직원 대표와 퇴직 임직원이 참석한 가운데 신뢰경영의 선구자이자 개척정신으로 국내 제약산업의 선진화를 이끈 김신권 회장을 기리고 그의 유지를 되새기는 자리로 마련됐다. 또 한독 임직원들은 지난 24일부터 1주일간 서울 본사와 연구소, 충북 생산공장과 한독의약박물관 제석홀에서 추모주간을 가졌다. 김신권 회장은 1922년 평안북도 의주에서 태어나 20세에 중국 만주에서 약방을 개업하고 1954년에 한독(전 한독약품)을 설립했다. 따뜻한 성품의 존경받는 경영인으로 70년간 약업 외길 인생을 걸었으며 2014년 4월 30일 향년 92세로 타계했다. 추모식에서 김영진 회장은 "제 아버님이자 한독의 창업주이신 김신권 회장께서 세운 한독이 올해로 창립 70주년을 맞았다"며 "긴 세월 동안 많은 변화가 있었지만 한독을 존경받는 2024.05.01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