싸이티바-한국폴리텍대학 바이오캠퍼스, 실무형 바이오 인재 육성 위한 산학협력 체결
글로벌 생명과학 기업 싸이티바는 지난 27일 인천 송도에 위치한 싸이티바 패스트 트랙 센터에서 한국폴리텍대학 바이오캠퍼스와 실무형 바이오 인재 육성을 위한 산학협력 협약식을 가졌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에 따라 싸이티바와 한국폴리텍대학 바이오캠퍼스는 싸이티바의 최신 바이오공정 기술 및 교육 프로그램을 활용해 바이오캠퍼스 학생들을 위한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또한 학생들에게 글로벌 바이오 기업들도 수강하는 패스트 트랙 센터의 바이오공정 교육에 참가할 수 있는 기회도 함께 제공한다. 싸이티바와 한국폴리텍대학 바이오캠퍼스는 2016년부터 진행한 산학협력이 지난 12월 종료되자 프로그램을 확대해 재 협약에 합의했다. 한국폴리텍대학 바이오캠퍼스 송석두 학장은 "싸이티바와 진행했던 지난 5년간의 산학협력은 산업 현장을 체험해 볼 수 있어 학생들의 만족도가 높았다"며 "특히 싸이티바의 패스트 트랙 센터 교육은 세계 10대 제약바이오 기업이 모두 사용하고 있는 대규모 시설과 기술을 경험할 2022.01.28
오가노이드사이언스-한국생명공학연구원, 오가노이드 성숙화 기술 이전
오가노이드사이언스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과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계약을 통해 오가노이드사이언스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이 개발한 ESC/iPSC 기반의 장 오가노이드 제조방법 특허기술을 이전받는다. 이번 기술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손미영 박사팀이 2018년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지에 발표한 기술이다. 전분화능줄기세포 기반 재생치료제용 장 오가노이드 성숙화를 유도할 수 있는 원천 특허로 국내 등록 및 미국에 출원돼 있으며 추후 범용적 장 오가노이드 기반 재생치료제 개발을 위한 핵심 기술이다. 이번 기술 이전을 통해 오가노이드사이언스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손미영 박사의 장 오가노이드 분화 및 제작 기술과 본사의 자가기반 오가노이드 치료제 기술을 융합해 off-the-shelf(범용 가능한 기성품)의 오가노이드 재생치료제로 개발할 수 있게 됐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손미영 박사팀은 이번 기술이전을 통해 해당 기술을 이전하고 기능성 장 오 2022.01.28
고바이오랩, 이마트와 건강기능식품 합작법인 설립
고바이오랩은 지난 27일 서울대학교에서 이마트와 건강기능식품 합작법인 설립에 관한 합작투자계약 체결식을 가졌다고 밝혔다. 양사는 신규 합작법인을 통해 양적∙질적 측면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건강기능식품 시장 내에서 차별화된 기능성을 가진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제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주요 인체 마이크로바이옴 유래 원료에 대한 인체적용시험에 속도를 내는 동시에 대량 생산이 가능한 전용 생산시설을 구축해 조기에 기능성 프로바이오틱스 시장 내 점유율을 높일 계획이다. 고바이오랩은 세계적인 마이크로바이옴 연구자인 고광표 서울대학교 교수가 창업한 회사로 마이크로바이옴 신약으로는 국내 최초로 미 FDA 임상 2상에 진입했다. 특히 자체 마이크로바이옴 소재 발굴 플랫폼인 스마티옴(Smartiome)을 통해 다양한 질환군을 타깃하는 신약과 건강기능식품에 적용 가능한 5000종 이상의 인체 유래 균주 라이브러리를 보유하고 있다. 고바이오랩 관계자는 "마이크로바이옴과 관련해 높은 기술력 및 다양한 고 2022.01.28
삼성바이오로직스, 바이오젠 보유 에피스 지분 23억달러에 인수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8일 미국 바이오젠(Biogen)이 보유한 삼성바이오에피스 지분 1034만1852주 전체를 23억달러에 인수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바이오젠은 2012년 에피스 설립 당시 15%의 지분을 투자했으며, 2018년 6월 콜옵션 행사를 통해 에피스 전체 주식의 절반(50%-1주)을 보유하고 있었다. 총 23억 달러 중 계약체결 후 특정 조건을 만족할 경우 추가로 지급되는 '언 아웃(Earn -out)'비용인 5천만달러를 제외한 인수 대금은 향후 2년간 분할 납부될 예정이다. 이번 계약은 1차 대금 10억달러 납부가 완료되는 시점부터 효력이 발생된다. 이번 계약은 바이오젠의 지분매입 요청에 따른 것으로, 양사는 지분 매매 계약체결 완료 후에도 긴밀한 협력관계를 지속해 나가기로 했다. 에피스 주식을 100% 확보하게 됨에 따라 삼성 바이오 사업은 세계 최고 수준의 CDMO(바이오의약품 위탁개발생산) 역량과 더불어 지난 10년간 바이오젠과의 협업을 통해 축적된 에피스의 개발, 2022.01.28
제넨바이오, 식약처 '이종이식제제 관리기준 마련' 연구개발과제 참여
이종이식 전문기업 제넨바이오가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주관하는 이종이식제제 관리기준 마련을 위한 용역연구개발과제에 참여한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이종이식제제 관리기준 마련-원료동물의 관리 및 이종이식제제 품질평가법 개발 연구'는 이종이식제제 원료동물의 안전성 등을 입증할 수 있는 과학적 품질관리 근거 마련 및 이종이식제제 가이드라인 수립을 위해 진행된다. 길의료재단이 주관연구기관으로, 제넨바이오는 세부기관으로 참여한다. 연구과제를 통해 ▲원료동물 품질관리 및 평가를 위한 시험법 개발 및 가이드라인 작성 ▲원료동물의 감염원 항목별 관리 및 형질전환동물의 유전적 안전성 평가항목 수립 ▲이종이식제제의 품질관리 방안 마련 ▲이종세포·이종조직·이종장기에 대한 품질관리 기준 마련, 시험법 개발 및 검증 등이 수행될 예정이다. 제넨바이오 김성주 대표는 "지난해 8월 재신청한 이종췌도이식 임상시험에 대해 가천대 길병원 및 식약처와 오랜기간 긴밀히 협의하며 품질 및 안전성에 대한 관리 기준, 시험법 2022.01.27
인트론바이오, 노드메이슨에 전략적 지분 투자
인트론바이오가 코스메틱 전문기업인 노드메이슨에 약 50억원을 투자해 2대 주주 지위를 확보하는 전략적 지분 투자를 진행한다고 27일 밝혔다. 노드메이슨은 코스메틱 브랜드 헉슬리(Huxley)를 보유하고 있는 기업이다. 현재 49개국에 진출해 글로벌 시장으로 계속 영역을 확장하고 있으며 최근 피브(FEEV), 몰리끄(MOLIK) 등 신규 브랜드를 런칭해 제품도 확대하고 있다. 인트론바이오는 최근 보톡스대체재(iN_SIS5)와 엔도리신(Endolysin) 관련 최근 마이크로니들(Microneedle) 기업인 더마젝에 투자해 2대 주주 지위를 확보했다. 노드메이슨과도 해당 물질 및 기술을 이용한 코스메슈티컬(Cosmeceutical) 상용화를 위해 전략적 제휴를 체결하고 관련 투자에 나섰다. 이번 전략적 제휴를 바탕으로 주름 개선 소재 기술뿐 아니라 엔도리신 플랫폼 기술로 경피약물전달(Topical Medication)을 통해 코스메슈티컬 분야로까지 영역을 확대해 나가게 된다. 노드메이슨 2022.01.27
졸겐스마, 국내 SMA 환자 대상 RWE 연구 데이터 소아신경분야 국제 학술지 게재
한국노바티스는 서울대병원 채종희 교수와 경북대병원 이윤정 교수, 양산부산대병원 공주현 교수 등 총 11명의 국내 연구진이 국내 척수성 근위축증(SMA) 환자에서 유전자 대체 치료제인 졸겐스마(성분명 오나셈노진아베파르보벡) 투약 후 확인한 단기 임상 결과를 소아신경분야 국제 학술지 'Brain & Development'에 발표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에 공개된 RWE 연구는 노바티스가 진행한 약제 접근성 관리 프로그램(MAP, Managed-Access program)을 통해 졸겐스마를 투약 받은 국내 SMA 환자 6명의 치료 효과 및 안전성을 확인한 것이다. 이는 국내 환자를 대상으로 졸겐스마의 치료 효과를 확인한 첫번째 자료다. MAP를 통해 졸겐스마를 투약받은 국내 환자는 총 6명이다. 환자 모두 만 2세 이하로, 5명은 SMA 1형 환자, 1명은 2형 환자였다. 졸겐스마를 투여 받을 당시 연령대는 생후 7개월부터 24.5개월까지 다양했다. 또한 6명 모두 기존 치료제인 뉴시너 2022.01.27
한국오가논, 고혈압치료제 '코자엑스큐정' 재공급 및 리론치 심포지엄 개최
한국오가논이 오리지널 로사르탄 고혈압치료제 '코자엑스큐정(로사르탄칼륨/암로디핀캄실산염)'을 1월 말부터 재공급해 2월 초부터 진료현장에서 처방이 가능하며, 2월부터 3월까지 리론치 심포지엄을 개최한다고 27일 밝혔다. 지난해 12월 로사르탄 함유 의약품들에 대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로사르탄 아지도 불순물 안전성 조사 결과 발표'와 관련해 한국오가논의 코자정 및 코자플러스정은 전체 제조번호에 대해 해당 불순물이 불검출(Not detection; 전혀 검출되지 않음)돼 시장 공급과 처방에 문제없다고 식약처로부터 확인 받았다. 코자엑스큐정은 코자정 및 코자플러스정과 같은 아지도 불순물 불검출된 해외 원료처 프랑스산 오리지널 로사르탄 원료의약품으로 생산해 1월말 재공급한다. 한국오가논 관계자는 "코자정, 코자플러스정 등 한국오가논의 코자 패밀리 제품군은 글로벌 제약사 오가논의 엄격한 품질 관리 시스템 및 까다로운 생산 과정을 통해 유통되고 있는 오리지널 로사르탄 제제다"며 "이번에 코자엑스 2022.01.27
모더나, 오미크론 전용 부스터샷 임상 2상 첫 환자 투약 시작
모더나(Modern)가 오미크론 전용 부스터샷 후보물질(mRNA-1273.529)에 대한 임상 2상에서 첫 번째 시험대상자에 대한 투여를 실시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에 시작된 2상에서는 만 18세 이상의 성인을 두 개 그룹으로 나눠 mRNA-1273.529를 부스터샷으로 1회 접종해 면역원성, 안전성 및 반응원성을 평가한다. 코호트는 기존에 자사의 mRNA-1273을 2회 투여받고 그 중 2차 접종은 최소 6개월 이전에 실시한 시험대상자(코호트 1)와 mRNA-1273 기초 접종 2회 및 50µg 용량의 부스터샷을 투여받고 그 중 부스터샷은 최소 3개월 이전에 실시한 시험대상자(코호트 2)로 구성된다. 각 코호트 그룹 당 약 300명의 시험대상자를 대상으로 미국 내 24개 주의 시험기관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모더나는 다가 부스터 프로그램에 mRNA-1273.529를 포함시킬지 여부를 평가하고 있다. 또한 모더나는 부스터샷 투여 6개월 후 오미크론 변이에 대항하는 중화 항체에 대한 2022.01.27
간암 1차 및 2차 치료에서 면역관문억제제 어디까지 왔을까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최근 빅파마들이 간암 치료에서 항-PD-(L)1 면역관문억제제 데이터를 내놓고 있는 가운데 1차 및 2차 치료에서 각 회사의 경쟁 상황에 대해 업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적응증 확장 측면에서 빅파마들이 면역관문억제제 임상시험에 가장 많은 금액을 쏟아붓는 상황에서 이들 데이터는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을지 살펴봤다.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 기준 현재 간세포암에서 사용할 수 있는 면역항암제로는 세 가지를 꼽을 수 있다. 1차 치료에서는 로슈(Roche)의 티쎈트릭(Tecentriq, 성분명 아테졸리주맙)과 아바스틴(Avastin, 성분명 베바시주맙) 병용요법이 FDA 완전 승인을 받았고, 2차 치료에서는 BMS(Bristol Myers Squibb)의 옵디보(Opdivo, 성분명 니볼루맙)와 여보이(Yervoy, 성분명 이필리무맙) 병용요법, MSD(Merck & Co)의 키트루다(Keytruda, 성분명 펨브롤리주맙) 단독요법이 가속 승인을 받아 2022.01.27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