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 업데이트 22.03.27 12:54

"올해 中 부동산 시장, 정부정책에도 회복경로 진입 어려워"



[아시아경제 서소정 기자] 올해 중국 부동산 시장은 정부의 시장안정대책에 따라 부진한 흐름이 일부 완화되겠지만 최근 대내외 불확실성이 확대되면서 본격적인 회복경로 진입은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한국은행 조사국 중국경제팀은 27일 '중국 부동산 시장 현황 및 전망' 보고서에서 "오미크론 변이 확산에 따른 봉쇄조치 강화, 우크라이나 사태에 따른 원자재가격 상승 등이 부동산 경기회복세를 제약하면서 과거와 달리 부동산 시장 부진이 장기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중국 부동산 시장은 지난해 9월 헝다 사태 이후 회사채 발생 감소, 주가 하락과 시장 침체 따른 수익 부진 등으로 부동산 기업 경영여건은 악화하는 상황이다. 중국 부동산 업체의 지난해 회사채 발행 규모는 총 2552억달러로 1년 전보다 5%(135억달러) 감소했다. 올해 1~2월 중 중국 주택가격 하락세는 1·2선 도시를 중심으로 다소 진정됐으나 거래 건수는 큰 폭의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
중국 10대 부동산 기업 중 홍콩 증시에 상장된 8개사의 지난달 말 시가총액은 1조1000억 홍콩달러 수준으로 1년 전보다 28.3% 감소했다. 기업별로는 헝다그룹이 90% 감소했으며, 롱창(-77.5%), 완커디찬(-40.5%) 등도 큰 폭의 감소세를 나타냈다.
헝다 사태가 본격화된 지난해 4분기 이후 10여개의 부동산기업이 만기도래 채권에 대한 채무불이행을 선언했다.
중국 정부는 시장 침체에 대응해 중앙·지방정부 차원의 규제완화 조치를 시행하고 있으며, 업계 구조조정도 함께 추진하고 있다. 올해 들어 대출규제 완화, 주택담보대출비율(LTV) 상향과 분양대금 관리제도를 개선해 기업 유동성 개선을 위한 조치를 잇달아 발표했다. 또 헝다 사태를 안정적으로 관리해 나가는 한편 인수합병(M&A) 자금지원을 통해 부동산 업계의 구조조정을 추진중이다.
보고서는 "오미크론 변이 확산에 따른 봉쇄조치 강화, 우크라 사태에 따른 원자재가격 상승 등이 부동산 경기회복세를 제약할 가능성이 있다"면서 "부동산 시장 완화정책은 당분간 지속되겠으나 이 과정에서 부채와 신용위험 누증으로 중국경제의 구조적 리스크가 더욱 확대될 우려가 있다"고 전망했다.




서소정 기자 ssj@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