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경제 황서율 기자] 1기 신도시에서 통합재건축 사업을 추진하는 단지가 늘며 통합재건축이 하나의 흐름으로 자리 잡고 있다. 갈팡질팡했던 1기 신도시 재건축 사업 정책에 대해 가닥이 잡히면서 주민들의 기대감이 커지는 모습이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경기 고양시 일산서구 일산동 후곡마을 3·4·10·15단지가 지난 25일 통합재건축추진 준비위원회를 결성했다. 후곡마을 4개 단지는 1994~1995년에 지어져 준공 30년을 바라보고 있다. 전용면적 최소 56㎡~최대 199㎡, 총 2406가구로 이뤄져 있다.
앞서 일산동구 마두동 강촌마을 1·2단지·백마마을 1·2단지(총 2906가구), 경기 군포시 산본동 대림솔거7단지·롯데묘향·극동백두·한양백두·동성백두 9단지(총 3804가구) 등에서도 통합재건축 준비위위원회를 결성했다. 통합재건축 단지 결성이 1기 신도시 재건축 사업의 흐름으로 자리 잡고 있는 모습이다.
이는 대단지일수록 사업 추진 협상력을 키울 수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 업계의 설명이다. 1기 신도시 아파트 단지는 비슷한 시기에 지어져 노후화 정도에 차별이 없어 순환적으로 재건축 사업이 진행될 수밖에 없다. 윤석열 당선인이 1기 신도시 재정비를 통해 주택 10만가구를 추가로 공급하겠다고 공약한 만큼 공급물량을 상대적으로 많이 늘릴 수 있는 대단지가 유리한 순서를 받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또 1기 신도시의 경우 인근 단지 용적률이 비슷한 수준이라 통합재건축 사업에 유리하다는 점도 작용했다.통상 통합재건축 사업은 단지 간 용적률에 차이가 있으면 이해관계 때문에 분쟁이 일어나기 쉽지만 1기 신도시의 경우 분쟁 위험이 적다는 것이다.김인만 김인만부동산경제연구소 소장은 "신도시의 경우 인근 단지끼리 용적률이 비슷해 사실상 같은 단지"라며 "굳이 따로 재건축 사업을 진행할 이유가 없다"고 밝혔다.
입장이 번복됐던 1기 신도시 정책이 제자리를 찾자 1기 신도시 노후화 단지의 기대감은 커지는 모습이다. 전날 대통령직인수위원회는 1기 신도시의 용적률을 최소 300% 상향하는 방향을 검토하고 국민의힘-인수위 첫 당정협의에서 조속한 ‘1기 신도시 특별법’ 법안 통과 추진을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후곡마을 통합재건축 준비위원회 관계자는 "윤석열 당선인의 당선 이후 재건축 사업에 추진 동력이 생겼다"고 전했다.
황서율 기자 chestnut@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