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렌진이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 Korea Drug Development Fund)이 주관하는 2023년도 1차 국가신약개발사업에서 신약 생태계 R&D 구축사업 분야의 후보물질단계 과제에 선정돼 협약을 체결했다고 20일 밝혔다.
국가신약개발사업은 국내 제약 바이오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와 국민건강 증진을 위해 신약 개발의 전주기 단계를 지원하는 범부처 국가 R&D 사업이다. 이번 과제 선정으로 셀렌진은 2년간 연구개발비 9억 원을 지원받아 난소암 표적 CAR-T 치료제의 최종 후보물질을 도출한다.
난소암은 조기진단이 어려워 진단 시점의 약 70% 이상이 3~4기에 이른 상태이며, 수술 후엔 백금 기반의 화학 항암제를 표준치료제로 사용하고 있다. 신생혈관 억제제, PARP 억제제 등의 치료제가 개발됐지만 환자의 생존 기간 연장에는 기여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난소암 환자의 85% 정도가 재발을 경험하고, 특히 기존 치료제 사용 후 재발했을 때 내성 획득으로 더 이상 사용할 수 있는 치료제가 없어 의학적 미충족 수요가 높다.
셀렌진 관계자는 “CAR-T는 혁신적인 차세대 면역항암제임에도 혈액암에 제한돼 개발되고 있으며 아직까지 고형암에서는 성공 사례가 없다”며 “이번 과제 선정을 통해 난소암에 대한 최적의 메소텔린 미니항체를 선정하고 이를 탑재한 메소텔린 CAR-T 치료제의 항암 효능을 평가함으로써, 국내 재발성 상피성 난소암 환자를 위한 CAR-T 치료제 개발에 한 걸음 더 다가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셀렌진은 난치성 질환 치료를 위한 세포 유전자 치료제를 개발하는 바이오 전문기업으로 메소텔린 항원에 대한 미니항체를 탑재한 CAR-T 기술로 국내 특허 2건을 비롯, 호주, 중국, 일본, 캐나다에 특허 4건을 보유하고 있다. 이에 더해 인공지능을 활용한 인실리코(in silico) 기반 미니항체 유전자 시퀀스 최적화로 메소텔린 미니항체의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