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게이트뉴스 임솔 기자]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에 따르면 6일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중 재택치료를 받고 있는 사람은 전날 대비 2355명 늘어난 1만5954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확진자 규모 5104명(5일 국내발생) 대비 절반에 가까운 47.4%의 비율로 재택 치료 중이다. 전체 확진자 대비 재택치료자 비율은 11월 1주 22.3%에서 11월 4주 31.2%에 이어 12월 1주 27.1%에 달했다.
이날 0시 기준 재택치료 대상자 1만5954명 중에서 지역별로는 서울 8143명, 경기 5454명, 인천 965명, 부산 277명, 대구 155명, 광주 49명, 대전 62명, 울산 7명, 세종 20명, 강원 165명, 충북 32명, 충남 187명, 전북 53명, 전남 36명, 경북 166명, 경남 66명, 제주 117명 등이다.
중환자 병상 가동률은 전국 1237개 중 994개(80.4%), 수도권은 794개 중 688개(86.6%)이다. 준중환자 병상은 전국 576개 중 392개(68.1%), 수도권 395개 중 282개(71.4%)의 가동률을 보이고 있다.
복지부에 따르면 재택치료는 2020년 10월 시작돼 지난 1년 2개월간 시행됐으며, 9월 26일부터 11월 28일까지 전원율은 5.8%였다. 재택치료 관리의료기관은 11월 말 기준 196개소다.기초역학조사 시 재택치료 대상자로 결정되면 해당 지자체가 지정한 관리의료기관에 즉시 연계되고, 해당 의료기관으로부터 1일 2회(집중관리군은 1일 3회)의 건강 모니터링을 받게 된다.
재택치료 중 대면진료를 통한 주사제 처방·투약, 흉부X선 촬영, 혈액검사, 항체치료체 처방·투여 등 필요한 진료가 제공될 수 있도록 단기·외래진료센터도 지역별로 지정‧설치한다. 응급 상황 시 24시간 즉각적인 대응을 위해 의료기관, 지자체, 지역소방청 간 응급 핫라인을 구축했다, 관리의료기관별 이송의료기관 사전 지정하고 이송의료기관 당 응급전원용 병상 1개 이상 상시 확보하도록 했다.
하지만 의료계는 재택치료에 대해 사실상 정부가 환자 치료의 책임을 국민들에게 떠넘기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응급 상황에 대처하기가 어렵고 가족들 간 전파 우려까지 이어진다는 것이다. 치료제를 써볼 기회가 줄어들고 중증으로 가더라도 이송체계는 물론 갈 수 있는 병상도 제대로 마련돼있지 않다는 지적도 이어졌다.
대한산부인과의사회 김재연 회장은 “재택치료는 위험하다. 재택치료가 아니라 사실상 재택 관찰이다. 고령 환자들은 조금만 나빠져도 바로 중증, 사망으로 악화할 우려가 있다. 환자가 자택에서 또는 구급차를 타고 가다 사망하는 일이 다수 벌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김 회장은 “초기에 치료해야 중환자 발생을 막을 수 있는데, 경증에 약 택배 배송을 마련한다 하더라도 항체치료제 투여 기회조차 박탈하는 것이다. 위중증 환자가 많이 늘어나 입원을 하지 못하고 대기하는 환자가 많아져 사망자가 늘어나고 있는데, 엉뚱한 대책을 내놓은 것이다”고 지적했다.
대한의사협회 대의원회 박상준 부의장은 “정책 내면을 들여다보면 마치 조선시대에 역병을 다루는 방식과 같이 감염된 국민을 자기 거주지에서 치료를 받도록 조치함으로써 환자를 방치하는 것 아닌가 하는 의구심이 생기고 있다”고 했다.
박 부의장은 “재택치료가 원활하게 진행되기 위해서는 우선 행정기관과 치료를 담당할 의료 기관 사이에서 유기적인 협력을 통해 발생가능한 문제점을 하나씩 짚어 서로 이견을 조율하고 효과적인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 치료해야 할 환자는 늘어가고 있지만 적절한 치료제 없이 24시간 재택치료 환자 진료 체계를 어떻게 유지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도 부족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국민 생명 보호를 가장 큰 가치로 삼아야 할 정부가 본연의 임무를 회피하고 코로나19로 불안한 감염된 국민을 주거지에 사실상 방치하는 재택의료 정책을 즉각 재검토하고 보완해야 한다“라며 ”만약 정책의 문제점을 해결하지 않은 채 지속해서 추진하다 환자가 자택에서 증상이 악화하거나 대응이 늦어 사망에 이른다면 소중한 생명을 잃은 국민과 가족에게 큰 고통과 상처로 남을 것“으로 우려했다.
서울백병원 내과 염호기 교수(의협 코로나19 대책전문위원장)는 최근 의협 온라인 종합학술대회에서 “위드코로나는 코로나19 정책을 포기하는 것이고, 코로나19가 완전히 정복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일상을 회복하자는 것이다”라며 “병상수 부족과 의료인력 부족, 중환자 이송체계가 문제인 상황에서 확진자가 5000명이 아닌 1만명, 2만명이 나올 수 있다"라고 말했다.
염 교수는 “감염 환자를 전담으로 볼 수 있는 감염병 전담병원이 필요하고 비코로나 환자를 볼 수 있는 시스템이 더 필요하다. 하루 확진자 2만명이 발생하면 더욱 혼란스러울 수밖에 없다"라며 "2022년, 2023년에 코로나19 확진이 피크가 될 수 있는 만큼 백신과 치료제를 구비하고 방역체계를 완화하는 것이 아니라 보다 철저히 해야 한다"고 했다.
한편, 의협은 7일 이필수 의협 회장, 박명하 서울시의사회장, 염호기 의협 코로나19 대책위원장 등과 함께 재택치료에 대한 기자회견을 열 예정이다.
댓글보기(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