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련협의체 4차 회의 개최…근무 시간 단축·다기관 협력 수련 시범사업·지도전문의 지원 등 확대
이형훈 보건복지부 제2차관이 21일 서울 중구 T타워에서 열린 수련협의체 4차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메디게이트뉴스 박민식 기자] 보건복지부 이형훈 제2차관이 “향후 수련협의체에서는 전공의 복귀 이후 수련환경과 수련의 질 향상을 위한 방안을 중심으로 논의할 예정”이라고 21일 밝혔다.
이 차관은 이날 오후 서울 중구 T타워에서 열린 수련협의체 4차 회의 모두발언에서 “전공의들의 복귀는 단순히 과거로 돌아가는 게 아니라 새로운 의료 환경에 맞는 수련 체계를 다시 세우는 과정”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의료계에서는 이번 회의에서 인턴 수련기간 단축, 기입대 전공의 수련 연속성 보장 문제 등을 건의할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복지부에서는 선을 그은 것이다.
이 차관은 “병원별, 지역별, 과목별로 처한 현실이 다르기에 수련시간 단축, 국가 책임 강화 등 여러 측면에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며 “그 과정에서 중요한 건 수련환경을 둘러싼 여러 당사자 간 신뢰 회복”이라고 했다.
이어 “정부는 국민 건강과 생명에 직결되는 필수의료 현장에서 의료인들이 자긍심을 갖고 환자 진료에 전념할 수 있게 지역∙필수∙공공의료 강화를 주요 국정 과제로 중점적으로 추진하겠다”며 “저평가된 필수의료 보상 체계를 개선하고, 의료 사고에 대한 공적 보상 제도를 보완해 의료진이 안심하고 진료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겠다”고 덧붙였다.
이 차관은 또 “정부는 지역 의료격차 해소와 필수의료 확충을 위해 공공의료 체계의 역량을 강화하겠다”며 “국립대병원 등 권역책임의료기관을 집중 육성하고, 인프라 지원, 전임교원 충원, 총 인건비 등 규제 개선도 속도감 있게 추진해 지역 거점병원의 역할과 리더십을 강화하겠다”고 했다.
이어 “지방∙필수∙공공의료만큼 전공의 수련환경 개선도 중요하다. 현재 진행 중인 수련 근무 시간 단축, 다기관 협력 수련 시범사업 등을 바탕으로 지도 전문의 지원 등 국가의 뒷받침도 확대해 나가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