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입력시간 23.05.04 14:54최종 업데이트 23.05.04 14:54

제보

고령자 배뇨장애, 언제까지 방치할 것인가

[칼럼] 노동훈 편한자리의원 원장·비뇨의학과 전문의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메디게이트뉴스] 대학병원 전공의 시절, 요양시설에서 유치 도뇨관(배뇨관) 관리를 위해 구급차를 타고 온 환자를 본 경험이 많았다. 척수 손상으로 인한 신경인성 방광 환자, 전립선 비대 등으로 방광 기능이 저하된 환자 등 다양한 환자를 치료했다. 주로 유치 도뇨관 관리와 방광 결석을 깨는 수술 등을 했다. 보호자에게는 주의사항 등을 교육했다. 예방이 중요한데, 이분들은 병원을 방문하려면 구급차를 부르고 보호자가 동행해야 했기 때문이다. 

2022년 1월 부산시의회에서 ‘부산노인배뇨감염관리센터 공청회’에 참석했다. 요양시설 배뇨관리 문제점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부산시 관계자, 요양시설 관계자, 의학계 전문가가 참석했다. 경주 동국대병원 서영진 교수에 따르면 영덕, 울진의 장기요양기관 환자가 배뇨 관련 문제가 생겼는데, 대학병원에 없는 포항까지 내려와 경주 동국대나 대구의 대학병원을 방문한다고 했다. 전공의 때는 상상도 못 할 일이 생긴 것이다.

배뇨 관련 문제로 야간에 구급차를 타고 대학병원을 찾아 헤매는 난민 환자는 부산에도 있었다. 대학병원의 인력 부족으로 야간 응급 상황에 대처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았다. 그 사이 환자의 불편은 가중된다. 비뇨의학과 인력이 충분하다면 환자는 간단한 치료를 받고 귀가하겠지만, 그렇지 못한 현실에서 온갖 검사와 입원 치료 후 퇴원을 한다. 응급실 모든 기본검사 비용, 심지어 입원비까지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논문에 따르면 요양시설 입원환자 중 배뇨장애, 요실금 환자는 각각 48%와 50%다. 두 질환을 동시에 가진 환자도 64%에 달한다. 그중 배뇨관련 약물을 처방받은 사람은 20%에 불과했다. 절반 이상은 기저귀를 사용했고, 도뇨관을 사용한 경우는 20% 정도였다. 배뇨관리가 안 되니 야간 응급 상황이 생긴다. 요로감염, 습진, 욕창, 패혈증 등의 합병증도 생긴다. 정부는 배뇨 조절을 위해 하루 4번 화장실을 데려가지만, 낙상 골절의 위험만 높일 뿐이다. 

2018년부터 대한비뇨의학회는 고령자 배뇨 문제를 제기했으나 주목을 받지 못했다. 배뇨감염관리센터를 제안한 동아대병원 비뇨의학과 김태효 교수는 지자체를 중심으로 국가 배뇨감염관리센터(배뇨안심센터) 설립을 위해 활동 중이다. 현재 부산, 대전, 서울 등에서 공청회를 열었고, 요양시설의 배뇨관리에 관심을 촉구했다. 서울시 강석주 위원장은 큰 관심을 보였고, 광주의 박미정 시의원은 배뇨센터 설립을 위한 조례제정을 진행하고 있다.

김태효 교수는 배뇨안심센터의 역할을 3가지로 제시했다. 

1. 응급처치에 필요한 장비와 인력을 갖추고, 관리센터 방문 시 2시간 이내로 배뇨 관련 처리를 하고, 원래 요양기관으로 복귀시켜 불필요한 의료비용을 줄인다. 2. 요양원· 요양병원 등의 간병인, 간호사, 의료진에 대한 올바른 배뇨관리 및 감염 관리를 교육한다. 3. 배뇨관리 및 감염 예방, 관리, 처방, 돌봄 등 관리시스템을 지역별로 구축한다. 

비뇨의학과와 지자체가 시범 운영 후 대대적으로 홍보하고 광역시 중심으로 국가 배뇨감염관리센터(배뇨안심센터)를 확대한다. 최종적으로 국가사업으로 관리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목표다. 고령자에 많은 배뇨장애와 배뇨감염 문제를 지역사회, 국가가 나서서 적극 예방하고 관리함으로 사회적 비용을 줄이고 배뇨장애 어르신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치매 국가 책임제로 치매를 관리하듯, 고령자 삶의 질에 중요한 배뇨관리도 국가가 나서야 한다. 
 

메디게이트뉴스 (news@medigatenews.com)
댓글보기(0)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

이 게시글의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