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멥신, AACR 2022서 차세대 면역항암제 성과 발표
항체치료제 개발전문기업 파멥신이 8일(현지시간)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2)에서 차세대 면역항암제 PMC-309에 대한 연구성과를 발표했다고 11일 밝혔다. PMC-309는 종양미세환경(TME)내에서 다량으로 발현돼 있는 면역억제세포 VISTA와의 결합을 억제하고 T세포를 활성화해 항암면역을 향상시키는 면역활성조절 항암제다. 파멥신은 이번 발표에서 PMC-309 투여 시 MDSC(골수유래 면역억제세포)와 M2 대식세포 억제로 인해 T세포가 활성화되고 선천면역을 담당하는 단핵구와 이로 인해 분화된 M1 대식세포도 증가했다고 밝혔다. 대식세포는 면역담당세포의 일종이다. 또한 기존 치료제와는 다르게 면역억제요소(Treg)는 감소되고 면역작용을 하는 NK세포가 증가하는 등 종양미세환경 내 다양한 면역활성 조절도 확인됐다. PMC-309는 이로써 T 세포 중심의 후천면역을 향상하고 선천면역 활성 조절에 기여하는 기전을 갖게 됐다. 인간화 마우스를 이용한 동물실험에서는 종양 억제 효능을 2022.04.11
암젠코리아, KRAS 억제제 루마크라스 임상 연구2년 분석 결과 발표
암젠코리아는 KRAS G12C 변이 비소세포폐암 표적 치료제 루마크라스의 CodeBreaK 100 1/2상 임상시험에 대한 2년 장기 유효성과 안전성 결과를 발표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데이터는 8일부터 13일까지 진행되는 2022 미국암학회 연례학술회의(AACR Annual Meeting)에서 발표됐다. 루마크라스는 폐암 발생에 관여하는 KRAS G12C 돌연변이 단백질을 선택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최초의 경구용 표적치료제다. 국내에서는 올해 2월 KRAS 표적 치료제 최초로 이전에 적어도 한 번의 치료를 받은 적이 있는 KRAS G12C 변이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비소세포폐암(NSCLC) 성인환자에서 사용하도록 허가받았다. 이번 데이터는 KRAS G12C 변이 비소세포폐암 표적 치료제 중 가장 오랜 기간동안 추적 관찰된 최초이자 유일한 자료다. CodeBreaK100 임상연구는 이전에 항암화학요법 또는 면역항암제 치료 경험이 있는 KRAS G12C 변이 고형암 환자 중 1 2022.04.11
아이씨엠, 중대형 동물 실험에서 ICM-203의 DMOAD 가능성 보여
아이씨엠은 김대원 대표가 2022 국제골관절염학회(OARSI, Osteoarthritis Research Society International) 총회에 참가해 퇴행성 골관절염 치료제 ICM-203 개발 현황을 발표했다고 11일 밝혔다. 최근 아이씨엠 연구팀은 AAV 유전자치료제 ICM-203의 DMOAD 효능을 중대형 동물 비글견에서 입증했다. 비글견 OA 모델에서 ICM-203의 관절강 주사를 통해 관절연골 재생, 활막염증 억제, 관절통증 완화, 보행기능 개선 등의 효과를 관찰했다. 촉진과 보행기능 평가에서 위약군과 비교해 ICM-203 투약에 의해 유의한 차이가 확인돼 통증과 보행 기능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MRI 분석에서 퇴행성 관절염에 의해 손상돼 벗겨진 연골조직이 위약군에서는 0.14%, ICM-203 투약군에서는 15.9~26.6% 증가한 것으로 분석돼 탁월한 연골 재생효과를 입증했고, ICM-203 투여 후 활막의 염증이 억제됐다. 아이씨엠 김대 2022.04.11
샤페론, 알츠하이머 치매 치료신약 전임상 결과 美면역학회서 발표
샤페론이 알츠하이머 치매 치료제 누세린(NuCerin)에 대한 전임상 결과를 5월 미국면역학회 학술회의(Immunology 2022)에서 공식 발표한다고 8일 밝혔다. 미국면역학회(AAI)의 Immunology 2022는 세계 각국의 면역학 관계자들이 최신 연구 결과를 공유하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글로벌 학술회의로 5월 6일부터 10일까지(현지시간) 미국 오리건주 포틀랜드에서 열린다. 샤페론은 이번 행사에서 GPCR19-P2X7 조절 NLRP3 염증복합체 억제제(Inflammasome inhibitor)를 기반으로 하는 알츠하이머 치매 치료제 누세린의 전임상 결과를 구두 발표와 포스터 발표의 형식으로 발표한다. 누세린은 경증~중등증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를 위한 신약 후보물질로 최근 타깃으로 급부상하고 있는 염증복합체 활성화 억제를 기반으로 한다. 알츠하이머 치매의 주요 원인으로 연구되고 있는 미세아교세포(Microglia)의 IL-1β와 TNF-α 생성을 동시에 강하게 억제해 신경염 2022.04.08
모더나, 세계 보건 과제 해결 위해 국제에이즈백신이니셔티브와 협력
모더나(Moderna)가 7일(현지시간) 비영리 과학 연구 단체 국제에이즈백신이니셔티브(IAVI)와 전세계적인 공중보건 위협을 해결하기 위해 mRNA 기술을 사용하는 파트너십을 맺었다고 8일 밝혔다. 2020년 한 해에만 HIV/AIDS, 결핵, 항생제 내성 세균성 장염, 코로나19와 같은 질병에 감염된 환자 수가 최소 9500만 명이며 사망자 수는 400만 명 이상으로 추정된다. 이번 협업은 모더나의 mRNA 플랫폼 기술력과 IAVI의 연구 개발 전문성을 결합해 해당 감염성 질환의 유병율이 높은 저소득 국가에서 사용할 수 있는 백신과 항체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모더나 스테판 방셀 최고경영자(CEO)는 "IAVI와 협력을 통해 mRNA우수한 기술을 널리 활용하고, 세계 공중보건 개선과 다양한 질병을 예방하는데 공헌할 수 있다는 사실을 기쁘게 생각한다"며 "속도, 규모, 유연성을 모두 갖춘 모더나의 mRNA 플랫폼은 현재와 미래의 신종 병원균에 대응하기에 최적화돼 있다"고 말했 2022.04.08
씨엔알리서치, 임상데이터 플랫폼 굿소프트웨어 1등급 인증 획득
씨엔알리서치는 임상시험자동화 플랫폼 '아이엠트라이얼'이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소프트웨어 시험인증연구소로부터 GS(굿소프트웨어) 인증 1등급을 획득했다고 8일 밝혔다. GS 인증은 국산 소프트웨어의 품질을 증명하는 국가 인증제도다. ISO 국제표준을 기반으로 기능적합성, 성능효율성, 사용성, 신뢰성 보안성 등에 대한 시험 수행으로 소프트웨어 유형별 테스트케이스를 개발/적용하고 제품의 품질을 종합적으로 평가한 후 인증심의위원회를 통해 인증을 부여한다. 아이엠트라이얼은 씨엔알리서치 기업부설연구소가 직접 개발한 임상시험 데이터 관리 자동화 플랫폼이다. 최근 신약개발 기간 단축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임상시험의 표준화와 디지털 전환에 대한 업계의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개발됐다. 메타데이터 저장소(MDR) 기술과 국제임상데이터표준컨소시엄(CDISC) 표준을 적용해 임상시험 계획부터 데이터 분석까지 임상시험 데이터 흐름을 한 장소에서 관리하여 기간을 단축하고 진행 부서간 단절을 해소해 효율을 2022.04.08
1분기 글로벌 VC들이 주목한 바이오사는…라이엘 출신 설립 알토스 랩스, 30억달러로 금액 최대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1분기 미국 바이오 시장에서 벤처캐피탈(VC)이 80억 달러(약 9조7500억 원)가까이 투자해, 2021년 1분기를 제외하고 최근 5년간 분기 투자 금액이 가장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조사업체 이밸류에이트(Evaluate)가 6일(현지시간) 발표한 2022년 1분기 바이오파마 벤처 파이낸싱 분석 결과를 통해 이번 분기에 104건의 벤처 투자가 이뤄졌다고 밝혔다. 대규모 라운드를 살폈을 때 아직 기대에 크게 부응하지 못하고 있음에도 여전히 유전자 치료 및 편집이 투자자들의 관심을 모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분기 가장 주목을 받은 곳은 지난해 나스닥(Nasdaq)에 상장한 라이엘 이뮤노파마(Lyell Immunopharma, Inc.)와 세엘진(Celgene)에 인수된 주노 테라퓨틱스(Juno Therapeutics), 일루미나(Illumina)에 인수된 그레일(GRAIL) 출신이 공동 설립한 재생의료 전문 회사 알토스 랩스(Altos Labs) 2022.04.08
한국바이오의약품협회, '엑소좀산업협의회-식약처' 간담회 개최
한국바이오의약품협회가 식품의약품안전처와 공동으로 엑소좀 산업 분야 발전을 위한 '엑소좀산업협의회-식약처' 간담회를 7일 열었다. 엑소좀 산업협의회 회원(21개사)과 식약처 세포유전자치료제과를 포함한 실무자가 참석했으며 주요 논의사항은 국내 엑소좀 개발 동향, 엑소좀 응용 분야 확대, 산업 활성화 방안 등이었다. 이번 간담회는 차세대 핵심기술의 R&D 기획 단계부터 기술-규제 정합성 검토 등을 통해 혁신기술이 적기에 시장에 진입할 수 있도록 인·허가 및 규제개선 연구를 지속 지원하기 위한 식약처의 적극 행정의 일환으로 이뤄졌다. 협회는 식약처와 공동으로 민관협의체인 다이나믹바이오를 운영중으로 빠르게 변화하는 바이오의약산업 트렌드에 대응하며 적극적으로 업계를 지원하기 위해 올해 조직도를 개편했다. 엑소좀산업협의회 배신규 회장은 "최근 엑소좀 기술이 차세대 바이오의약품 개발 기술의 한 축으로 주목받으면서 엑소좀 기업들도 크게 늘고 있다"며 "식약처와의 긴밀한 소통을 통해 국내 엑소좀 산업 2022.04.07
클루피, LSK 글로벌 PS와 임상데이터 플랫폼 '메디레이크' 구축 MOU 체결
글로벌 임상데이터 플랫폼기업 클루피와 글로벌 임상시험수탁기관(CRO) 엘에스케이 글로벌파마서비스(LSK Global PS)가 국제 임상데이터 표준컨소시엄(CDISC) 서비스 시스템 개발과 프로세스 개선을 위한 업무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7일 밝혔다. LSK는 이번 MOU 체결로 클루피의 메디레이크(MEDILAKE)를 도입해 임상시험 글로벌 경쟁력을 한층 강화할 방침이다. 메디레이크는 CDISC 기반 데이터분석 모델(ADAM)과 임상 데이터 모델(SDTM)을 생성하기 위한 인공지능(AI) 기반 시스템이다. 클라우드 형태의 빅데이터 프레임워크를 바탕으로 CDISC 업무 효율성을 최적화할 수 있는 국내 유일의 플랫폼으로, 글로벌 표준인 GAMP5 인증과 CDISC ODM 인증을 받았다. 임상시험뿐 아니라 비임상시험까지 토탈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LSK 이영작 대표는 "이번 MOU를 통해 현재 진행중인 임상시험과 향후 진행할 임상시험에 메디레이크를 도입해 글로 2022.04.07
테라젠바이오, AI기반 환자분류 분자 아형 산출장치 'DeepOmics Marker' 특허 취득
글로벌 유전체 분석서비스 및 인공지능(AI) 기반 신약개발기업 테라젠바이오는 AI기반 환자분류 분자 아형 산출장치 ‘DeepOmics Marker’에 대한 특허취득을 완료했다고 7일 밝혔다. 특허의 정식명칭은 '분자 아형 산출 장치, 질환에 대한 분자 아형 개수를 산출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DeepOmics Marker'다. 딥러닝 기반 프로그램을 활용해 효과적으로 환자를 분류하고 각 질환 세부 아형 별 주요 마커를 도출해 환자별 맞춤 약 또는 신약개발 표적을 찾아내는 것이 목표다. 유전체 빅데이터 서비스 딥오믹스는 테라젠바이오가 개발하고 있는 AI 기반 환자별 진단 예후분석 플랫폼이다. 항암백신 연구개발을 위한 플랫폼 DeepOmics Neo와 개별 환자별 동반진단 전 증상과 예후를 분석하는 플랫폼 DeepOmics Marker. 환자의 약물 작용을 분석하는 DeepOmics Network, 효과적인 치료 약물 타깃을 선별하는 DeepOmics T 2022.04.07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