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비엘바이오, ABL301 기술이전 계약금 910억원 수령 완료
이중항체 전문기업 에이비엘바이오는 사노피로부터 파킨슨병 등 퇴행성뇌질환 치료 이중항체 후보물질 ABL301에 대한 기술이전 계약금 7500만 달러(약 910억 원)를 수령 완료했다고 22일 밝혔다. 에이비엘바이오는 1월 사노피와 계약금 7500만 달러 및 단기 기술료(마일스톤) 4500만 달러를 포함한 총 10억6000만 달러 규모의 공동개발 및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 이에 따라 사노피는 2월 25일(현지시간) 미국 반독점개선법(HSR) 등의 행정절차 승인 후 계약금 7500만 달러를 에이비엘바이오에게 지급했다. 에이비엘바이오의 그랩바디-B(Grabody-B) 플랫폼 기술은 다양한 중추신경계(CNS) 질병에 대한 치료제 후보물질의 혈액뇌관문(Blood-Brain-Barrier, BBB) 침투를 극대화시키는 IGF1R 타깃 BBB 셔틀 플랫폼이다. ABL301은 그랩바디-B 플랫폼 기술을 적용해 파킨슨병 발병 원인인 알파-시뉴클레인(alpha-synuclein)의 축적을 억제하는 2022.03.22
미리어드생명과학, 바이오 전문 액셀러레이터 출범
제약·바이오 특화 전략자문사 미리어드생명과학이 바이오 전문 액셀러레이터를 공식 출범한다고 22일 밝혔다. 미리어드는 제약·바이오 산업 분야에 특화된 컴퍼니빌더(Company Builder)형 스타트업 육성에 목적을 둔다. 유망 혁신기술을 중심으로 스타트업을 기획 창업하거나 발굴하고 사업기획, 투자유치, 연구개발, 기술사업화(라이센싱) 유치, 상장 프로세스 등 창업에서부터 성장에 이르기까지 단계적으로 필요한 핵심 요소활동에 대한 통합형 액셀러레이팅 및 관련 투자를 추진할 계획이다. 미리어드는 연구개발 및 기술사업화 프로그램(3~5년 소요), 코스닥 상장 프로세스(2년 소요) 등 과거 전략자문 컨설팅 경험 및 전문성을 토대로 차별화된 보육 프로그램을 개발했고, 국내외 유수 제약사·연구기관·투자기관 출신의 자문단(Advisory Board)과 함께 맞춤형 멘토링을 제공한다. 1차 유망 기술 분야로 차세대 항암신약 및 관련 플랫폼 기술을 선정하고 액셀러레이팅 사업을 본격화하고 있다. 차세대 2022.03.22
한국바이오협회, 노바티스와 '오픈 이노베이션 챌린지' 개최
한국바이오협회는 오는 22일 글로벌 제약사 노바티스와 '오픈 이노베이션 챌린지'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국내 바이오 기업의 해외진출 및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지원하기 위해 협회가 기획한 '글로벌 밍글(Global Mingle)' 해외진출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진행된다. ‘오픈이노베이션 챌린지’는 지난 2월14일~3월7일 참가를 희망하는 국내 바이오 기업을 모집, 최종 선정된 8개 기업이 노바티스와 1차로 1:1 미팅 기회를 가지고 이후 결과에 따라서 2차 후속미팅으로 노바티스 본사와의 미팅을 갖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번 1회 ‘오픈이노베이션 챌린지’에서 노바티스가 희망하는 협력분야는 ▲Atrial fibrillation treatment technique ▲Immunotolerance/immune rebalancing treatment for auto-immune diseases ▲Oral small molecule on IL-17TYK2 ▲Engineered Treg cell t 2022.03.21
키트루다, 초기 비소세포폐암 장기 생존 이끌까…보조요법으로 무질병생존 개선시켜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그동안 면역관문억제제 사용은 진행성 또는 전이성 폐암 치료에서 표준치료로 자리잡으며 큰 진전을 가져왔다. 최근 이러한 치료 혜택이 초기 암 환자에게도 적용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 이 가운데 키트루다(Keytruda, 성분명 펨브롤리주맙)가 PD-L1 발현과 무관하게 IB~IIIA기 비소세포폐암(NSCLC) 환자에서 보조요법으로 위약 대비 무질병생존율을 크게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MSD(Merck & Co.)가 17일(현지시간) 유럽종양학회 가상 총회(ESMO Virtual Plenary)에서 완전 절제 및 보조화학요법을 받은 비소세포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키트루다와 위약의 효능을 평가한 중추적 3상 PEARLS/KEYNOTE-091 임상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에 따르면 키트루다 보조요법은 PD-L1 발현에 관계없이 수술적 절제 후 IB기(≥4cm)~IIIA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이중 1차 평가변수 중 하나인 무질병생존기간(DF 2022.03.20
마크로젠, 2024년까지 송도에 아시아 최대 규모 '글로벌 지놈 캠퍼스' 건립
마크로젠이 17일 인천경제자유구역청과 토지매매 협약을 체결하고 2024년까지 인천경제자유구역 송도국제도시에 아시아 최대 규모의 ‘글로벌 지놈 캠퍼스’ 건립을 추진한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지난해 6월 송도의 바이오클러스터 구축의 일환으로 우수 바이오 기업 유치 공모 결과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결과에 따른 것이다. 이를 시작으로 글로벌 유전체 분석 빅데이터 허브로 도약하기 위한 ‘지놈 파운드리(Genome Foundry)’ 구축을 본격화할 예정이다. 마크로젠은 글로벌 지놈 캠퍼스 내 신설할 빅데이터 센터 기반 신규 사업 확장과 아시아인 중심의 100만 유전체 빅데이터 구축에 나설 계획이다. 글로벌 지놈 캠퍼스는 마크로젠 유전체 분석 전후방사업의 수직계열화를 위한 지놈 파운드리 역할을 하게 된다. 바이오뱅크, 생물자원 유전정보 보관센터, 의료 및 헬스케어 연계 플랫폼 개발센터, 물류 통합관리시설을 마련하고 현재 서울시에 위치한 마크로젠 가산 지놈센터도 송도 글로벌 지놈 캠퍼스 2022.03.18
삼성바이오에피스, 메타버스 활용한 이색 채용 설명회 진행
삼성바이오에피스가 올해 상반기 신입사원 채용을 위해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한 채용 설명회 '에피스로 toGATHER'를 지난 16일과 17일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해 진행했다고 18일 밝혔다. 총 4회에 걸쳐 진행된 이번 행사는 실제 삼성바이오에피스 사옥과 유사하게 구축된 가상공간에서 약 300여명의 취업 준비생들이 참석한 가운데 이뤄졌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채용 설명회를 통해 회사 소개와 더불어 현업 부서장들이 바이오 산업에 대한 기초 지식을 전달하는 기술 특강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특히 삼성바이오에피스 현직자와의 1대1 채용 상담을 통해 직무에 대한 폭 넓은 정보를 자유롭게 주고받을 수 있는 공간도 마련했다. 채용 설명회에 참석한 한 학생은 "현업에 종사하는 분들로부터 평소 가지고 있던 취업, 진로의 궁금증에 대한 대답을 들을 수 있는 좋은 기회였으며 현직자분들의 솔직한 경험담과 조언이 취업을 준비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 같다"고 말했다. 또한 삼성바이오에피스는 2022.03.18
안지오랩, '비알코올성지방간염 치료제' 임상2a상 탑라인 결과 공개
안지오랩은 17일 비알코올성지방간염(NASH) 치료제 후보 AL101-NASH(ALS-L1023)의 임상 2a상 결과를 발표했다고 18일 밝혔다. ALS-L1023은 혈관신생과 빨리 커지는 내장지방을 억제해 간의 지방증과 염증을 감소시키는 다중 표적 기전의 약이다. 임상 결과 ALS-L1023 1200㎎/일 투여군에서 간내 지방량(MRI-PDFF), 섬유화(MRE)가 감소했다. 간 손상 지표인 ALT와 AST도 유의하게 감소해 간 기능 지표가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임상은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2018년 12월에 발표한 ‘NASH 임상가이드라인’에 기반해 실시됐다. 한양대학교를 비롯 4개 대학 병원에서 진행됐다. ALS-L1023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해 비알코올성지방간염 환자 60명을 1800㎎/일, 1,200㎎/일, 대조군(위약군)으로 1:1:1로 무작위 배정하고 이중맹검으로 시행했다. 1일 2회 나눠 경구투여했고 8주, 16주, 24주 후 안전성 및 유효 2022.03.18
셀트리온, 화이자 먹는 코로나19 치료제 제네릭 라이선스 확보
셀트리온이 UN 산하 국제의약품특허풀(MPP, Medicines Patent Pool)과 화이자(Pfizer)의 먹는 코로나19 치료제 니르마트렐비르 및 리토나비르 제네릭 의약품 생산을 위한 라이선스인(License-in) 계약을 완료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계약으로 최대 95개에 이르는 중저소득 국가에 화이자의 먹는 코로나19 치료제 제네릭 의약품을 생산·공급할 계획이다. 이번 계약은 원개발사인 화이자가 먹는 코로나19 치료제에 대한 접근성 확대를 위해 국제기관 MPP를 통해 중저소득국가 판매를 허용하는 비독점 라이선스를 부여한 데 따른 것으로 전세계 다수의 제약사가 의향서를 제출해 12개국 35개 사에 라이선스가 부여됐다. 국내는 2개사가 라이선스를 취득했으며 완제의약품 공급사로는 셀트리온이 유일하다. 라이선스 취득사는 원료의약품(API) 또는 완제의약품 공급을 담당하게 된다. 셀트리온은 완제의약품 공급에 대한 라이선스를 취득해 완제품 개발과 생산은 계열사인 셀트리온제약에서 2022.03.18
선진국들은 수면 건강을 지키기 위해 어떤 법을 시행하고 있을까
메디게이트뉴스 '세계 수면의 날' 수면건강 캠페인 3월 18일은 세계수면학회가 지정하고 기념하는 ‘세계 수면의 날’이다. 낮과 밤이 똑같은 ‘춘분’ 직전 금요일을 기념일로 정하고, 매년 슬로건을 발표하며 수면건강의 중요성을 알리고 있다. 올해 세계 수면의 날 슬로건은 ‘Quality Sleep, Sound Mind, Happy World’로, 양질의 수면으로 건강한 마음과 행복한 세상을 만든다는 의미다. 메디게이트뉴스는 세계 수면의 날을 맞아 수면건강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사회적 관심을 일으키기 위한 캠페인을 마련했다. ①선진국들은 수면 건강을 지키기 위해 어떤 법을 시행하고 있을까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잠을 제대로 못 자는 문제는 사람의 건강과 직결된다. 잠은 에너지를 만들고 뇌와 신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잠이 부족하면 사고 발생 위험이 높아질 수 있고, 장기적으로는 치매와 면역, 심혈관질환, 뇌혈관질환 등에 영향을 미친다. 이처럼 잠이 사람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2022.03.18
린파자 보조요법, BRCA 변이 고위험 조기 유방암 환자서 생존기간 늘려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린파자(Lynparza, 성분명 올라파립)가 생식세포 BRCA 변이(gBRCAm) HER2 음성 고위험 조기 유방암 환자에서 사망 위험을 32% 줄이면서, PARP 저해제로는 처음으로 조기 유방암 환자의 전체 생존 혜택을 입증했다.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와 MSD(Merck & Co.)는 OlympiA 3상 연구에서 추가로 긍정적인 결과가 나왔다고 16일(현지시간) 발표했다. OlympiA 연구는 생식세포 BRCA1/2 유전자 돌연변이가 있는 HER2음성 조기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3상 임상시험으로, 국소치료 및 선행보조 또는 보조 화학요법 완료 후 PARP 억제제인 린파자 보조요법과 위약의 효능과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연구다. 지난해 미국임상종양학회(ASCO) 연례학술대회 및 뉴잉글랜드저널오브메디슨(NEJM)에 발표된 데이터에서 린파자는 위약 대비 국소재발 또는 전이, 사망 위험을 42% 줄이고, 3년 침습적 무질병 생존율(iDF 2022.03.18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