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연치료 성공률 1% 미만"
국민건강증진기금 4.5%만 금연 사용
담뱃세 인상에 따라 국민건강증진기금으로 지원하는 금연치료 프로그램의 성공률이 1%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재근(더불어민주당, 보건복지위원회, 서울 도봉갑)이 배포한 보도자료에 따르면, 2015년에 22만8,792명이 참여한 금연치료 프로그램은 4만6,968명이 이수해 이수율은 20.5%였고, 올해엔 3월까지 10만2,471명이 참여 후 35.1%의 이수율을 기록했다. 그러나 금연 성공률은 전체 0.5%에 그쳐 미비한 수준이었다.. 현재 금연치료 프로그램은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2015년부터 매년 1,00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 있다. 인재근 의원은 "금연치료 사업을 통해 금연을 결심한 흡연자의 금연성공률이 1%에도 미치지 못한다"라며, "현실적이고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한편, 담배부담금 수입이 증가하면서 국민건강증진기금도 2014년 2조29억 원에서 2015년 2조7,487억 원, 2016년 3조2,012억 원이었고 2017년에도 3조2,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