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휴학생은 총 1419명, 작년 9월 대비 34% 늘어…의대 11곳 한 자릿수, 1곳은 0명
[메디게이트뉴스 조운 기자] 2025학년도 새 학기를 앞두고 지난해 휴학한 의대생들의 복귀 여부에 관심이 쏠린 가운데 1월 9일 기준으로 전체 의대생 재적 중 95%가 휴학한 것으로 나타났다.
2월 중으로 의대생 복귀를 위한 교육 방안을 발표하겠다는 교육부의 발표와 달리 복학을 신청한 학생도 미미해 사실상 향후 의대 교육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5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진선미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의과대학 학생 현황'을 공개했다.
해당 현황에 따르면 전국 39개 의대(예과 2년·본과 4년) 휴학생은 총 1만8343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체 재적생 1만9373명의 95%에 해당하는 수치다.
아울러 두 달 전인 작년 11월 교육부가 집계한 의대 휴학생 인원(1만1천584명)과 비교하면 58.6%나 증가한 규모다.
휴학생 가운데 '군 휴학'은 총 1419명으로, 지난해 9월(159명)보다 34% 늘었다.
재적생에서 휴학생을 뺀 재학생은 총 1030명이었는데 이 가운데 실제 온오프라인 강의에 출석한 학생은 723명에 불과했다. 나머지 307명은 휴학은 안 했지만 사실상 '수업 거부'를 한 것으로 보인다.
전국 39개 의대 중 11곳은 출석 학생 수가 한 자릿수에 그쳤고, 아예 1명도 출석하지 않은 대학도 1곳 있었다.
휴학생 숫자가 갈수록 증가한 데 이어 새해 초부터 시작된 복학 신청 건수도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대 의대 가운데 진 의원실이 현재 복학 신청 규모를 파악한 곳은 경북대와 부산대, 전남대 등 3곳이었는데 이들 3개교를 모두 합해도 복학을 신청한 학생은 18명에 그쳤다. 경북대와 전남대가 각 8명, 부산대는 2명이다. 특히 부산대는 2024학번인 1학년생의 복학 신청이 전무했다. 경북대는 1명, 전남대는 3명이었다.
진선미 의원은 "교육부가 2월 중으로 의대생 복귀를 위한 교육 방안을 발표하겠다고 공언했지만, 실질적 대안을 제시할지 의문"이라며 "시간 끌기식 대책이 아닌 2024·2025학번의 수업 질을 담보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보기(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