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입력시간 19.04.15 22:45최종 업데이트 19.04.15 22:45

제보

환절기 심해지는 '혈관운동성 및 앨러지성 비염' 예방하려면?

중이염·부비동염·인후두염이 동반될 수 있어 적극적 치료 필요

2017년 '혈관운동성 및 앨러지성 비염' 연령대별/성별 10만명당 진료인원. (출처=건보공단)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최근 5년 간(2013년~2017년) 건강보험 적용대상자 중 '혈관운동성 및 앨러지성 비염(J30)'질환으로 요양기관을 이용한 진료현황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9세 이하 어린이의 38.4%, '혈관운동성 및 앨러지성 비염' 진료

2017년 '혈관운동성 및 앨러지성 비염' 질환의 10만명당 진료인원은 1만3530명으로 전체 건강보험 가입자의 13.5%가 진료를 받았다. 연령대별로 보면 9세 이하 38.4%, 10대 18.1% 순으로 나타났고 20대 이상은 9~12%대의 진료 비율을 보였다.

성별로는 여성 진료인원이 남성보다 1.2배 더 많았다. 연령별로 나누어 보면 19세 이하의 청소년에서는 여성과 남성이 비슷했으나 30대는 여성이 1.7배, 20대는 여성이 1.5배로 큰 차이를 보였다. 이 차이는 40대 이상으로 갈수록 줄어들어 70세 이상에서는 여성 진료인원이 남성의 0.7배로 오히려 적게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이비인후과 정효진 교수는 "알레르기 비염의 경우 항원에 대한 감작이 소아기에 일어나는 것으로 추정되며 유전적 소인에 의해서 영향을 받기 때문에 가족력이 있는 경우 그 유병률이 증가하게 된다"고 밝혔다.

이어 "어릴 때부터 알레르기 질환(아토피성 피부염, 알레르기 비염, 기관지 천식)은 순차적으로 발병하고 일반적으로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증상이 약해지며 알레르기 피부반응의 반응 정도도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며 "또한 편도 아데노이드 비대, 불완전한 부비동의 발달 및 부비동염 등의 원인 인자로 인해 성인에 비해 증상이 쉽게 나타날 수 있다. 이로 인해 비염으로 진료 받는 소아 환자의 수가 타 연령대에 비해 높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정 교수는 "여성의 경우 생리 중이나 임신 시에 내분비계 호르몬, 특히 혈중 에스트로젠 수치의 변화에 따라 심각한 코막힘, 수양성 비루 등의 증상이 심해질 수 있으며 임신 후기에는 더욱 심해지는 경향이 있다"며 "폐경 후에 나타나는 호르몬 변화는 비점막의 위축을 가져올 수 있다. 이로 인해 폐경 후 여성에서는 관련 증상들이 남성과 차이가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했다.

2017년 '혈관운동성 및 앨러지성 비염' 환자는 689만 명
2017년 ‘혈관운동성 및 앨러지성 비염’ 연령대별/성별 10만명당 진료인원. (출처=건보공단)

최근 5년 동안 건강보험 가입자 중 ‘혈관운동성 및 앨러지성 비염’으로 요양기관을 방문한 진료인원은 2013년 597만 명에서 2017년 689만 명으로 연평균 3.7% 증가했다.

성별 진료인원은 남성이 연평균 3.9%, 여성이 3.5% 증가해 2013년 여성이 남성보다 1.2배 더 많던 것에서 2017년 1.1배로 차이가 줄어들고 있다.

연령대별 성별 인구증감을 감안한 10만명당 진료인원을 보면 9세 이하 및 10대 청소년층 진료인원이 각각 연평균 5.2%, 5.8%로 크게 증가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이비인후과 정효진 교수는 "'선진국병'이라고 불리는 알레르기 질환의 경우 보다 위생적인 환경, 선진국형 생활양식의 변화가 환자의 증가의 유발 인자라고 보고되고 있다"며 "따라서 보다 위생적인 환경에서 성장하고 있는 소아 및 청소년층의 경우 이로 인해 알레르기 질환에는 취약할 수 있다"고 밝혔다.

정 교수는 "추가적으로 비염의 경우 비강 내 점막에 비특이적인 자극이 가해질 경우 빈도 증가 및 증상이 악화될 수 있으며 그 예로는 담배연기, 악취 등의 자극 물질, 습도, 실내에만 거주하는 생활 형태 등으로 인한 공기순환 저하 등의 물리적, 환경적 요인과 스트레스, 불안감, 피로와 같은 심리적인 요인이 있다"고 설명했다.

코폴립(J33)환자 중 31.5%가 '혈관운동성 및 앨러지성 비염' 진료

2017년 혈관운동성 및 앨러지성 비염(J30) 환자의 동반 질환을 보면 코폴립(J33), 코및비동의기타장애(J34), 급성부비동염(J01), 천식(J45) 등 환자가 ‘혈관운동성 및 앨러지성 비염’진료를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이비인후과 정효진 교수는 "알레르기 비염은 비점막의 알레르기 질환이며 천식은 기관지 점막의 알레르기 질환으로 항원이 흡인되면 호흡을 따라 비점막 뿐 아니라 기관지 점막에서도 알레르기 염증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천식 등의 하부 호흡기 증상이 같이 나타날 수 있다.

비염이 잘 조절되지 않아 비점막의 충혈 및 부종이 있는 경우 부비동의 환기 및 배액을 저해해 부비동염 및 코폴립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코호흡이 잘 되지 않아 구호흡을 하면서 인두염, 후두염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라고 설명했다.

혈관운동성 및 앨러지성 비염’환자는 환절기에 많아

'혈관운동성 및 앨러지성 비염' 월별 진료인원 추이를 보면 환절기(4월, 9월)와 겨울철에 진료인원이 많은 경향을 보였다. 반면 여름철에는 진료인원이 줄어 환절기의 절반 수준이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이비인후과 정효진 교수는 "화분(꽃가루)에 의한 알레르기성 비염의 경우 한국은 연중 2회의 절정기가 있으며 이는 3월부터 5월, 8월 중순부터 10월이다. 비염 증상은 대기 중 화분의 양에 따라 관계가 있으며, 건조하고 바람이 불면 화분의 양이 증가하여 증상이 심해지는 경향이 있다"고 밝혔다.

또한 "온도의 급격한 변화도 비점막에 비특이적 자극으로 작용하게 되는데, 특히 찬 공기는 비점막의 건조를 유발하고, 비루, 비충혈, 재채기 등의 증상을 일으키게 된다. 또한, 점액의 점성도를 증가시켜서 염증 매개체와 교감신경 자극에 의한 비염 증상이 유발된다"고 설명했다.

윤영채 기자 (ycyoon@medigatenews.com)
댓글보기(0)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