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 믿지 못하고 의협이 나서는 것은 의대생이 성인임을 부정하는 것…밖으로 화려한 일 한다고 결과 좋은 것 아니야
대한의사협회 김성근 대변인.
[메디게이트뉴스 하경대 기자] 대한의사협회 김성근 대변인이 28일 의대생 복귀 문제에 있어 의협이 소극적이라는 비판에 대해 "학생들을 믿고 그들의 의견을 존중하겠다"는 기존 입장을 유지했다.
대부분의 의대생들이 학교 등록을 거부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들의 복귀 명분을 만들거나 학교로 돌아갈 수 있는 행동을 의협이 별도로 취하지 않겠다는 뜻이다.
김성근 대변인은 이날 오전 정례브리핑에서 "학생들이 독립적인 판단을 내리는 주체로서 결정을 할 것으로 믿는다. 그들이 내린 결정은 어떤 결정이든 존중돼야 한다"며 "지금까지 투쟁 방향도 그들이 논의해서 결정해 왔는데 이제 의협이 그들이 성인임을 부정하고 학생들을 선도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의협이 소극적이라는 말이 나오는 것도 다 알고 있다. 다만 밖으로 화려하게 일을 해야 일을 하는 것이 아니다. 의협은 지금까지 그 누구, 어떤 단체보다 학생들과 많이 대화하고 있다"며 "지금껏 누구를 만나고 어떤 대화를 나눴는지 밝히면 책 몇 권을 써도 모자를 정도로 움직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의협이 비난을 받으면서까지 이렇게 움직이는 것은 (일의 과정이 아닌) 성과로 보여줘야 한다는 입장이기 때문에 그렇다. 의협 회장이 어떤 메시지를 내서 일의 결과가 좋아진다면 지금이라도 회장이 바로 의견을 낼 것"이라고 전했다.
일부 의료계 인사들이 의대생 복귀 촉구 관련 발언을 한 것에 대해서도 김 대변인은 "책임이 없는 사람들이 얘기하는 것은 쉬운 일이다. 그러나 책임을 져야 하는 단체나 개인이 발언하는 것은 굉장히 어려운 일이다. 그 결과까지 예상하고 움직여야 하기 때문"이라며 "책임 없는 사람들이 하는 말에 오히려 관심을 가지고 책임지고 있는 단체를 비난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덧붙였다.
대통령 권한대행이 학생들에게 '신뢰를 바탕으로 믿어달라'고 서신을 보낸 것에 대해선 "정부를 믿지 못하겠다는 게 이들의 기본 입장이다. 정말 신뢰를 바탕으로 서로 대화의 자리를 만들었으면 좋겠다"고 답했다.
댓글보기(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