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6.1112:06

"정밀의료 생태계 만들려면 리서치로 끝나지 않도록 데이터 구축 동시에 활용도 고민 해야"

데이터 활용 규제 개선되고 있지만 아직 미흡…미국, 1990년대 이후 비식별화 데이터 연구되며 제약산업도 발전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한국형 정밀의료 생태계를 만들기 위해 양질의 데이터를 확보하고 대량으로 수집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를 어떻게 활용할지에 대한 목표가 명확해야 하고 더 많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규제 장치 마련이 필요하다는 전문가들의 목소리가 나왔다. 정밀의료 컨퍼런스가 10일 서울 코엑스에서 진행된 바이오 코리아(Bio Korea) 2021에서 '정밀의료 혁신신약 개발 및 임상 적용 활성화를 위한 한국형 정밀의료 생태계 조성'을 주제로 열렸다. 컨퍼런스에서는 주제발표와 함께 서울성모병원 내분비내과 윤건호 교수를 좌장으로 산업계와 의료계, 제약기업 등 국내·외 정밀의료 관련 분야별 전문가들이 참석한 패널토론이 이어졌다. 먼저 한국형 정밀의료 생태계 조성 관련 현장에서 느끼는 허들로 분당서울대병원 혈액종양내과 김지현 교수는 개인 맞춤형 치료에 있어 약제 접근성 제한을 꼽았다. 김 교수는 "예를들어 미국과 같은 나라에서는 어떠한 약제가 유방암 치료제로 허가를 받았더라도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