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병원 임상실습생 긍정적 반응 있었지만, 지속가능한 프로그램 운영 위한 법제화, 환자들의 부정적인 인식도 고려 필요
[메디게이트뉴스 이지원 기자] 공공병원 임상실습 등을 통해 지역필수의료 의사를 확보·양성하자는 주장이 나왔다. 임상실습 같은 조기 노출을 통해 학생에게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고 시야를 폭넓게 만들겠다는 취지다.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는 17일 '필수의료인력 양성에서 의과대학의 역할'을 주제로 2023 KAMC 연례 미팅(Annual Meeting)을 개최하고 지역필수의료 의사 양성을 위한 의학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논의했다.
공공병원 임상실습 조기 노출로 지역의사 양성 강화
이날 경상국립의대 서지현 교수는 마산의료원과 통영적십자병원 등 공공병원 임상실습 프로그램 운영 경험과 효과를 발표하며, 공공병원 임상실습에 참여한 경상국립대, 인제대, 고신대, 부산대, 동아대, 충북대 등 약 30명의 학생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구체적으로 공공병원 실습 전과 후의 인식 차이가 컸고, 실제 의료 현장에 어떤 지원이 이뤄지고 있는지를 알았다. 이뿐 아니라 공공의료 확충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듣고 실제 경험할 수 있어 의미가 있었다는 평가다.
실제로 의료원과 공공병원에서 근무할 기회가 생긴다면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는 학생이 늘었다.
서 교수는 "임상실습에 참여한 학생들에게 그날 본 환자들을 외래 환자 중례 기록지에 기록하라고 했다. 해당 기록지를 살펴보면 '환자군은 대학병원에 비해 대부분 고령 경증에 환자였다. 의사는 세부 전공에 국한된 진료가 아닌 넓은 범위의 여러 진료를 보고 있었다. 이는 대학벼원에서 보지 못한 모습이라 인상깊었다'라고 이야기했다. 실습 후에는 '의료접근성이 이렇게 좋은 나라가 없다고 하지만 여전히 사각지대는 존재하고, 공공의료는 이들을 위해 필수불가결한 제도'라고 이야기한 학생도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공공의료 사업을 경험한 학생은 만성질환에 대한 인식 부족을 실감하고 지역사회에서 만성질환 관리가 잘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평가했다. 아울러 3차 병원과의 차이점을 지적한 학생도 있었다"며 "환자군과 제공할 수 있는 치료 범위의 차이와 다양한 계층에게 의료 제공 등을 이야기했다"고 전했다.
지속가능한 임상실습을 위해서는 국가 지원 등 법제화 필요
지역필수의료를 확충할 수 있는 이같은 실습을 지속가능하게 하려면 국가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 의과대학 교수는 "현재는 이게 프로그램이라고 했지만 사실 앞으로 우리가 나아갈 방향이라고 생각된다면 법제화가 필요하다"며 "올해 이같은 프로그램을 실시한 건 좋다. 하지만 현재 간호 기숙사에서 생활하거나 아파트에서 생활했다고 한다. 한 번이면 모르지만 지속하면 민폐가 된다. 내년에도, 후년에도 하고 싶다면 정부에서 지역 임상실습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정부에 법제화를 제안하기 전에는 어느 정도의 비용이 투입되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반면 공공의료원 종사자의 부정적인 인식이 학생들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서 교수는 "프로그램을 설정하면서 고민했던 부분 중 하나다. 하지만 두 병원은 코로나 환자 격리했던 병원으로 현재 환자 수가 줄었고, 진료에 대한 부담이 없었다. 또 마산의료원과 통영적십자병원 원장 역시 고민했고, 이에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의사를 지도 의사로 지정할 수 있도록 했다"고 답했다.
학생들이 좋은 인식을 가져도 환자들이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면 서울, 수도권 등의 큰 병원으로의 쏠림은 막을 수 없다며 가장 현실적인 더 빠른 이송시스템 구축도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왔다.
다른 의과대학 교수는 "취약지역 병원에서도 일해본 경험이 있다. 그곳에서 일하다보면 부정적인 인식을 많이 갖는다. 현재 일반 국민, 지역민은 모두 서울의 큰 병원을 가길 원하고 그게 추세"라며 "차라리 국민의 수요와 현실에 맞춰 더 빠른 이송 시스템이나 이송하는 데 적절한 인력을 훈련해 빨리 보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지역에서도 적용하는 것이 현실적"이라고 언급했다.
댓글보기(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