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게이트뉴스 하경대 기자] 뇌졸중환자의 약 20%가 첫 내원 병원에서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고 있지만 해결대안이 묘연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국내 뇌졸중센터가 지역별로 불균형하게 분포해 있는데 인력과 재정 지원의 부족으로 인해 문제 해결이 당장 어렵기 때문이다.
대한내졸중학회는 7월 1일 롯데호텔 서울에서 기자간담회를 개최하고 이같이 밝혔다.
뇌졸중센터 일차 이송비율 증가할수록 환자 사망률 감소
이날 간담회 주제 발표를 맡은 이경복 정책이사(순천향의대 신경과)는 뇌졸중이 급성기 질환이라는 점에서 병원 전 단계에서 뇌졸중환자를 적절한 치료 기관으로 이송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정책이사는 "뇌졸중은 국내 주요 사망원인 4위로 연간 약 10만명 이상의 환자가 발생하고 꾸준히 증가 중"이라며 "전체 뇌졸중환자의 78% 이상이 60세 이상의 고령자인 만큼, 이미 고령사회에 진입한 한국에서 뇌졸중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부담은 점차 늘 수밖에 없다. 재관류치료가 가능한 뇌졸중센터로 일차 이송비율이 증가할수록 환자 사망률이 감소하는 경향이 연구에서 확인됐다"고 말했다.
실제로 2016년~2018년도에 발생한 허혈성 뇌졸중환자의 약 20%는 첫 방문 병원에서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고 24시간 이내에 다른 병원으로 전원돼 치료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같은 전원 환자의 비율은 지역별로 편차가 컸는데 가장 낮은 곳은 제주로 환자의 9.6%, 가장 높은 곳은 전라남도로 환자의 44.6%가 치료가 가능한 다른 병원을 찾아야 했다.
전원율이 높은 이유는 전문인력 부족과 뇌졸중센터의 지역불균형에 있다.
강지훈 병원전단계위원장(서울의대 신경과)은 "첫 병원 방문에서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는 환자들이 지역별로 편차가 심한 이유로 뇌졸중 전문의료인력의 부족과 뇌졸중센터의 지역적 불균형 문제가 심각하다"며 "지역응급의료센터는 올해 5월 기준 2015개에 달하나 표준치료가 가능한 뇌졸중센터는 67개뿐"이라고 말했다.
강 위원장은 "구급대원이 이송 예상병원에 뇌졸중이 의심되는 환자를 사전 고지하는 비율은 98%에 달하지만 이 정보가 뇌졸중진료 의료진에게 적절하게 연결되지 못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뇌졸중센터 대도시에 밀집…뇌졸중 집중치료실 입원료, 간호간병통합 병실료 보다 낮아
현재 뇌졸중학회는 지역기반의 전문적인 뇌졸중 진료 체계를 구축, 양질의 뇌졸중 진료 제공, 지속적인 진료 질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2018년부터 뇌졸중센터 인증 사업을 진행 중이다.
재관류치료까지 가능한 뇌졸중센터 54곳, 일반 뇌졸중센터 13곳 총 67곳이 뇌졸중센터로 인증된 상태다.
그러나 문제는 뇌졸중센터가 서울과 경기, 부산 등 특정 지역에 밀집돼 있다는 점이다. 뇌졸중 환자들의 급성기 치료가 가능한 뇌졸중센터도 수도권에 57.1%가 집중돼 있어 지역편중이 극심한 상황이다.
학회는 뇌졸중센터 지역 불균형의 주 원인으로 인력과 자원의 부족을 꼽았다.
차재관 질향상위원장(동아의대 신경과)은 "뇌졸중집중치료실은 뇌졸중 후 환자 사망률을 21% 감소시키는 효과가 확인될 정도로 환자의 예후와 직접적인 연관을 보인다"며 "2017년 뇌졸중 집중치료실에 대한 수가가 신설됐으나 턱없이 낮아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뇌졸중 집중치료실의 입원료는 약 13만원에서 15만원 정도에 그쳐 간호간병통합 서비스 병동 병실료 보다 낮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인력 부족도 심각하다. 급성기 환자가 주로 방문하는 지역응급의료센터에 뇌졸중 진료가 가능한 전문인력의 공백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2018년 심평원의 적정성 평가 자료에 따르면 전국 163개 응급의료센터 중 24시간 뇌졸중 진료가 가능한 센터는 113개 밖에 되지 않는다. 즉 30.7% 응급의료센터는 인력 부족으로 인해 24시간 뇌졸중 진료가 어려운 것이다 .
해결대안은 중증응급의료센터 기반 뇌혈관질환 센터 구축
학회는 이런 지역편중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병원전단계 뇌졸중 환자 이송 시스템을 강화하고 중증응급의료센터 기반으로 뇌혈관질환 센터를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응급의료서비스와 뇌졸중 치료가 가능한 센터와의 네트워크 구축 및 담당 의료기관을 전국적으로 균형감있게 배치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또한 학회는 진료권을 기반으로 한 응급의료센터 분포 체계와 같이 급성기 뇌졸중 진료가 가능한 뇌졸중 센터를 전국적으로 확충하고 신경과 전문의를 배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경복 정책이사는 "올해 보건복지부 예산을 봤을 때 응급의료기금은 2759억원으로 지난해에 비해 12% 증가했고 암 관련 예산도 1019억원에 달한다"며 "그러나 중증필수질환인 뇌졸중과 관련된 권역심뇌혈관센터 지원 예산은 71억원으로 예산 지원이 미흡하다"고 말했다.
이 정책이사는 "뇌졸중은 적정 시간내에 적절한 치료를 받느냐에 따라 환자 예후가 급격히 달라지는 급성기 질환이지만 전문의 부족, 뇌졸중 센터 운영 예산 부족 등으로 지역별 편차가 크다"며 "적절한 치료를 위해 향후 인프라 구축과 자원 배분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댓글보기(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