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게이트뉴스 박민식 기자] 비대면 진료 플랫폼이 비만약 ‘위고비’ 자판기가 되고 있다는 의료계의 비판이 부적절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정작 문제 삼아야 할 것은 비대면 진료 플랫폼이 아니라 위고비를 지침에 맞지 않게 처방한 일부 의사들과 무리한 처방 요구를 한 환자들이라는 것이다.
서울대병원 공공진료센터 권용진 교수는 23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비대면 진료의 효과적∙안정적 도입을 위한 전문가 좌담회’에서 “비대면 진료 플랫폼이 있다고 해도 환자가 진료를 신청하고 의사가 진료하는 것”이라며 “그럼 플랫폼을 통해 전문의약품이 오남용되고 있다는 건 의사가 오진을 하거나 사기 진료를 하고 있다는 의미”라고 했다.
환자의 무리한 요구∙의사들의 직업윤리 위반이 문제
권 교수는 “당시 약사회뿐 아니라 의사협회도 위고비 오남용 우려가 있다며 비대면 진료를 통한 전문의약품 처방을 제한해야 한다고 성명서를 냈다”며 “그럼 의사가 처방하지 말아야 할 사람에게 약을 처방했다는 것이고 그건 직업윤리에 어긋난 행동을 한 의사 회원의 잘못이다. 그러면 의협이 책임을 져야 하는데 오히려 비대면 진료 플랫폼의 문제라고 성명서를 냈다”고 했다.
이어 “의협은 우리 회원들이 전문학회의 지침을 따르지 않고 있다고 언론을 통해 막 떠든 셈이다. 그랬더니 정부는 그 약은 비대면 진료 플랫폼에서 처방하지 않도록 하겠다고 한다. 모두가 속고 있는 기분”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문제는 (비대면 진료 플랫폼이) 아니다. 환자가 요청을 해도 의사가 봤을 때 기준에 마지 않으면 처방을 하지 말아야 한다”며 “이건 비대면 진료와는 아무 상관이 없는 얘기다. (환자들은) 비대면 진료가 아니어도 오프라인에서 처방받고 있을텐데, 이건 비대면 진료가 아니라 의사들이 직업윤리를 위반하고 있는 게 문제”라고 지적했다.
권 교수는 비대면 진료의 특성상 환자가 거짓말을 할 경우 의사가 확인이 어렵지 안냐는 취재진의 질의에 대해서도 “의사의 책임”이라고 일축했다.
권 교수는 “처방하는 약이 가이드라인이 있다면, 의사는 환자가 하는 말이 사실인지 확인해야 한다. 그게 의사의 책임이고 전문성”이라며 “환자가 거짓말했다는 식으로 책임을 미룰 수 없다. 그러면 처방을 하지 말아야 한다”고 했다.
이어 “왜 이 문제의 책임을 플랫폼에 뒤집어 씌우나. 환자들이 무리하게 처방을 요구하는 게 문제고, 의사들이 환자를 대충 보는 게 문제인 것”이라며 “나는 플랫폼 편을 들려는 게 아니다. 문제 제기의 초점이 잘못돼 있고, 원래 의료현장에 있던 문제를 비대면 진료 플랫폼에 뒤집어 씌워서 비대면 진료 활성화를 막으려는 정치적 행동들이 보여서 하는 얘기”라고 했다.
플랫폼이 처방 등 의사 '전문성' 침해할 수 없어
권 교수는 또 “비대면 진료 플랫폼도 환자가 사진을 올리고, 체중과 키 등을 다 정확히 재서 올리면 BMI 결과 등을 통해 대면 진료보다 더 정확하게 처방이 가능할 수 있다”며 “그런데 그런 시도도 하지 않고 있지도 않은 일을 갖고 우려된다고 문제 제기를 하는 것”이라고 했다.
이어 “물론 플랫폼도 자체적인 윤리 지침이 필요하다. 하지만 그렇다고 플랫폼이 의사, 약사의 전문성까지 관리하거나 거기에 영향을 줄 순 없다”며 “그건 월권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같은 권 교수의 주장에 플랫폼 업계는 의사∙약사의 전문성을 침범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자체적인 모니터링 시스템 등을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원격의료산업협의회(원산협) 이슬 공동회장은 “처방과 조제는 전문 영역이기 때문에 플랫폼이 관여할 수도 없고 관여해서도 안 된다”라며 “다만 의사, 약사들도 인간이기 때문에 실수가 있을 수 있고 그런 부분들은 기술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게 모니터링 시스템을 만들겠다”고 했다.
이어 “비만 치료제의 경우에도 우려가 있는 것에 대해 충분히 알고 있다”며 “그래서 화상 진료를 강화하는 방식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댓글보기(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