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입력시간 22.09.06 18:53최종 업데이트 22.09.06 18:53

제보

휴메딕스, 헤파린나트륨 원료의약품 DMF 신청

"고품질 헤파린나트륨 시장 공급 통한 사업 확장"

휴메딕스 공장 내부.

휴메딕스는 식품의약품안전처에 헤파린나트륨의 원료의약품 등록(DMF)을 위한 신청을 완료했다고 6일 밝혔다. 2023년 1분기 원료의약품 등록 완료를 목표로 하고 있다.

휴메딕스가 DMF 신청한 헤파린나트륨은 수술 후 혈전증의 예방과 치료, 수혈, 체외순환, 투석 시 혈액응고 방지 등에 사용되는 국가필수의약품이다. WHO 필수의약품 리스트에 에녹사파린, 와파린 등과 함께 혈액응고에 처방하는 3대 의약품으로 등재됐다.

헤파린나트륨은 돼지의 내장에서 추출, 정제·가공해 만들어진다. FDA는 헤파린나트륨 생산에 소해면상뇌증이나 과황산콘드로이틴(OSCS)으로 오염될 우려가 있어 소와 같은 반추동물의 이용을 금지하고 있다.

전세계적으로 헤파린나트륨은 약 90%를 중국에 의존하고 있으며, 최근 중국 등지에서 발생한 아프리카 돼지 열병으로 원료수급 사정이 악화되면서 가격 변동성이 급등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전량 중국 원료를 수입해 주사제 또는 연고 등의 완제의약품에 사용하고 있다.

휴메딕스는 우리비앤비에서 조품 원료를 공급받아 헤파린나트륨 주원료를 생산할 수 있는 기술과 시설을 갖췄다.

휴메딕스 관계자는 "그간 중국에 의존했던 헤파린나트륨을 국내 최초로 국산화를 이끌어 안정적으로 국내에 공급할 수 있게 됐다"며 "기존 HA, PDRN 원료와 더불어 헤파린나트륨 원료의약품을 개발, 생산함으로써 전세계 원료의약품 시장에 선보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시장조사기관 코히어런트 마켓 인사이트(Coherent Market Insights)에 따르면 글로벌 헤파린나트륨 시장은 2017년 94억 달러 규모에서 오는 2026년까지 140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서민지 기자 (mjseo@medigatenews.com)
댓글보기(0)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